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8:46:27

멸종/사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멸종
,
,
,
,
,

파일:멸종위기등급_절멸.svg

1. 개요2. 종류3. 가상매체에서 나오는 멸종한 종족, 집단
3.1. 멸종 직전이거나 비공식적인 생존자가 있는 경우
4. 관련글

[clearfix]

1. 개요

멸종된 생물에 대한 문서. 기준이 '인간 기준에서 개체가 확인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멸종되었다고 생각되었으나 생존이 확인된 개체도 있으며, 적색목록에선 아직 심각한 멸종위기이나 마지막 기록이 오래되어서 실질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 종도 있다.

2. 종류

†표시는 멸종한 종을 나타내는 표시로 위키피디아위키 사이트에서 흔히 쓰인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이하 목록에는 반드시 인류 역사 이래로 멸종이 기록된 생물들만 추가해 주시고, 그 이전에 멸종한 생물은 분류:고생물 문서를 참조해서 추가를 부탁드리며, 멸종 위기 동물멸종 위기 동물/목록 문서에 추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개별 문서가 없는 경우에만 부가 설명을 하며 개별 문서가 있는 동물은 해당 문서를 참조합니다.

그리고 순서는 학명 기준으로 A~Z 순으로, 이탤릭체를 사용하여 작성 부탁드립니다.

2.1. 동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1. 곤충

2.1.2. 어류

2.1.3. 석형류

EBS 다큐 , 다큐 프라임 - 마리온 이야기
  • 세인트루시아스킨크 (Alinea luciae)
  • 라운드섬땅굴보아(Bolyeria multocarinata): 모리셔스와 그 인근 작은 섬들에서만 살았던 1m 길이의 뱀으로 초기 정착민들이 이들을 박해하고 외래종 염소와 토끼가 풀을 뜯으면서 토양 침식에 의해 서식지가 파괴된 것으로 인해 1975년에 인근의 무인도인 라운드 섬에서 발견된 것이 이 동물의 마지막 기록이 되었다.
  • 핀타섬땅거북(Chelonoidis niger abingdonii)
  • 플로레아나섬땅거북 (Chelonoidis niger niger)
  • 카보베르데큰도마뱀(Chioninia coctei): 카보베르데의 브랑코 섬과 라소 섬에서만 보고되었던 도마뱀으로, 유배된 죄수들의 식사와 몸에서 나온 기름 등이 판매되었다고 하며, 1940년대 이후로 더 이상 발견되지 않은 후 2013년에 공식적으로 멸종 선언이 내려졌다.
  • 언더우드무스라나뱀 (Clelia errabunda): 세인트루시아섬 고유종이다.
  • 비브론채찍꼬리도마뱀 (Contomastix charrua): 우루과이와 브라질에서 발견되던 도마뱀이다.
  • 레돈다섬도마뱀(Copeoglossum redondae): 앤티가 바부다에 있는 레돈다 섬에서만 살았던 종이었다.
  • 레위니옹땅거북(Cylindraspis indica): 레위니옹 섬 고유종으로 1840년대에 멸종되었다.
  • 모리셔스안장땅거북(Cylindraspis inepta): 모리셔스 섬 고유종으로, 18세기 초에 멸종되었다.
  • 로드리게스땅거북(Cylindraspis peltastes): 로드리게스 섬의 고유종으로 1800년경에 인간들의 무분별한 사냥으로 멸종되었다.
  • 모리셔스땅거북(Cylindraspis triserrata): 모리셔스 섬 고유종으로, 1735년 멸종되었다.
  • 로드리게스안장땅거북(Cylindraspis vosmaeri): 1800년경 멸종되었다.
  • 나배사코뿔이구아나(Cyclura cornuta onchiopsis): 코뿔이구아나의 나배사섬 아종(별개의 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으로 1885년에 등재되었으나 1966~1967년의 조사결과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
  • 크리스마스숲도마뱀(Emoia nativitatis): 크리스마스 섬 고유의 도마뱀 4종 중 하나로 1979년에는 흔했고 1998년에도 제법 많은 개체수가 있었지만 사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98%의 개체수가 사라지고 있었고 2003년에는 섬의 일부 파편화된 구역에서만 남아있었으며, 2008년에는 겨우 한 곳에서만 살아남았었다. 그 후 포획번식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지만 겨우 암컷 3마리만 수집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암컷이 2014년 5월 31일에 사망, 2017년에 멸종 선언이 내려졌다. 멸종 원인은 불분명하나 동양늑대뱀(Lycodon capucinus)과 대왕지네(Ethmostigmus rubripes), 긴다리비틀개미[3](Anoplolepis gracilipes), 고양이가 이들을 잡아먹고 역시 외래종으로 들어온 도마뱀들과 경쟁을 해야 했던데다 살충제 중독 및 질병 등도 한몫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종 외에도 크리스마스 섬 고유 도마뱀 3종 모두 상기의 원인으로 인해 2종은 야생에서 멸종했고, 나머지 1종도 멸종 위기 상태이다.
  • 바베이도스섬뱀 (Erythrolamprus perfuscus): 바베이도스섬 고유종으로 1961년 이후 목격되지 않고있다.
  • 로퀘치코드살모르큰도마뱀(Gallotia simonyi simonyi): 시모니도마뱀(G. simonyi)[4]의 아종으로 카나리아 제도의 엘 이에로 섬에서만 살았으며 1930년대에 멸종되었다.
  • 모리셔스섬작은도마뱀 (Gongylomorphus borbonicus): 모리셔스 고유종으로, 도마뱀 일종이다.
  • 한유수쿠스(Hanyusuchus sinensis)
  • 델쿠르큰도마뱀붙이(Hoplodactylus delcourti)
  • 리워드제도말린꼬리도마뱀(Leiocephalus cuneus): 앤티가 바부다의 앤티가와 바부다, 이 두 섬에서 살았던 종이다.
  • 나배사말린꼬리도마뱀(Leiocephalus eremitus): 나배사 섬에 서식하던 고유종의 도마뱀 일종이다.
  • 마르티니크말린꼬리도마뱀(Leiocephalus herminieri): 1830년대에 멸종되었다.
  • 레위니옹섬왕도마뱀 (Leiolopisma ceciliae): 레위니옹섬 고유종이다.
  • 모리셔스섬왕도마뱀 (Leiolopisma mauritiana): 1600년경 멸종되었다.
  • 모리셔스섬장님뱀 (Madatyphlops cariei): 17세기에 멸종되었다.
  • Nactus soniae: 레위니옹 섬에서만 살았던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 로드리게스낮도마뱀붙이(Phelsuma edwardnewtonii): 사람을 안 무서워하는 습성 때문에 길들이기가 쉬웠다고 한다. 1917년 이후 목격되지 않았다.
  • 로드리게스큰낮도마뱀붙이(Phelsuma gigas): 카웨카웨하우 다음으로 컸던 도마뱀붙이로였으나, 1842년 마지막 개체 목격이후 발견되지 않아 멸종 판정을 받았다.
  • 과들루프아메이바도마뱀(Pholidoscelis cineraceus): 과들루프 섬에 살았던 도마뱀으로 마지막 개체는 1914년에 기록되었으나, 1928년에 발생한 허리케인에 의해 멸종한 것으로 보고있다.
  • 라타스섬도마뱀(Podarcis lilfordi Rodriquezi): 1950년에 멸종되었다.
  • 산토스테파노도마뱀(Podarcis siculus sanctistephani): 1965년에 멸종되었다.
  • 귄터난쟁이굴도마뱀(Scelotes guentheri): 남아프리카 공화국 고유종으로, 1886년 채집된 표본 1점만 존재하고 있다.
