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7:39:30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파일:폴란드 국방장관기.png
폴란드 공화국
국방부장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바르샤바 공국 전쟁장관 (1807-1813)
초대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폴란드 입헌왕국 전쟁장관 (1815-1831)
행정평의회
제2대
유제프 비엘호르스키
제3대
마우리시 하우케
제4대
이지도르 크라신스키
제5대
프란시스잭 모라브스키
제6대
에밀리안 벵기에르스키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rowcolor=#fff> 전쟁장관 (1918)
제7대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군부장관 (1918~1942)
제8대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제9대
얀 브로친스키
제10대
유제프 레스니에프스키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제11대
카지미에시 소쉰코프스키
제12대
알렉산데르 오쉰스키
제13대
스타니스와프 스젭티스키
(제11대)
카지미에시 소쉰코프스키
제14대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
제15대
스테판 마예프스키
제16대
루치안 젤리고프스키
제17대
율리우즈 타데우츠 타르나바말체프스키
(제8대)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제8대)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제18대
다니엘 코나르제프스키
(제8대)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제19대
타데우즈 카스프르지스키
(제14대)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
국방부장관 (1942~현재)
제20대
마리안 쿠키엘
제21대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제22대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제23대
마리안 스피찰스키
제24대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제25대
플로리안 시비츠키
제26대
피오트르 코워지치크
제27대
얀 파리스
제28대
야누스 오니스키예비치
(제26대)
피오트르 코워지치크
제29대
즈비그니에프 오콘스키
제30대
스타니스와프 도브르잔스키
(제28대)
야누스 오니스키예비치
제31대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제32대
예르지 슈마이친스키
제33대
야로스와프 시코르스키
제34대
알렉산데르 슈치즈그워
제35대
보그단 클리츠
제36대
토마시 시에모니아크
제37대
안토니 마치에레비치
제38대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제39대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카미시
}}}}}}}}}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000,#ddd> 원수
Marszałek
육군 <colcolor=#000,#ddd>
전간기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 페르디낭 포슈 |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
제2차 세계 대전기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냉전기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마리안 스피찰스키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Orden-Pobeda-Marshal_Vasilevsky.jpg승리의 기사단
Кавалеры ордена «Побед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승훈장 수훈자
2회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게오르기 주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이오시프 스탈린
1회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세이 안토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이반 코네프
파일:소련 국기.svg
로디온 말리놉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키릴 메레츠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세묜 티모셴코
파일:소련 국기.svg
표도르 톨부힌
파일:소련 국기.svg
레오니트 고보로프
파일:미국 국기.svg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파일:영국 국기.svg
버나드 로 몽고메리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미하이 1세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요시프 브로즈 티토
}}}}}}}}}
<colbgcolor=#d22c3f><colcolor=#fff>
폴란드 인민공화국 제21대 국방부장관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Michał Rola-Żymierski
파일:Rola-Żymierski_Michał.jpg
출생 1890년 9월 4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스라이타니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크라카우 대공국 크라카우
(現 폴란드 마워폴스키에주 크라쿠프)
사망 1989년 10월 15일 (향년 99세)
폴란드 PR 바르샤바주 바르샤바
(現 폴란드 마조비에츠키에주 바르샤바)
묘소 포봉츠키 묘지
재임기간 제21대 국방부장관
1945년 7월 5일 ~ 1949년 11월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22c3f><colcolor=#fff> 본명 미하우 리즈빈스키
(Michał Łyżwiński)
부모 보이치에흐 리즈빈스키
마리아 리즈빈스카야
학력 생시르 육군사관학교
복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1911년 ~ 1918년
폴란드 공화국 육군
1919년 ~ 1927년
인민수비대
1942년 ~ 1944년
인민군
1944년
폴란드 인민군 육군
1944년 ~ 1989년
최종 계급 중령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원수 (폴란드 인민군 육군)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서훈 폴란드 인민공화국 건국훈장
오도르제니아 폴스키 훈장 1급
오도르제니아 폴스키 훈장 3급
전승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1급[1]
}}}}}}}}}

1. 개요2. 생애
2.1. 제1차 세계 대전~전간기2.2. 제2차 세계 대전2.3. 전후~냉전2.4. 말년
3. 기타4. 소속 정당

[Clearfix]

1. 개요

폴란드의 군인, 최종 계급은 원수.

2. 생애

1890년 9월 4일 크라쿠프에서 철도 관리인이었던 보이치에흐 리즈빈스키와 마리아 리즈빈스카야[2] 사이에서 태어났다.

1910년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고, 191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자원입대하여 1912년까지 복무했고, 장교 시험에도 합격한다.

2.1. 제1차 세계 대전~전간기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예하 폴란드 군단에 입대해 동부전선에 참전하였고, 중령까지 진급해서 연대장까지 오르게 된다.

