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4:44:13

무파사: 라이온 킹

파일:the lion king logo black.svg파일:the lion king logo white.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ddd><colcolor=#fff,#373a3c> 본편 라이온 킹
속편 라이온 킹 2 라이온 킹 3
TV 시리즈 티몬과 품바 라이온 수호대
뮤지컬 뮤지컬
실사 영화 라이온 킹 무파사: 라이온 킹
관련작 블랙 이즈 킹
}}}}}}}}} ||

파일:디즈니 로고 화이트.png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미국 개봉일까지 D[dday(2024-12-20)]
<colbgcolor=#000000><colcolor=#e3b44a> 무파사: 라이온 킹 (2024)
Mufasa: The Lion King
파일:무파사: 라이온 킹 한국 티저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무파사: 라이온 킹 티저 포스터.jpg
장르
감독 배리 젠킨스
각본 제프 네이선슨
원안
제작 마크 서리악
아델 로만스키
피터 M. 토비안센
주연 아론 피에르
켈빈 해리슨 주니어
존 카니
세스 로건
빌리 아이크너
도널드 글로버
매즈 미켈슨
탠디 뉴턴
블루 아이비 카터
비욘세
촬영 제임스 랙스톤
편집 조이 맥밀런
음악 린 마누엘 미란다 (주제가)
미술
의상
조명
촬영 기간
제작사 월트 디즈니 픽처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12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12월
화면비 1.85:1
상영 타입 2D | IMAX | Dolby Cinema
상영 시간
제작비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스트리밍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링크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11. 기타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Orphan, outsider, king.
외톨이, 방랑자, 세상의 왕.
〈라이온 킹〉 이전의 위대한 시작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을 원작으로 하는 실사 영화. 〈라이온 킹〉의 프리퀄 영화로 무파사스카의 어린 시절을 다룬다.

2. 개봉 전 정보

  • 2022년 9월 10일, D23 엑스포에서 제작을 공식 발표하면서 'Mufasa: The Lion King (무파사: 라이온 킹)'이라는 제목과 함께 로고를 공개하였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mufasa: the lion king logo.jpg
  • 2023년 11월 10일, 미국배우조합 파업의 여파로 기존 2024년 7월 5일에서 12월 20일로 개봉이 연기되었다. #

3. 포스터

파일:무파사: 라이온 킹 티저 포스터.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무파사: 라이온 킹 한국 티저 포스터.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

4. 예고편

티저 예고편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2024년 12월 20일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9]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24-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24-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24-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24-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24-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24-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24-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24-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24-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24-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24-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24-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24-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24-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24-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24-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24-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24-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24-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24-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24-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24-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24-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24-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10.2. 북미

11. 기타

  • 전작인 〈라이온 킹〉이 역대 전 세계 흥행 10위 안에 드는 영화치고는 작중에서 주연들을 포함한 등장인물들이 너무 실사화에 집중한 나머지 현실 속 동물처럼 감정 표현이 너무 적다는 점 등 작품 내 여러 문제 때문에 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 중 평이 안 좋은 편에 속하는데, 이번 작품에서도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냐며 팬들이 우려하고 있다. 이후 티저 예고편을 통해 이번 작품이 전작보다 감정 표현이 많아진 것이 확인되면서 해당 논란은 수그러들었지만, 이마저도 어린 아기 사자 시절의 무파사스카에게만 해당하고 여전히 어른 사자 모습의 무파사와 스카, 사라비의 표정은 여전히 보통 사자들과 다를 바 없이 표정을 느낄 수가 없어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과 전작에서 모두 무파사 역을 맡았던 제임스 얼 존스는 출연진 목록에 없다. 현재 존스가 90대의 고령이라 자신의 또 다른 대표 배역인 다스 베이더 역에서도 공식 은퇴할 정도로 예전 같은 연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이번 작품 속의 무파사는 이전과 다르게 유아기~청년 시절로 등장한다.[10]
  • 감독인 배리 젠킨스에 의하면 이번 작품의 감독을 맡은 이유가 감독 본인이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을 매우 좋아해서였다고 한다. #
  • 이 영화를 기점으로 라이온 킹 실사 영화 시리즈와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완전히 다른 세계관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공개된 캐릭터 프로필만으로도 라이온 킹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세계관 설정과 어긋나는 요소가 많다. 무파사와 타카(스카)가 친형제가 아니라는 것, 그리고 무파사가 본래 왕의 혈통이 아니었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스카의 이름으로 '타카(Taka)'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의 스핀오프 소설인 《Six New Adventures》[11]에서 사용된 스카의 어린 시절 본명과 동일하다. 비록 설정이나 세계관은 다르더라도 감독이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의 팬이기 때문에 팬 서비스 개념으로 해당 작품에서 타카라는 이름만 따온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많다.

12. 둘러보기

배리 젠킨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33.3%><bgcolor=#dbd3c1>
파일:Medicine For Melancholy Logo 2.png
||<width=33.3%><bgcolor=#455d9e> 파일:Moonlight Logo.png ||<width=33.3%><bgcolor=#AA4422> 파일:If Beale Street Could Talk Logo.png ||
멜랑콜리의 묘약 문라이트 빌 스트리트가 할 수 있다면
파일:Mufasa logo.jpg
무파사: 라이온 킹



[1]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에서는 무파사와 친형제라는 설정이었지만, 여기서는 무파사를 양형제로서 가족에 받아들이는 밝은 미래를 가진 사자 왕자로 등장한다. 기타 문단 참조.[2] 자존심을 건 큰 계획을 가진 가공할 사자.[3] 타카의 친어머니이자 무파사의 양어머니.[4] 타카의 친아버지이자 무파사의 양아버지.[5] 무파사의 친어머니.[6] 무파사의 친아버지.[7] 심바 왕과 날라 여왕의 딸.[8] 날라 역을 맡은 비욘세의 장녀.[9] ~ 2024/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0] 하지만 존스의 상징과도 같은 배역이고 그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니 만큼 카메오성의 특별출연은 기대해 볼 수 있다.[11] 심바와 날라의 아들인 코파가 주인공인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