  • 통가땅도마뱀(Tachygyia microlepis)
  • 이스트우드긴꼬리도마뱀(Tetradactylus eastwoodae): 남아프리카의 아열대 고고도 초원에 살았던 종으로 상업적인 이유로 유칼립투스와 소나무를 집약적으로 식재하면서 이 종의 서식지였던 초원이 파괴되어 1911년이 이 종의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발견된 해가 되어버렸다.
2.1.3.1. 조류
조강은 유전적 계통분류 상으로 석형류 용반목 수각아목의 하위 분류이자 파충강과 함께 석형류 구성하지만, 생태학적으로는 '조류가 아닌 파충류'들과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을 보이므로, 석형류의 하위 분류로서 따로 구분해 기재한다.
  • 망가레바개개비 (Acrocephalus astrolabii)
  • 레이산밀러버드(Acrocephalus familiaris familiaris): 밀러버드(A. familiaris)의 레이산 아종[5]으로 19세기 말에 레이산 섬에 도입된 토끼가 섬의 식생을 초토화시켜 둥지가 천적에게 노출된데다 먹이가 되는 토착 나방들이 급감 내지는 멸종하였고, 거기에 밀렵까지 성행하여 1923년엔 겨우 1건의 미확인 보고만 있었던데다 그 해 4월 24일에 모래폭풍이 레이산을 강타한 이후 더 이상 발견기록이 없다[6].
  • 나이팅게일개개비 (Acrocephalus luscinius)
  • 포스터개개비 (Acrocephalus musae)
  • 아귀잔개개비 (Acrocephalus nijoi)
  • 파간개개비 (Acrocephalus yamashinae)
  • 버뮤다톱날올빼미 (Aegolius gradyi)
  • 코끼리새((Aepyornithidae)
    • 아르피오르니스속(Aepyornis)
      • 힐데브란트코끼리새(A. hildebrandti)
      • 큰코끼리새(A. maximus)
    • 물레오르니스속(Mullerornis)
      • 물레오르니스 모데스투스(M. modestus)
  • 오아후아키알로아 (Akialoa ellisiana)
  • 라나이아키알로아 (Akialoa lanaiensis)
  • 하와이아키알로아 (Akialoa obscura)
  • 카우아이아키알로아 (Akialoa stejnegeri)
  • 모리셔스푸른비둘기 (Alectroenas nitidissimus)
  • 로드리게스푸른비둘기 (Alectroenas payandeei)
  • 레위니옹혹부리오리 (Alopochen kervazoi)
  • 모리셔스혹부리오리 (Alopochen mauritiana)
  • 자메이카숲뜸부기(Amaurolimnas concolor concolor): 남아메리카에 사는 조류인 민무늬뜸부기(A. concolor)의 모식 아종으로, 1881년 경에 멸종을 맞기 전까지 자메이카에서 살았던 이 새는 쥐와 고양이에게 위협받고 있었다가 1872년에 몽구스가 도입된 것이 치명타로 9년 후에 표본이 수집된 것이 마지막 기록이 되었다.
  • 마르티니크아마존앵무 (Amazona martinicana)
  • 과달루페아마존앵무 (Amazona violacea)
  • 쿨레브라아마존앵무(Amazona vittata gracileps): 푸에르토리코아마존앵무(A. vittata)의 두 아종 중 하나[7]푸에르토리코 동쪽의 작은 섬인 쿨레브라 섬에서만 살았으며, 1912년에 자취를 감추었다.
  • 검정바다멧참새(Ammodramus maritima nigrescens)
  • 마리아나청둥오리 (Anas oustaleti)
  • 모리셔스오리 (Anas theodori)
  • 유리마코앵무(Anodorhynchus glaucus): 아르헨티나 북부와 파라과이 남부, 브라질 등에 분포하였던 금강앵무의 일종으로, 살아있는 같은 속의 다른 2종[8]이 푸른 색을 띄는데 비해 깃털색이 하늘색에 가까운 것이 특징인 이 새는 비록 IUCN 적색목록에선 아직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로 분류는 되어 있으나 이미 19세기부터 희귀해진 상태에 20세기 들어선 야생에서의 보고가 겨우 2건 밖에 전해지지 않는데다 20세기 후반 동안의 조사 결과 서식지 일대에서 이들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멸종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채텀방울새 (Anthornis melanocephala)
  • 모리셔스붉은뜸부기 (Aphanapteryx bonasia)
  • 코스라에찌르레기 (Aplonis corvina)
  • 태즈먼찌르레기 (Aplonis fusca)
  • 마우케찌르레기 (Aplonis mavornata)
  • 라이아테아찌르레기 (Aplonis ulietensis)
  • 쿠바홍금강앵무 (Ara tricolor)
  • 버뮤다새매 (Bermuteo avivorus)
  • 세인트헬레나작은슴새 (Bulweria bifax)
  • 누벨칼레도니뜸부기(Cabalus lafresnayanus): 비록 아직까지는 IUCN에선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로 분류되고 있기는 하지만 1860~1890년대 사이에 누벨칼레도니에서 수집된 17점의 표본이 전부에 목격 기록도 1890년 이후로는 1960년대와 1984년의 불분명한 기록 뿐이고 1998년의 조사 과정에서는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은 멸종했을 가능성이 높다.
  • 채텀뜸부기 (Cabalus modestus)
  • 점박이녹색비둘기 (Caloenas maculata)
  • 황제딱따구리(Campephilus imperialis)
  • 상아부리딱따구리(Campephilus principalis)
    • 쿠바상아부리딱따구리(C. p. bairdii): 1987년 마지막으로 발견.
    • 미국상아부리딱따구리(C. p. principalis): 미국 남부의 숲에 살던 딱따구리. 딱따구리 중 3번째로 큰 종이었으며 1944년 마지막으로 발견되었지만 2004년 아칸소에서 신빙성 75%의 영상이 찍히는 등 보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비슷하게 생긴 도가머리딱따구리(Dryocopus pileatus)와 착각했다고 보는 해석이 많으며[9] 2021년 공식 멸종이 선언되었다가 여러 보고들로 인해 2023년으로 연기되었다.
  • 까치오리 (Camptorhynchus labradorius)
  • 남섬코카코(Callaeas cinereus): 뉴질랜드 남섬에 살았던 아랫볏찌르레기과(Callaeidae)의 새로 서식지 파괴와 외래 포유류 포식동물에 의해 수가 줄어들어 20세기에 들어선 흔하지 않은 동물이 되었고 1960년에 들어선 거의 사라졌는데, 친척인 북섬코카코(C. wilsoni)가 위기에 처하긴 했어도 아직은 최소관심 단계에 머무른데 비해 이 종만 위기에 처한 것은 이들이 땅 주변에서 먹이를 찾거나 둥지를 트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 중이다. 결국 1967년 이후 신빙성 있는 목격 사례는 2007년의 단 한 건만을 남긴 상태라 이 종의 생존 여부는 매우 불분명하다.
  • 과달루페카라카라 (Caracara lutosa)
  • 오가사와라양진이 (Carpodacus ferreorostris)
  • 핀치오리 (Chenonetta finschi)
  • 코나콩새 (Chloridops kona)
  • 신비나무사냥꾼새 (Cichlocolaptes mazarbarnetti)
  • 하와이되새 (Ciridops anna)
  • 북섬도요 (Coenocorypha barrierensis)
  • 남섬도요 (Coenocorypha iredalei)
  • 버뮤다딱따구리 (Colaptes oceanicus)
  • 류큐숲비둘기 (Columba jouyi)
  • 모리셔스숲비둘기 (Columba thiriouxi)
  • 마데이라숲비둘기(Columba palumbus maderensis): 마데이라 제도에 한정해서 살았던 숲비둘기의 아종으로, 20세기 초에는 이미 희귀해진 상태였으며 1924년부터는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 오가사와라흑비둘기(Columba versicolor)
  • 로드하우섬비둘기(Columba vitiensis godmanae): 1853년에 멸종되었다.