1918년 전쟁이 끝나고 폴란드가 독립하면서 그는 오헝제국 시절 경력으로 폴란드군에 입대하였고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에서 보병여단과 사단을 지휘하게 된다.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이 끝나자 프랑스의 생시르 육군사관학교로 유학갔으며 귀국한 후에는 준장으로 진급하고 폴란드군 행정부 부국장으로 근무하면서 군 재정과 군사장비 구매를 담당했다.

1926년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원수가 5월 쿠데타를 일으키자 가담하지 않고 쿠데타 진압에 합류했으나 진압에는 실패했고, 이로 인해 군사재판에 회부되어 뇌물수수 및 횡령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일병 계급으로 강등당하면서 군에서 제명당한다.

1931년 형기를 채우고 석방된 후에는 프랑스로 건너가 NKVD의 정보요원으로 활동하면서 프랑스-폴란드 사이의 핵심 정보를 전달했고, 같은 해에 폴란드 공산당에 비밀당원으로 가입하게 된다.

1938년에는 프랑스로 아예 이민을 가게 된다.

2.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폴란드가 반으로 갈라먹히면서 폴란드 공산당의 지시에 따라 바로 폴란드로 귀국하여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한다.

1943년 5월부터 인민 근위대 참모와 군사고문으로 활동했으며 이와 동시에 전쟁 전에 강등당했던 준장 계급도 다시 복권된다.

1944년 1월부터 인민군의 총사령관이 되었고, 동시에 폴란드 민족해방위원회의 국방부서장을 겸임하게 된다.

1945년 5월 3일에 원수로 진급하였고, 같은 해 7월 5일에 폴란드 제2공화국 임시정부의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었다.

2.3. 전후~냉전

전쟁이 끝난 후 1946년 6월 15일,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국경 분쟁이 커지자 당시 부재중이었던 총리를 대신해 체코슬로바키아에 최후통첩을 날렸으며 체코슬로바키아 측이 이에 불응하자 군대를 이끌고 치에신에 입성하였다. 이후 실롱스크주 올자[3]에 주둔하고 있는 군대를 국경으로 진격시키려 했지만 폴란드 정부에 의해 불발되었다.[4]

1946년부터는 폴란드 공안부장관에 임명되었고 폴란드 국내군 출신 반소, 반공 인사들과 폴란드 제2군단 출신 인사들, 반공주의 정치인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은 물론 자유독립협회[5]에 대응하여 폴란드군을 배치하는 일도 맡았다.

또한 비스툴라 작전에서는 우크라이나 반란군 소탕뿐만 아니라 폴란드 남동부의 우크라이나 주민들을 추방하거나 강제 소개하기도 했다.

1949년 11월 6일에 소련군 원수 출신인 콘스탄틴 로코솝스키에게 국방장관직을 물려주고 퇴임하였다.

그러나 1952년 비에루트가 스탈린주의 정책을 펼쳐나가면서 체포되었으나 1955년 무혐의로 석방되었고, 이듬해 폴란드 정부에 의해 복권된다.

포즈난 항쟁의 영향으로 스탈린주의가 종식된 후인 1956년부터 1967년까지 폴란드 인민은행 부총재를 역임했고, 폴란드의 참전용사 단체인 '자유와 민주주의 위한 투사 협회(ZBoWiD)'의 명예회장 등,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2.4. 말년

1981년부터 폴란드 통일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같은 해 12월 13일부로 야루젤스키가 폴란드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하자 국민통합전선의 위원도 겸임하게 되었으나 1987년 페레스트로이카를 비난했다는 이유로 통일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제명당했다.

1989년 바르샤바에서 향년 9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사후 바르샤바 근교의 포봉츠키(Powązki)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6]

3. 기타

  • 성씨의 머릿글자인 롤라(Rola)는 2차대전 당시 독일령 폴란드에서 비밀요원으로 활동 당시 썼던 가명이며 롤라 외에도 자비샤(Zawisza), 모르스키(Morski), 립스키(Lipski)라는 가명을 썼다고 한다.
  • 역대 폴란드 원수들 중에서 가장 최근까지 생존했던 인물이다.

4.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기간 비고
폴란드 공산당 1931 - 1938 입당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38 - 1943 -
폴란드 노동당 1943 - 1948 입당
폴란드 통일노동당 1948 - 1989 당명 변경
사망


[1] 슈발리에→오피시에→그랑크루아 순서로 승격.[2] 혼전성은 부제크(Buczek).[3] 독일어로는 올사우(Olsau).[4] 이후 1958년에 소련이 뮌헨 협정을 무효라고 선언하면서 두 나라의 국경분쟁은 끝나게 된다.[5] 1945년부터 1952년까지 존속했던 폴란드의 반공 지하조직.[6] 한때 무덤이 두 번이나 훼손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범인은 알 수 없는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