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5:41:17

반전 세계


1. 포켓몬스터

1.1.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포켓몬스터의 극장판에서 설명된 기라티나가 다스리고 있는 세계.

본가(게임)에선 깨어진세계라고 불린다. 해당 문서 참조.

1.2. 포켓몬스터 썬·문,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포켓몬스터 썬·문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에서 포켓몬 리그 제패 후 솔가레오루나아라를 데리고 일륜/월륜의 제단에 가면 원래 있던 세계와는 시간대가 반대인 다른 세계로 갈 수 있다. 게임 시간으로 밤에 솔가레오를 데리고 가면 낮인 세계로, 낮에 루나아라를 데리고 가면 밤인 세계로 이동한다. 반전 세계에서는 코스모그를 1마리 잡을 수 있다.

썬/울트라썬과 문/울트라문은 시간이 정반대이기 때문에 시간대가 반대인 세계로 이동하는 것을 반대 버전으로(예를 들어, 썬이라면 문의 세계로) 이동하는 기능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시간만 달라질 뿐 버전은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반대 버전에만 등장하는 야생 포켓몬을 포획하거나 코스모움을 반대 버전의 타이틀 전설의 포켓몬로 진화시킬 수는 없다.

2.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66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반전 세계,
일어판 명칭=反転世界,
영어판 명칭=Inverse Universe,
효과1=필드 위의 모든 효과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맞바꾼다.)]

절대적인 힘에 등장한 함정 카드.

일반마법카드여서 아쉬웠던 오른손엔 방패 왼손엔 검을 함정 카드로해서 등장한 카드이다. 오른손 왼손과 비슷하게 쓰면 된다. 단 오른손 왼손과는 달리 엔드 페이즈가 끝나도 한번 효과를 받은 몬스터는 공수가 돌아오지 않으니 주의. 당연하지만 이쪽도 앤틱 기어 골렘, F·G·D 같이 공격력, 수비력이 동일한 카드, 그리고 수비력 개념이 없어서 효과 적용이 안되는 링크 몬스터에겐 쓰나마나.

아쉬운 점은 효과가 없는 몬스터들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점. 가령 암석 거인이나 하프의 정령, 홀리 엘프같은 간단하게 낼 수 있는 수비력이 2000을 넘는 몬스터는 물론, 몬스터 한장으로 어드밴스 소환돼서 툭 튀어나오는 수비력 3000의 천년 방패미궁출현-래버린스 월-같은 일반 몬스터 수비벽들은 그대로 남는다.

대신 여러모로 빅 실드 가드너와의 연계가 좋다. 일단 한번 가볍게 막고 공격표시로 변해서 공격당할때 발동하면 올레! 그리고 그 다음엔 2600짜리 어태커로 활용하면 그만이다.빅 실드 어태커

한 가지 특이할 점은 원래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바꾸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수비력을 올리는 카드를 쓴 뒤 이 카드를 쓰면 공격력 증가가 된다는 것. 이 때문에 다른 수비력 증가 카드와 같이 써먹을 수 있다.

현재 공/수 참조+반전된 공/수가 리셋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몬스터의 공격력/수비력 고정이라는 변칙적 효과를 노려볼 수도 있다. 카드의 효과로 공/수가 강화되어 있는 몬스터에게 이 카드를 2번 사용할 경우[1], 수치상으로는 동일하지만 공격력 변경 효과의 주체는 원래의 카드가 아닌 이 카드로 변경되어서 원래의 효과가 사라져도 올라간 공/수 수치는 유지된다는 것이다. 가령 오시리스의 천공룡, 제왕의 동지와 조합할 경우, 천공룡이 자신의 효과로 공격력을 올리고 있는 상태에서 제왕의 동지를 발동하고 반전 세계를 체인하면 오시리스의 공격력은 그대로이면서 효과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된다. 체인의 처리순서 상, 제왕의 동지가 효과 내성을 부여하기 전에 반전 세계가 오시리스의 공/수 수치를 바꾸는데, 수치 상으로는 변함이 없지만 이 때의 공/수 수치는 오시리스의 효과가 아닌 반전 세계의 효과로 생긴 공격력이므로 동지의 효과로 오시리스의 효과가 무효화 되어도 유지된다. 역으로 말하자면 효과 무효화가 없을 경우, 천공룡의 공/수는 반전 세계로 바뀐 수치+바뀐 후 다시 적용된 자체 효과로 2배가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한 어니스트로 몬스터가 강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반전 세계를 2번 써줄 경우, 해당 몬스터의 공격력은 '어니스트로 올린 공격력'이 아닌 '반전 세계로 변화한 공격력'이 되므로 역시 턴이 지나가도 공격력이 그대로 유지된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미들 실드 가드너빙제 뫼비우스. 공격 표시의 미들 실드 가드너를 빙제 뫼비우스가 공격하는 상황으로 보이는데, 미들 실드 가드너의 공격력이 1800이 되고 빙제 뫼비우스는 1000이 되어 미들 실드로 빙제를 짓뭉갤 수 있다. 여담이지만 이 일러스트는 프라이드의 포효 - 반마도대역에서 이어지는 내용. 빙제가 마도전사 브레이커를 공격하나 미들 실드 가드너가 그를 막아주고 반전세계로 카운터를 먹이는 내용이다.


[1] 공격력과 수비력이 같다면 1번만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