  • 캐롤라이나앵무(Conuropsis carolinensis)
  • 뉴질랜드메추라기 (Coturnix novaezelandiae)
  • 달팽이잡이코우아 (Coua delalandei)
  • 맥쿼리앵무 (Cyanoramphus erythrotis)
  • 로드하우앵무 (Cyanoramphus subflavescens)
  • 라이아테아앵무 (Cyanoramphus ulietanus)
  • 타히티앵무 (Cyanoramphus zealandicus)
  • 서부적갈수염솔새(Dasyornis broadbenti litoralis): 호주 서부에 살았던 적갈수염솔새(D. broadbenti)의 아종으로 목초지 형성을 위한 서식지 방화가 유력한 원인으로 손꼽히는 채 1908년의 기록을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 호킨스뜸부기 (Diaphorapteryx hawkinsi)
  • 모아(Dinornithiformes)
  • 검은마모 (Drepanis funerea)
  • 하와이마모 (Drepanis pacifica)
  • 캥거루섬에뮤(Dromaius novaehollandiae baudinianus): 1827년에 멸종되었다.
  • 태즈메이니아에뮤(Dromaius novaehollandiae diemenensis): 19세기 중반에 멸종되었다.
  • 킹섬에뮤(Dromaius novaehollandiae minor): 1822년에 멸종되었다.
  • 레위니옹뜸부기 (Dryolimnas augusti)
  • 라나이꿀먹이새 (Dysmorodrepanis munroi)
  • 대양앵무 (Eclectus infectus)
  • 여행비둘기(Ectopistes migratorius)
  • 로드리게스뜸부기 (Erythromachus leguati)
  • 레위니옹황조롱이 (Falco duboisi)
  • 레위니옹섬포디새 (Foudia delloni)
  • 후투티찌르레기 (Fregilupus varius)
  • 마스카렌물닭 (Fulica newtonii)
  • 트리스탄쇠물닭 (Gallinula nesiotis)
  • 사모아쇠물닭(Gallinula pacifica): 사모아 최대의 섬인 사바이 섬에서만 살았던 이 거의 날지 못했던 종은 1869년에 처음 보고되어 마지막 표본이 1873년에 수집되었다. 1907년을 기점으로 멸종되었을 것으로 여겨지긴 하나 미확인된 보고가 1984년과 2003년에 있어서 아직은 멸종이 아닌 심각한 멸종위기 단계로는 남아있다.
  • 마키라쇠물닭(Gallinula silvestris): 비록 공식적으로는 심각한 멸종위기로 남아있긴 해도 마지막 보고가 1953년인 것으로 보아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통가타푸뜸부기 (Gallirallus hypoleucus)
  • 로드하우파리잡이새 (Gerygone insularis)
  • 죽마올빼미(Grallistrix)
    • 카우아이죽마올빼미(G. auceps)
    • 마우이죽마올빼미(G. erdmani)
    • 몰로카이죽마올빼미(G. geleches)
    • 오아후죽마올빼미(G. orion)
  • 카나리아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meadewaldoi)
  • 오아후누쿠푸 (Hemignathus lucidus)
  • 노퍽섬비둘기(Hemiphaga novaeseelandiae spadicea): 뉴질랜드비둘기(H. novaeseelandiae)의 노퍽 섬 아종으로 1901년이 마지막 발견이었다.
  • 불혹주머니찌르레기 (Heteralocha acutirostris)
  • 하스트수리(Hieraaetus moorei)
  • 레이산꿀빨이새 (Himatione fraithii)
  • 과달루페바다제비(Hydrobates macrodactylus): 바다제비의 일종으로, 멕시코 바하 칼리포르니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과달루페 섬에서만 번식했는데 염소가 섬을 황폐화시킨데다 19세기 말에 도입된 고양이들이 바다제비들을 사냥하면서 1906년까진 그래도 많은 수가 있었던 이들이 1912년에 번식 중인 새 한 마리가 발견된 것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보고가 전해지지 않고 있으며 2000년 6월에 있었던 서식지 조사과정에서도 이들의 생존 증거를 찾아내지는 못했다. 적색목록에서는 아직까진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로 분류중.
  • 디펜바흐뜸부기 (Hypotaenidia dieffenbachii)
  • 타히티붉은부리뜸부기 (Hypotaenidia pacifica)
  • 맥쿼리뜸부기(Hypotaenidia philippensis macquariensis): 띄무늬뜸부기(H. philippensis)의 맥쿼리 섬 고유 아종으로, 1820년에 외래종인 고양이가 들어왔음에도 겨울철에는 먹이가 부족했던 것으로 수가 늘어나지 못해 감당할 수 있었지만, 1870년대에 토끼와 웨카가 들어오면서 상황이 바뀌어서 토끼들은 서식지를 초토화시키고 그런 토끼를 잡아먹고 수를 불린 고양이와 웨카에 의한 포식 활동 증가로 이어져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사라졌다.
  • 흰죽지뜸부기(Hypotaenidia poeciloptera)
  • 웨이크뜸부기(Hypotaenidia wakensis)
  • 뉴질랜드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novaezelandiae)
  • 노퍽섬할미새사촌(Lalage leucopyga leucopyga)
  • 넓은부리앵무 (Lophopsittacus mauritianus)
  • 오아후아케파 (Loxops wolstenholmei)
  • 암스테르담오리 (Mareca marecula)
  • 마스카렌앵무 (Mascarinus mascarin)
  • 포울리 (Melamprosops phaeosoma)
  • 뉴질랜드비오리 (Mergus australis)
  • 쇼아줄비둘기 (Microgoura meeki)
  • 오오(Mohoidae)
  • 어센션뜸부기 (Mundia elpenor)
  • 올로마오(Myadestes lanaiensis): 하와이 제도의 마우이와 라나이, 몰로카이, 오아후에 살았던 종으로 심각한 멸종위기로는 분류 상태이긴 하나, 오아후에 살았던 아종인 아마우이(M. l. woahensis)는 가장 이른 1850년대에 사라져서 확실하게 멸종한데다 1825년에 채집된 표본까지 유실되어 남은건 아화석 뿐이고, 라나이 아종(M. l. lanaiensis)은 1933년이 마지막 발견이었으며, 그나마 유일하게 남은 몰로카이 아종(M. l. rutha)도 1980년 이후 더 이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 종이 사라지게 된 이유로는 삼림 벌채와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조류 말라리아 등이 있으며, 야생화된 돼지 역시 모기가 번식할 웅덩이들을 대거 만들면서 이 종을 포함한 토착 조류의 멸종을 앞당겼다.
  • 카우아이큰지빠귀 (Myadestes myadestinus)
  • 괌넓은부리까치딱새 (Myiagra freycineti)
  • 세인트헬레나섬뻐꾸기 (Nannococcyx psix)
  • 로드리게스찌르레기 (Necropsar rodericanus)
  • 로드리게스앵무 (Necropsittacus rodicanus)
  • 알다브라덤불휘파람새 (Nesillas aldabrana)
  • 모리셔스거북비둘기 (Nesoenas cicur)
  • 레위니옹분홍비둘기(Nesoenas mayeri duboisi): 1689년의 기록이 마지막이었던 이 동물은 모리셔스에 사는 분홍비둘기(N. mayeri)의 레위니옹 섬 아종이었다.
