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7:35:35

박충권

파일:국회휘장.svg 비례대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국민의미래
18석
최보윤 박충권 최수진 진종오
강선영 김건 김소희 인요한
김민전 김위상 한지아 유용원
조배숙 김장겸 김예지 안상훈
이달희 박준태
더불어민주연합
14석
서미화 위성락 백승아 임광현
정혜경 용혜인 오세희 박홍배
강유정 한창민 전종덕 김윤
임미애 정을호
조국혁신당
12석
박은정 조국 이해민 신장식
김선민 김준형 김재원 황운하
정춘생 차규근 강경숙 서왕진
개혁신당
2석
이주영 천하람
21대
23대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박충권
朴沖綣 | Park Chung-kwon
파일:박충권 프로필사진.jpg
<colbgcolor=#e61e2b><colcolor=#fff> 출생 1986년 1월 14일 ([age(1986-01-14)]세)
함경남도 함흥시
거주지 충청남도 당진시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학력 국방종합대학[1] (화학재료공학 / 학사)[2]
서울대학교 대학원 (재료공학 / 박사)
병역 면제[3] (군사분계선 이북)
종교 개신교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 비례대표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22
소속 위원회
약력 현대제철 연구개발본부 책임연구원
제22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2번 / 국민의미래)
1. 개요2. 생애3. 언론 보도4. 여담5. 소속 정당6. 선거 이력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박충권은 함흥시 출신의 북한이탈주민이자 대한민국정치인이다. 국방종합대학 화학재료공학과를 2007년 졸업한 후 대륙 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4]에 참여한 엘리트 연구원 출신이다.

2. 생애

고난의 행군 시절 아동기를 보냈다.

2005년 국방대 3학년 시절 학생간부가 되어 학내 보위부 지도원을 만나 친해지게 되었는데, 보위지도원에게 중대(학급) 80명 중 8명(10%)이 학우들의 동향을 보고하는 스파이인 것을 듣게 되어 북한의 주민감시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게 되었고 북한 체제에 회의를 품기 시작하였다.

또한 사상학습을 위해 김정일이 썼다는 '노작'[5][6]을 읽었는데, 사회주의에 대한 외부세계의 비판에 김정일이 반박하는 내용이었다. 박충권은 그 논문에서 '사회주의는 전체주의이고 행정명령식이고 병영식이다.'라는 비판에 오히려 크게 공감해버렸으며 지금까지의 세계관이 뒤집혔다고 한다.

대학교 4학년 시절, 졸업을 하고 국방대 졸업생의 직장인 군수공장에 배치받을 준비를 하는데 고위층의 아들인 한 친구에게 조선로동당 간부의 첩에게 4,000달러를 뇌물로 주면 평양에 배치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을 듣고 아무리 그래도 노동당은 썩지 않았을 것이라는 유일한 믿음이 무너졌다고 한다. 한국 드라마나 대북전단을 본 적이 없었는데도 순수히 체제에 대한 회의와 반감으로 스스로 고민한 끝에 탈북을 결정했다고 한다.

2007년 대학을 졸업하고 군수공장에 배치받아야 했지만 아프다는 핑계로 고향인 함흥으로 내려가 시간을 끌면서 1년 8개월여간 준비하여 탈북 브로커를 통해 2009년 4월 9일 무산군에서 두만강을 건너 탈북하였다. 탈북 3일 후인 4월 13일 중국 단둥시에서 한국인 브로커를 만나 한국 여권을 받은 뒤 여객선을 타고 인천항을 통해 대한민국으로 입국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걸쳐 2017년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대제철 연구개발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자동차 소재 개발에 참여하였다.

2.1. 22대 국회의원

2023년 12월 국민의힘으로부터 인재영입 제안을 받아 연구원 출신으로 대한민국 정계에 입문했으며, 2024년 4월 10일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2번으로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3. 언론 보도

4. 여담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4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4 탈당[7]


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
2024 입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4 - 현재 합당[8]

6.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파일:국민의미래 흰색 로고.svg
10,395,264 (36.67%) 당선 (2번) 초선[9]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대식 강명구 강민국 강선영 강승규
고동진 곽규택 구자근 권성동 권영세
권영진 김건 김기웅 김기현 김대식
김도읍 김미애 김민전 김상욱 김상훈
김석기 김선교 김성원 김소희 김승수
김예지 김용태 김위상 김은혜 김장겸
김재섭 김정재 김종양 김태호 김형동
김희정 나경원 박대출 박덕흠 박상웅
박성민 박성훈 박수민 박수영 박정하
박정훈 박준태 박충권 박형수 배준영
배현진 백종헌 서명옥 서범수 서일준
서지영 서천호 성일종 송석준 송언석
신동욱 신성범 안상훈 안철수 엄태영
우재준 유상범 유영하 유용원 윤상현
윤영석 윤재옥 윤한홍 이달희 이만희
이상휘 이성권 이양수 이인선 이종배
이종욱 이철규 이헌승 인요한 임이자
임종득 장동혁 정동만 정성국 정연욱
정점식 정희용 조경태 조배숙 조승환
조은희 조정훈 조지연 주진우 주호영
진종오 최보윤 최수진 최은석 최형두
추경호 한기호 한지아 }}}
}}}}}}


[1] 現 김정은국방종합대학[2] 통일부 하나원 인정학력이다. 박충권이 북한에서 대학을 졸업할 당시에는 구(舊) 소련의 학위 체제 영향으로 대학 학부 과정 졸업자에게 학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았었다.[3] 젊은 나이에 탈북했기 때문에 탈북 후 한국에서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 이주' 사유로서 정식으로 면제 처분을 받았다. 그래서 총선 출마 때 '병적기록이 없는 사람'이 아닌 '군복무를 마치지 아니한 사람'으로 기재되었다.[4] 정확히는 ICBM에 쓰일 윤활유, 부동액 개발이었다고 한다.[5] 최고지도자의 저서나 담화, 발표문[6]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로동신문>에 발표한 론문 1994년11월1일 /김정일 저.[7] 비례대표 출마를 위한 탈당.[8] 국민의힘에 흡수 합당.[9] 2024.4.26. 국민의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