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7:58:09

미마스


토성의 위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3deb3><colcolor=#000> D 고리
C 고리
내위성 B고리 S/2009 S 1
카시니 간극
A고리 엥케 간극
킬러 간극 다프니스
로슈 간극 아틀라스 · 프로메테우스
F고리
판도라 · 에피메테우스 · 야누스
G고리 아이가이온
E고리 미마스*
알키오니데스 메토네 · 안테 · 팔레네
엔셀라두스*
테티스* 트로이 위성 텔레스토L4 · 칼립소L5
디오네* 헬레네L4 · 폴리데우케스L5
레아* · 타이탄* · 히페리온 · 이아페투스*
불규칙 위성 <colbgcolor=#f3deb3><colcolor=#000> 이누이트군
(순행 1)
키비우크군 S/2019 S 1 · 키비우크 · S/2005 S 4 · S/2020 S 1 · 이지라크
파알리아크군 파알리아크
샤르나크군 S/2004 S 31 · 타르케크 · S/2019 S 14 · 샤르나크 · S/2020 S 3 · S/2020 S 5
갈릭군
(순행 2)
알비오릭스 · 베비온 · S/2007 S 8 · LX · 에리아푸스 · 타르보스 · S/2020 S 4
노르스군
(역행)
포에베군 포에베 · S/2006 S 20 · S/2006 S 9
스카티 · S/2007 S 5 · S/2007 S 7 · S/2007 S 2 · S/2004 S 37 · S/2004 S 47 · S/2004 S 40 · S/2019 S 2 · S/2019 S 3 · S/2020 S 7 · 스콜 · S/2020 S 2 · S/2019 S 4 · S/2004 S 41 · S/2004 S 42 · 히로킨 · 그레이프 · S/2004 S 13 · S/2007 S 6 · 문딜파리 · S/2006 S 1 · S/2004 S 43 · S/2006 S 10 · S/2019 S 5 · 그리드르 · 베르겔미르 · 야른삭사 · 나르비 · 수툰그르(수퉁) · S/2007 S 3 · S/2004 S 44 · S/2004 S 45 · 하티 · S/2004 S 17 · S/2006 S 11 · S/2004 S 12 · 에그테르 · S/2006 S 13 · S/2007 S 9 · S/2019 S 7 · S/2019 S 8 · 파르바우티 · 트리므르 · 베스틀라 · S/2019 S 9 · S/2004 S 46 · 앙그르보다 · S/2019 S 11 · 아에기르 · 벨리 · S/2019 S 10 · S/2019 S 12 · 게르드 · S/2019 S 13 · S/2006 S 14 · 군로드 · S/2019 S 15 · S/2020 S 6 · S/2004 S 7 · S/2006 S 3 · S/2005 S 5 · 스크리미르 · S/2006 S 16 · S/2006 S 15 · S/2004 S 28 · S/2020 S 8 · 알바디 · 카리 · S/2004 S 48 · 게이로드 · 펜리르 · S/2004 S 50 · S/2006 S 17 · S/2004 S 49 · S/2019 S 17 · 수르투르(수르트) · S/2006 S 18 · 로게 · 이미르 · S/2019 S 19 · S/2004 S 21 · S/2019 S 18 · S/2004 S 39 · S/2019 S 16 · S/2004 S 53 · S/2004 S 36 · 티아지 · S/2019 S 20 · S/2006 S 19 · LXIV · 포르뇨트 · S/2004 S 51 · S/2020 S 10 · S/2020 S 9 · LVIII · S/2019 S 21 · S/2004 S 52
미분류
(순행)
S/2006 S 12 · S/2019 S 6 · S/2004 S 24
※ 위성들은 토성에서부터의 거리 순으로 정렬
※ *: 대형 위성
※ 모든 내위성 및 대형 위성은 순방향 공전
 
}}}}}}}}} ||
영어:Mimas
일본어:ミマス
중국어: 土卫一
한국어: 미마스
파일:Mimas by Cassini.jpg
모천체 토성
발견 날짜 1897년 9월 17일
지름 396.4km
자전 주기 22시간 37분
알베도 0.962
질량 지구의 0.0000063배
평균 온도 -208.15°C
이심률 0.0196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마스(Mimas), 토성위성. 1789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다.

2. 상세

지름은 396.4km. 표면에 미마스 지름의 3분의 1에 달하는 지름 130km짜리의 거대한 크레이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저 크레이터 덕분에 생긴 별명이 데스 스타. 지구에 미마스와 같은 비율의 크레이터가 있다면 캐나다가 전부 들어갈 정도로 거대할 것이라고 한다.

자전에 걸리는 시간은 22시간 37분으로 지구와 비슷한 자전 주기를 지닌다.

참고로 태양계에서 존재하는 '구형 천체' 중 크기가 가장 작다. 천체가 이보다 작을 경우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하지 못해서[1], 대부분의 소행성 처럼 부정형 형태를 가지게 된다.

단순한 얼음덩어리가 아니라 엔셀라두스처럼 얼음 밑에 대양을 숨겨뒀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거주조건이 갖춰진다는 연구결과도 발표했다.#

3. 관련 문서


[1] 이보다 작으면서 구형을 유지할 수 있는 천체는 중성자별 정도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