  • 로드리게스비둘기 (Nesoenas rodericanus)
  • 노퍽카카 (Nestor productus)
  • 웃는올빼미 (Ninox albifacies)
  • 로드하우뉴질랜드솔부엉이(Ninox novaeseelandiae albaria): 뉴질랜드솔부엉이(N. novaeseelandiae)의 로드하우 섬 아종으로, 1920년대에 곰쥐 유입을 통제하려는 일환으로 로드하우에 들여온 가면올빼미의 도입 이후에 빠르게 사라져가 1950년대를 기점으로 완전히 사라지는데 쥐에 의한 포식행위인지, 가면올빼미에 의한 포식 또는 경쟁에 의한 결과인지는 몰라도 적어도 이들 외래종이 이 아종의 운명을 결정지었음엔 변함이 없다.
  • 노퍽섬올빼미(Ninox novaeseelandiae undulata): 위 아종과 마찬가지로 뉴질랜드솔부엉이의 아종으로 인간의 벌목과 유입종인 벌들과 진홍장미앵무와의 경쟁으로 1986년엔 암컷 한 마리만 남았고 1996년에 자취를 감춤으로써 이 아종은 멸종되었지만, 그 전에 마지막 암컷이 뉴질랜드 본토 아종과의 교배 끝에 남긴 혼혈 개체들이 이 아종의 명맥을 미약하게나마 이어가고는 있다.
  • 북방마도요(Numenius borealis): 1963년의 기록 이후로 추가적인 기록은 없으며, IUCN에서는 아직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이나 멸종 가능성이 있음으로 분류해놓고 있다.
  • 버뮤다해오라기 (Nyctanassa carcinocatactes)
  • 레위니옹해오라기 (Nycticorax duboisi)
  • 모리셔스해오라기 (Nycticorax mauritianus)
  • 로드리게스해오라기 (Nycticorax megacephalus)
  • 레위니옹소쩍새 (Otus grucheti)
  • 로드리게스소쩍새 (Otus murivorus)
  • 모리셔스소쩍새 (Otus sauzieri)
  • 타나땅비둘기 (Pampusana ferrugineus)
  • 노퍽땅비둘기 (Pampusana norfolkensis)
  • 굵은부리땅비둘기 (Pampusana salamonis)
  • 카카와히에 (Paroreomyza flammea)
  • 솔리테어(Pezophaps solitaria)
  • 알라고아스이삭줍기새 (Philydor novaesi)
  • 큰바다오리(Pinguinus impennis)
  • 버뮤다토히새 (Pipilo naufragus)
  • 콜롬비아논병아리 (Podiceps andinus)
  • 아티틀란논병아리(Podilymbus gigas)
  • 이오지마뜸부기(Poliolimnas cinereus brevipes): 흰눈썹쇠뜸부기(P. cinereus)의 이오지마 고유의 아종으로 1924년에 마지막으로 발견된 이 새를 사라지게 만든 것은 사탕수수 재배를 위한 벌목 및 외래종으로 들어온 고양이와 쥐들이었다.
  • 에이아오까치딱새 (Pomarea fluxa)
  • 마우피티까치딱새 (Pomarea maupitiensis)
  • 누쿠히바까치딱새 (Pomarea nukuhivae)
  • 채텀풀새 (Poodytes rufescens)
  • 흰쇠물닭 (Porphyrio albus)
  • 레위니옹쇠물닭 (Porphyrio caerulescens)
  • 누벨칼리도니쇠물닭 (Porphyrio kukwiedei)
  • 북섬타카헤 (Porphyrio mantelli)
  • 마르케사스쇠물닭 (Porphyrio paepae)
  • 크리스마스도요 (Prosobonia cancellata)
  • 무레아도요 (Prosobonia ellisi)
  • 타히티도요(Prosobonia leucoptera)
  • 극락앵무 (Psephotus pulcherrimus)
  • 세인트헬레나큰슴새 (Pseudobulweria rupinarum)
  • 모리셔스섬회색앵무 (Psittacula bensoni)
  • 레위니옹앵무(Psittacula eques eques): 현존하는 에코앵무(P. eques)의 레위니옹 아종으로 사냥과 삼림벌목으로 인해 1732년의 기록을 끝으로 자취를 감추었으며, 이 아종의 유일한 표본마저 분실되어 이제 이 표본을 기반으로 한 그림들만 남은 상태이다.
  • 로드리게스고리목앵무 (Psittacula exsul)
  • 세이셸앵무 (Psittacula wardi)
  • 자메이카바다제비(Pterodroma caribbaea): 1879년에 마지막으로 표본이 수집된 이후 20세기 내내 발견 기록이 전무하나 야행성이라 확인이 어렵고 도미니카와 과달루프 등에 서식 가능성이 있어서 아직은 멸종이 아닌 심각한 멸종위기로 분류 중이기는 하다. 만약 멸종했을 경우 이는 외래종인 쥐와 몽구스의 도입이 주된 원인일 것이다.
  • 붉은콧수염과일비둘기 (Ptilinopus mercierii)
  • 산크리스토발섬다홍딱새 (Pyrocephalus dubius)
  • 가는부리긴꼬리검은찌르레기사촌 (Quiscalus palustris)
  • 도도(Raphus cucullatus)
  • 로드하우섬부채꼬리딱새 (Rhipidura fuliginosa cervina)
  • 작은코아핀치 (Rhodacanthis flaviceps)
  • 큰코아핀치 (Rhodacanthis palmeri)
  • 분홍머리오리(Rhodonessa caryophyllacea): 인도 갠지스강과 벵골 유역 미얀마에 분포하던 새로[11] 19세기 말 이 지역을 점령한 영국인들의 무분별한 사냥과 포획으로 자취를 감추었다.[12] 1926년에 발견된 마지막 개체들이 1950년에 죽으면서 완전히 멸종된 것으로 보이나 2006년 중반 무렵부터 원래 서식지 중 하나였던 미얀마 늪지대에서 이 새를 발견했다는 목격담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멸종 여부는 불명이다.
  • 브레이스에메랄드벌새 (Riccordia bracei)
  • 굴드에메랄드벌새(Riccordia elegans)
  • 아라비아타조(Struthio camelus syriacus)
  • 알라오트라논병아리 (Tachybaptus rufolavatus)
  • 원앙사촌(Tadorna cristata): 멸종 가능성이 있는 종이다.
  • 레위니옹따오기 (Threskiornis solitarius)
  • 라이얼굴뚝새(Traversia lylli)
  • 호젠쇠물닭 (Tribonyx hodgenorum)
  • 노퍽섬지빠귀(Turdus poliocephalus poliocephalus): 섬지빠귀(T. poliocephalus)의 모식 아종이기도 한 노퍽 섬 아종으로 1975년에 마지막 기록만 남기고 자취를 감추었다.
  • 로드하우섬지빠귀(Turdus poliocephalus vinitinctus): 섬지빠귀의 아종으로 1918~1924년 사이에 멸종되었다.
  • 그랜드케이맨지빠귀 (Turdus ravidus)
  • 남섬피오피오 (Turnagra capensis)
  • 북섬피오피오 (Turnagra tanagra)
  • 뉴잉글랜드초원뇌조(Tympanuchus cupido cupido)
  • 안경가마우지 (Urile perspicillatus)
  • 자바물떼새(Vanellus macropterus): 아직은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로 분류되나 1940년의 목격이 가장 마지막 기록이기 때문에 멸종 가능성이 농후하다.
  • 큰아마키히 (Viridonia sagittirostris)
  • 덤불굴뚝새 (Xenicus longipes)
  • 세인트헬레나섬뜸부기 (Zapornia astrictocarpus)
  • 코스라에섬뜸부기 (Zapornia monasa)
  • 타히티뜸부기 (Zapornia nigra)
  • 레이산뜸부기 (Zapornia palmeri)
  • 하와이뜸부기 (Zapornia sandwichensis)
  • 오가사와라지빠귀 (Zoothera terrestris)
  • 괌흰눈둘레동박새(Zosterops conspicillatus conspicillatus): 흰눈둘레동박새(Z. conspicillatus)의 모식 아종[13]으로 괌에서만 살았으며 외래종 갈색나무뱀에 의한 포식에 의해 멸종을 맞아 1983년의 발견이 마지막이었다.
  • 마리안동박새 (Zosterops semiflavus)
  • 로드하우큰동박새 (Zosterops strenuus)
  • 짐새: 아직까지는 크립티드로 분류되지만, 단순히 크립티드로 치부하기에는 공문서나 칙서 등 각종 공식적인 기록들이 많이 남아있다. 이 땅에 실존했던 조류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실존했다면 위험한 짐독을 가졌다는 죄로 적극적으로 서식지를 파괴당하고 사냥당해 멸종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2.1.4. 포유류

  • 부발하테비스트(Alcelaphus buselaphus buselaphus)
  • 캅카스말코손바닥사슴(Alces alces caucasicus): 말코손바닥사슴의 아종으로 이름 그대로 캅카스 일대에 살았던 이 아종은 19세기 중반까지는 제법 흔했지만 그 후 남획으로 인해 수가 급감하여 20세기 초의 어느 시기에 멸종해버렸다.
  • 사막베통(Bettongia anhydra)
  • 널라버난쟁이베통(Bettongia pusilla)
  • 캅카스들소(Bison bonasus caucasicus): 유럽들소의 캅카스 아종으로 러시아 혁명기에 혁명군이 사냥하여 멸종되었는데, 혁명군이 이 동물을 사냥한 이유는 이 동물의 보호자가 러시아 제국의 황제들이었기 때문이며, 그 외에 농민들과 제국 병사들의 식량으로 잡히기도 했다. 멸종된 시기는 마지막 개체 3마리가 살해당한 1927년. 이로 인해 현재 남은 유럽들소의 아종은 평지들소(B. b. bonasus)가 유일하다. 다만 이들의 유전자 자체는 1925년까지 살았던 유일한 포획 개체인 코카서스가 평지들소와 교배하면서 후손을 남긴 것으로 오늘날까지도 캅카스들소의 혈통이 섞인 일부 개체들이 남아 있다.
  • 카르파티아들소(Bison bonasus hungarorum): 캅카스들소와 마찬가지로 유럽들소의 아종으로 이름 그대로 카르파티아 산맥에 살았는데, 캅카스들소보다 좀 더 사람과 엮이기 쉬웠던 중부유럽에 살고 있었던 것이 비극으로 작용, 캅카스에 살았던 친척 아종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사라져갔고 1852년에 마지막 개체가 총살당했으며 캅카스들소와 달리 교잡된 후손들조차 남아있지 않다. 그 후 2014년에 유럽들소들이 재도입되었지만 이들은 모두 폴란드산 평지들소.
  • 오리엔테동굴쥐(Boromys offella): 가시쥐과(Echimyidae)에 속하는 쿠바에서만 살던 쥐로 저지 아열대 및 열대우림에 살던 종이었으나 외래종 쥐의 도입으로 멸종당해 현재 남아있는 건 화석기록들 뿐이다.
  • 토레동굴쥐(Boromys torrei): 위의 오리엔테동굴쥐와 마찬가지로 쿠바에 고유해서 살았던 설치류였다.
  • 오록스(Bos primigenius)
  • 쿠프레이(Bos sauveli)
  • 히스파니올라쥐(Brotomys voratus): 히스파니올라섬에 살았던 설치류로 유럽인들과 함께 들어온 유라시아산 쥐들에 의해 멸종을 맞았다.
  • 사막쥐캥거루(Caloprymnus campestris): 1935년에 멸종되었다.
  • 케나이반도늑대(Canis lupus alces)
  • 홋카이도늑대(Canis lupus hatai)
  • 일본늑대(Canis lupus hodophilax)
  • 포르투갈아이벡스(Capra pyrenaica lusitanica): 이베리아아이벡스(C. pyrenaica)의 아종으로 이름 그대로 포르투갈은 물론 갈리시아아스투리아스, 서부 칸타브리아에 살았으나 1892년에 멸종되었다.
  • 피레네아이벡스(Capra pyrenaica pyrenaica)
  • 동부와피티(Cervus canadensis canadensis):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 남부에 살던 와피티사슴의 모식 아종으로 1877년 9월 1일에 마지막 개체가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사살당한 것이 마지막이었다.
  • 메리엄와피티(Cervus canadensis merriami): 미국 남서부 및 멕시코에 살았던 아종으로 무분별한 사냥과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 소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1906년에 자취를 감추었다.
  • 남부돼지발반디쿠트(Chaeropus ecaudatus): 마지막 개체가 1901년에 수집되었다.
  • 북부돼지발반디쿠트(Chaeropus yirratji): 상기 종과 같은 종으로 여겨졌다가 2019년에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 흰발토끼쥐(Conilurus albipes): 호주 남동부에 살던 토착 설치류로 1845년에 멸종되었다.
  • 카프리콘토끼쥐(Conilurus capricornensis): 2010년에 신종으로 알려진 동물로 호주 퀸즐랜드의 카프리콘 동굴에서 발견된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비록 정확히 언제 사라졌는지는 미지수나 일부 아화석들은 유럽인의 정착 이후에 나온 것으로 알려져 비교적 최근에 멸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티모르섬큰쥐 (Coryphomys buehleri)
  • 일린구름쥐(Crateromys paulus): 필리핀의 일린 섬에서 1953년 4월 4일에 수집된 표본 한 점이 유일한 기록인 설치류로, 비록 적색목록에선 아직 멸종 선언이 내려지진 않았으나 그 후로 반세기 넘게 신규 보고는 고사하고 섬의 숲들마저 인간 활동에 의해 파괴되었기 때문에 생존 가능성은 매우 낮다.
  • 크리스마스땃쥐(Crocidura trichura): 호주 크리스마스 섬에 살았던 땃쥐의 일종으로 20세기 초반에 급격하게 수가 줄어들어 1958년 이후 소식이 없었다가 1985년에 간신히 두 개체를 포획했으나 얼마 못 가 죽었고, 그 후 수 차례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개체를 찾지 못해 2023년 현재에는 극히 희귀하거나 이미 멸종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붉은배가는주머니쥐(Cryptonanus ignitus): 아르헨티나 북서부의 후후이 주에서만 살았던 종으로 이 종의 서식지인 숲이 파괴된 것으로 인해 1962년의 발견이 이 종의 마지막이었다.
  • 자이언트포사(Cryptoprocta spelea): 현존하는 포사(C. ferox)의 대형 친척 동물로 이들이 멸종한지 한참 뒤인 1902년에 보고되어 1935년에서야 현존하는 작은 친척과 별개의 동물임이 인식되었다. 14세기 이전에 사라진 이 동물이 사라진 정확한 시기와 원인은 불분명.
  • 북부수마트라코뿔소(Dicerorhinus sumatrensis lasiotis): 치타공코뿔소로도 불렸던 동물로, 수마트라코뿔소의 세 아종 중 유일하게 아시아 대륙 본토인 인도차이나반도에 살았던 아종[14]이자 가장 컸던 아종이었으며 수마트라 섬 아종(D. s. sumatrensis)보다는 몸에 털은 적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수렵과 서식지 파괴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20세기 중에 멸종한 것으로 여겨지나, 미얀마말레이반도에서 의심쩍긴 해도 야생에서의 목격 사례가 몇 건 있어서인지 아직은 공식 멸종 선언이 내려지진 않았다.
  • 남부검은코뿔소(Diceros bicornis bicornis): 검은코뿔소의 남아프리카 아종이자 모식 아종으로, 케이프검은코뿔소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던 이 동물은 과거에 케이프 지역과 트란스발, 나미비아 남부 등 남아프리카의 넓은 지역에 살고 있었으나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1850년 경에 자취를 감추었다.
  • 북동검은코뿔소(Diceros bicornis brucii): 역시 검은코뿔소의 아종으로 과거에는 수단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북부 및 남동부, 지부티, 소말리아 북부 및 남동부에 살았으나 20세기 초에 씨가 말랐다.
  • 서부검은코뿔소(Diceros bicornis longipes): 검은코뿔소의 서아프리카 아종으로 2006년에 카메룬 북부에서의 마지막 발견 이후 6개월 간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생존된 개체가 발견되지 않았고 그로부터 5년 후인 2011년에 공식으로 멸종 판정이 내려졌다.
  • 포클랜드늑대(Dusicyon australis)
  • 남아메리카늑대(Dusicyon avus): 포클랜드늑대와 밀접한 종으로 대략 400년 전까지는 살아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시리아코끼리(Elephas maximus asurus): 아시아코끼리의 가장 컸던 아종. 그러나 인도코끼리(E. m. indicus)의 서아시아 개체군일 가능성이 높다. 중동과 인도 등의 국가에서 전쟁용으로 또는 상아를 얻기 위해 이들을 남획한데다, 서식지까지 파괴되면서 기원전 700년을 전후로 멸종했다.
  • 누비아야생당나귀(Equus africanus africanus): 가축화된 당나귀(E. a. asinus)의 조상종으로 알려진 아프리카야생당나귀(E. africanus)의 모식 아종으로 사냥과 가축과의 경쟁, 가축 당나귀와의 교잡으로 인해 1970년대 이후 야생에서 자취를 감추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친척 아종인 소말리야생당나귀(E. a. somaliensis) 역시 비슷한 이유로 위기에 처했다. 다만 이집트와 수단의 국경지대인 가발 엘바(Gabal Elba) 국립공원과 뜬금없게도 네덜란드의 섬 보네르의 두 지역에 있는 야생화된 당나귀가 이 아종의 후손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순도는 아직 불분명한 상황이다.
  • 아틀라스야생당나귀(Equus africanus atlanticus):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북아프리카 아종으로, 로마인들의 여흥을 위한 사냥에 의해 서기 3백년 경에 멸종했을 것으로 보인다.
  • 타르판(Equus ferus ferus): 가축화된 말(E. f. caballus)의 아종이자 말의 모식종으로 1879년에 야생에서 멸종했으며, 1909년에 러시아에 포획되어 있던 마지막 개체도 죽음으로써 멸종했다. 이로써 현재 존재하는 야생마몽골야생말이 유일하다. 그러나 최근에 타르판이 진정한 야생마가 아닌 가축말들의 잡종일 수 있다는 의심이 제기되고 있다.
  • 시리아야생당나귀(Equus hemionus hemippus)
  • 콰가(Equus quagga quagga)
  • 붉은가젤(Eudorcas rufina): 알제리 북부에 살던 종으로, 야생에선 목격된 적이 없이 오로지 19세기 말에 알제오랑에 있는 시장에서 구매된 표본 세 점이 이들의 존재를 증명하는 단서일 뿐이었다. 다만 이전부터 이 종을 붉은이마가젤(E. rufifrons)의 아종으로 간주하는 견해가 있었던데다, 2008년의 연구 결과 실제로 세 점의 표본 중 하나가 붉은이마가젤의 것으로 판명, 같은 종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멸종에서 자료 부족 상태로 옮겨졌다.
  • 시바의 여왕 가젤(Gazella bilkis): 1951년 멸종하였다.
  • 사우디가젤(Gazella saudiya): 1970년 야생에서 마지막 개체 목격 이후 발견되지 않아 1996년 멸종 판정을 받았다.
  • 쿠바후티아(Geocapromys columbianus): 쿠바의 우림 및 선인장 관목 지대에 살았을 이 종은 1500년 경에 유럽인들이 들여온 외래종에 의해 멸종했을 것으로 여겨지나, 일부는 홀로세 초반에 멸종했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서 이 경우 이 문서에서의 등록 기준을 상실하여 제외되게 된다.
  • 리틀스완후티아(Geocapromys thoracatus): 온두라스 북동부의 작은 섬인 리틀 스완 섬에서만 살았던 동물로 자메이카후티아(G. brownii)의 아종으로 추정되기도 하는 이 종은 20세기 초반까진 제법 흔했으나 1955년에 허리케인 자넷의 강타와 그 직후 섬에 들여진 고양이에 의해 싹이 마른 것으로 여겨진다.
  • 인슐라동굴쥐(Heteropsomys insulans): 푸에르토리코에 살던 고유종이다.
  • 가면후티아(Hexolobodon phenax): 히스파니올라섬에 고유한 설치류로, 유럽인들이 섬에 정착한 서기 1500년대 이후에 멸종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Hippopotamus): 지금은 모두 멸종한, 마다가스카르 고유의 하마로 총 1속 3종이 확인되었으며 지금으로부터 1천년 전쯤까지 살아있었다. 모잠비크 해협을 건너온 조상 하마에서 유래했을 이들 소형종에 대해 현재로써는 하마(H. amphibius)와 같은 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 Hippopotamus laloumena
    • Hippopotamus lemerlei
    • Hippopotamus madagascariensis: 이 종의 경우 하마가 아닌 피그미하마(Choeropsis liberiensis)와 가까운 종인 C. madagascariensis로 분류하자는 견해도 있다.
  • 파란영양(Hippotragus leucophaeus)
  • 군자긴팔원숭이(Junzi imperialis)
  • 스텔러바다소(Hydrodamalis gigas): 북태평양베링해협 일대에 서식했던 해양 포유류. 1741년에 발견되었으며 고기가 최고급 쇠고기 수준으로 맛있고 모피도 고급이라는 이유 때문에 사냥당했고 결국 인간들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1768년, 발견된지 27년만에 멸종당했다. 게다가 또 다른 멸종 원인 중 하나로 성격 자체가 매우 순한데다 친근성이 높아 위험을 모르며 한 개체가 공격당하면 바로 몰려오는지라 더 쉽게 사냥당했다.
  • 산후티아(Isolobodon montanus): 히스파니올라 섬에 살았던 설치류로 뼈들이 시궁쥐(Rattus) 속의 쥐들과 같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유럽인의 도래까지는 살아있었던 종이나 이들 외래 설치류와의 경쟁으로 인해 사라진 종으로 여겨진다.
  • 푸에르토리코후티아(Isolobodon portoricensis): 히스파니올라 원산이나 버진아일랜드와 푸에르토리코에도 퍼져살았던 종으로 타이노인들의 식량으로도 많이 잡혔다고 한다. 그럼에도 유럽인의 도래 이전까지는 살아있었으나 1500년 경에 이들과 같이 들어온 곰쥐와의 경쟁이 이들을 멸종시켰을 것이며, 설사 그 때 멸종하지 않았다한들 19세기에 작은아시아몽구스(Urva auropunctata)가 들어온 이후로는 얄짤없었을 것이다.
  • 칸당고쥐 (Juscelinomys candango): 1960년 브라질리아 주변에서 발견됐지만 멸종되었다.
  • 중부토끼왈라비(Lagorchestes asomatus): 1932년에 수집된 두개골 1점이 이 종의 존재를 알려주는 유일한 물리적인 증거인 이 동물은 외래종인 고양이와 여우의 도입으로 인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동부토끼왈라비(Lagorchestes leporides): 호주 남동부에 살았던 동물로 50cm 남짓한 몸길이(꼬리 제외. 꼬리는 33cm 가량)를 가진 작은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개에게 500m를 쫓겼음에도 6m 남짓 떨어진 성인 남자[15]의 머리 위를 뛰어넘는 놀라운 기록이 전해졌을 정도로 민첩한 동물이었다고 한다. 다만 이 동물도 집약적 농업과 초지에 풀려난 소와 양에 의해 서식지가 교란되고, 원주민들의 방화 농업[16] 중단, 고양이와 붉은여우가 호주에 풀려나면서 1889년 8월에 수집된 표본을 끝으로 이 종의 신빙성 있는 기록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 Lagostomus crassus: 페루 남부에서 두개골 1점만 발견된 설치류의 일종으로 표본이 화석화된 건 아니므로 비교적 최근에 멸종한 것으로 보이나, 현존하는 평원비스카차(L. maximus)의 대형 개체와 비슷하게 생겨서 단순히 고대에 페루까지 살았던 평원비스카차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된다.
  • 작은둥지쥐(Leporillus apicalis): 나뭇가지 등을 모아서 높이 1m, 길이 3m에 달하는 둥지를 만들었던 것이 특징인 호주 고유의 설치류로, 이런 둥지의 주 목적은 천적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소와 양과의 먹이 경쟁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이 동물은 1933년 7월 18일에 마지막 표본이 포획된 것으로 멸종을 맞았는데 이 포획 과정은 필름에 담겨 촬영되었기 때문에 한 동물이 멸종하는 순간이 영상에 담긴 희귀한 장면이 찍힌 셈이 되었다. 그 후에도 1970년에 이 동물로 추정되는 동물이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있었고 2008년에는 내륙에 약간의 생존 개체가 있을 가능성으로 인해 멸종에서 심각한 멸종위기(멸종 가능성 있음)로 등급이 하향되기도 했지만 2016년에 다시 멸종 단계로 상향되었다.
  • 양쯔강돌고래(Lipotes vexillifer)
  • 북아프리카코끼리(Loxodonta africana pharaohensis): 이름 그대로 사하라 사막 이북의 북아프리카에 살았던, 아프리카코끼리의 북아프리카 아종[17]으로 현존하는 아종들에 비해 작아서 친척종인 둥근귀코끼리와 비슷한 크기였다고 한다. 포에니 전쟁 당시 카르타고에서 전투 코끼리로 사용했던 것으로 유명했던 동물이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하의 고대 이집트에서도 이 동물을 사역해서 쓰기도 했다. 다만 로마 제국이 북아프리카를 평정하면서 서식지 파괴와 이에 따른 사막화, 그리고 검투사 시합에 쓰기 위한 수렵으로 인해 서기 4세기 쯤에 멸종을 맞았다.
  • 작은빌비(Macrotis leucura)
  • 마르티니크큰쌀쥐(Megalomys desmarestii): "큰 쥐"라는 속명에 걸맞게 카리브해의 쌀쥐 중 가장 컸던 종이자 같은 속의 종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살아남았던 종으로 서식지의 파괴와 인간의 사냥에도 불구하고 당장의 멸종 징후는 없었으나 몽펠레 화산폭발에 의해 1902년 멸종되었다. 다만 몽구스의 도입이 이 종에 더 크고 직접적인 위협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 세인트루시아큰쌀쥐(Megalomys luciae): 카리브해 동부의 세인트루시아에 살았던 동물로 작은 고양이만했던 이 동물은 1852년에 마지막으로 알려진 표본이 3년 간의 사육 끝에 런던 동물원에서 사망하였으며, 1881년이 마지막 기록이 되었다.
  • 갈라파고스큰쥐 (Megaoryzomys curioi)
  • 브램블케이모자이크꼬리쥐(Melomys rubicola)
  • 난쟁이후티아(Mesocapromys nana): 쿠바 고유의 설치류로, 아직은 심각한 멸종위기 판정이지만은 마지막 발견이 이미 수십년 전인 1937년의 일이고 몽구스와 곰쥐의 유입, 서식지 파괴가 이들의 생존 가능성을 줄이고 있다.
  • 산펠리페후티아(Mesocapromys sanfelipensis): 쿠바의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설치류로 1970년에 첫 발견된 이후 추가 소식이 없다.
  • 쓰시마관코박쥐(Murina tenebrosa): 1962년에 일본 쓰시마섬에서 늙은 암컷 한 마리가 채집된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 기록으로, 그 이후 조사에서 이 종의 발견에 실패한데다 섬의 삼림이 벌목으로 훼손되어서 이 종의 생존 가능성을 어둡게 만든다.
  • 세인트킬다생쥐(Mus musculus muralis): 스코틀랜드 북동부의 세인트 킬다 군도에 살았던 생쥐의 아종으로 1899년에 처음 기록되었지만 불과 30여년 만인 1930년 8월 29일에 모든 주민들이 이 군도를 떠남으로써 인간에 강하게 의존했던 이 아종은 순식간에 멸종의 길을 걸었다. 반면 이 섬에 살던 또 다른 쥐의 아종인 세인트킬다들쥐(Apodemus sylvaticus hirtensis)는 군도가 버려진 후로도 빈 집에 옮겨사는 식으로 적응하는데 성공했으며 지금도 세인트 킬다 군도의 고유종으로써 남아 있다.
  • 발레아레스염소(Myotragus balearicus): 발레아레스 제도마요르카 섬과 메노르카 섬에 살았던 염소의 일종으로 4,500여년 전에 인류가 발레아레스 제도에 도착하면서 멸종되었다.
  •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Mystacina robusta): 1965년 이후로 발견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타이완구름표범(Neofelis nebulosa)
  • 카리브몽크물범(Neomonachus tropicalis)
  • 바다밍크(Neovison macrodon): 북미에서 멸종된 유일한 족제비과 종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멸종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1903년에서야 학계에 보고되었다.
  • 서인도제도땃쥐속(Nesophontes): 진무맹장목 서인도제도땃쥐과(Nesophontidae)에 유일한 속으로, 학명 그대로 네소폰테스라고도 불렸던 이 포유류들은 이 이름이 말해주듯 카리브에 있는 대앤틸리스 제도의 섬들에서만 살았으나 이들 모두 16세기부터 유럽인이 쳐들어온 이후 같이 들어온 외래종 쥐들에 의해 멸종당했으며 동물학자들이 표본을 채집할 틈도 없이 너무 빨리 사라진 나머지 남아있는 표본들은 모두 박제나 알콜 표본이 아닌 화석과 펠릿[18] 속 뼈들 뿐이다. 많게는 12종에서 적게는 이하의 일곱 종까지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중.
    • 푸에르토리코땃쥐(N. edithae)
    • 케이맨땃쥐(N. hemicingulus)
    • 아탈레이땃쥐(N. hypomicrus): 히스파니올라 섬 고유종이었다.
    • 큰쿠바땃쥐(N. major): 쿠바에 살았던 종으로 쥐들의 도입이 이들의 명줄을 끊었다.
    • 서부쿠바땃쥐(N. micrus)
    • 생미셸땃쥐(N. paramicrus): 히스파니올라 섬 고유종이었다.
    • 아이티땃쥐(N. zamicrus)
  • 갈라파고스다윈쥐(Nesoryzomys darwini): 갈라파고스 제도 산타크루즈섬에서만 살았던 종으로 1929년 12월 12~16일에 채집된 4점의 표본이 유일한 기록이다.
  • 산타크루즈섬쥐(Nesoryzomys indefessus): 1930년대 멸종되었다.
  • 페르난도데노로냐섬 쥐 (Noronhomys vespucci)
  • 얼룩왈라비(Notamacropus greyi): 마지막 포획 개체가 1939년에 사망했다.
  • 짧은꼬리껑충쥐(Notomys amplus): 1896년 6월에 마지막으로 발견되었다.
  • 긴꼬리껑충쥐(Notomys longicaudatus): 1901~1902년에 멸종되었다고 추정. 1944년에 골격이 발견, 1977년 올빼미 펠렛에서 이 쥐의 골격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이 종의 생존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멸종 등급이다.
  • 큰귀껑충쥐(Notomys macrotis): 1843년에 멸종되었다.
  • 달링다운스껑충쥐(Notomys mordax): 여우와 집고양이 등의 외래 포식동물에 의해 1840년대에 씨가 말라, 현재까지도 남은 표본은 겨우 두개골 한 점 뿐이다.
  • 큰껑충쥐(Notomys robustus): 19세기 후반까지는 살아있던 것으로 추정
  • 로드하우섬긴귀박쥐 (Nyctophilus howensis): 1972년에 발견된 두개골 한 점만 존재하고있다. 현재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극적으로 발견된다해도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있는 종이다.
  • 세인트빈센트피그미쌀쥐 (Oligoryzomys victus): 1892년 멸종되었다.
  • 초승달발톱꼬리왈라비(Onychogalea lunata): 1956년 경에 사라진 이 종의 멸종 원인은 붉은여우의 확산 때문이었을 것이다.
  • 자메이카쌀쥐 (Oryzomys antillarum): 19세기후반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마리아마드레섬쥐(Oryzomys nelsoni): 멕시코 서쪽의 마리아마드레 섬에서만 살았던 쥐로, 1897년 5월에 표본 4점이 수집되었고 이것이 이들의 마지막 기록이 되었다.
  • 배드랜드큰뿔양(Ovis canadensis auduboni): 미국 중서부의 황무지에 살았던 큰뿔양의 아종으로, 사냥으로 인해 1900년대 초반에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1926년까지는 살아남았을 것으로 보인다.
  • 늘보여우원숭이(Palaeopropithecus): 3종이 알려졌으며 이 중 P. ingens 종이 1300~1620년까지 살아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 ingens
    • P. kelyus
    • P. maximus
  • 바바리사자(Panthera leo leo)
  • 케이프사자(Panthera leo melanochaita)
  • 발리호랑이(Panthera tigris balica)
  • 자바호랑이(P. t. sondaica)
  • 네비스큰쌀쥐(Pennatomys nivalis)
  • 사막반디쿠트(Perameles eremiana): 호주 중부에 살았던 식충성 유대류로 호주에 풀려난 붉은여우가 이들을 습격한 것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급감으로 인한 방화 농업이 중단된 것 등이 맞물려 종말을 맞은 이 종의 마지막 표본은 1943년에 채집되었으며, 그 후로 이 종의 소식은 전해지지 않는다.
  • 펨퍼튼사슴쥐(Peromyscus pembertoni): 캘리포니아 만의 산페드로놀라스코 섬에서만 살았던 동물로 1931년 12월 26일에 12마리가 수집된 것을 끝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 케냐산포토(Perodicticus ibeanus stockleyi): 원시적인 영장류의 일종인 포토 중 동아프리카포토(P. ibeanus)[19]케냐 산 아종으로 1938년에 채집된 표본 한 점으로만 알려졌다.
  • 케이프혹멧돼지(Phacochoerus aethiopicus aethiopicus): 사막혹멧돼지(P. aethiopicus)의 남아프리카 아종으로 1865년 경에 멸종당했다. 이로써 현존하는 사막혹멧돼지 아종은 소말리혹멧돼지(P. a. delamerei)가 유일한데 그래도 이들은 최소관심 단계로 위기에 처하진 않은게 위안.
  • 텔레포민쿠스쿠스(Phalanger matanim): 파푸아뉴기니의 농 강 계곡 안의 해발 1,500~2,000m에 자리잡은 떡갈나무 숲 한 곳에서만 살았던 것으로 여겨지는 종으로, 이 종이 마지막으로 발견된 1997년부터 다음 해까지 벌어진 엘니뇨의 여파로 그 곳에 가뭄과 혹한이 도래하여 나무들이 떼죽음을 당한데다 이후 벌어진 산불에 의해 숲이 파괴되어 다른 서식지가 확인되지 않은 이 종 역시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 왈드런붉은콜로부스(Piliocolobus waldronae):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의 열대우림에 살았던 원숭이로 한때 서부붉은콜로부스(P. badius)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1933년에 발견된 이 동물은 서식지인 정글이 베어진데다 자신들 역시 식용 육류를 위한 사냥에 희생되어가며 1978년 이후 더 이상의 발견 기록이 없어서 2000년에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어 현대 시대에 멸종된 최초의 영장류로 여겨지나, 코트디부아르 남동부에 극소수의 개체들이 살아있음을 암시하는 증거들이 나와서 적색목록에서는 아직까진 멸종 가능성이 있을 지언정 심각한 멸종위기 수준으로 남아있다.
  • 크리스마스집박쥐 (Pipistrellus murrayi)
  • 오가사와라집박쥐 (Pipistrellus sturdeei)
  • 사마나후티아(Plagiodontia ipnaeum): 히스파니올라섬의 열대 및 아열대 기후의 습한 저지숲에 살았던 설치류이나 유럽인들의 도래와 같이 들어온 시궁쥐 속의 쥐들에 의한 포식으로 멸종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넓은얼굴쥐캥거루(Potorous platyops): 호주 남서부에 살았던 유대류로 1839년에 첫 표본이 수집되고 1844년에 학명이 붙은 이 종의 마지막으로 알려진 표본이 채집된건 불과 반세기도 되지 않은 1875년의 일이다.
  • 사르데냐우는토끼(Prolagus sardus)
  • 청회색쥐(Pseudomys glaucus): 1956년에 멸종되었다.
  • 작은사모아큰박쥐(Pteropus allenorum): 1856년에 사모아에서 수집된 것이 유일한 기록으로 2009년에서야 신종으로 확인되었지만 이 시기까지도 추가적인 기록이 없어서 멸종한 것으로 판정.
  • 아루큰박쥐(Pteropus aruensis): 인도네시아의 아루 제도에서 살던 큰박쥐 종으로 1867년 발견되었으며, 19세기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 퍼시큰박쥐(Pteropus brunneus): 1874년에 채집된 수컷 한 마리가 유일한 기록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 퀸즐랜드 주의 노섬벌랜드 제도에 있는 퍼시 섬에서 채집되었다고 한다.
  • 사모아큰박쥐(Pteropus coxi): 1856년에 사모아에서 수집된 것이 유일한 기록으로 2009년에서야 신종으로 확인되었지만 이 시기까지도 추가적인 기록이 없어서 멸종한 것으로 판정.
  • 팔라우큰박쥐(Pteropus pilosus): 멸종된 시기인 1874년 이전에 채집된 표본 두점만 남아있다고 한다.
  • 모리셔스애기큰박쥐(Pteropus subniger): 마스카렌 제도의 큰 섬들에 살던 두 종류의 큰박쥐중 한 종류였다. 이 종은 모리셔스에서는 1859년에, 레위니옹에서는 1862년에 자취를 감추었으며 이 종보다 더 큰 종인 모리셔스큰박쥐(P. niger)는 현재 멸종위기이다.
  • 괌큰박쥐(Pteropus tokudae): 1931년에 최초로 기록되었으며 마리아나큰박쥐(P. mariannus)랑 함께 살았다고 한다. 마지막 표본은 1967년 3월 타라구 절벽에서 잠자다가 포획된 암컷 개체였으며, 옆에 있던 새끼는 달아났다고 한다. 1974년 이루어진 조사에서는 이 종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한다.
  • 하이다 과이 순록(Rangifer arcticus dawsoni): 캐나다의 하이다 과이 제도[20]에 살았던 동물로 멸종 원인으로는 서식지 파괴와 남획, 외래 전염병으로 추정되던 이 동물의 마지막은 1908년에 개체 3마리가 사살당한 것이었다.
  • 동그린란드순록(Rangifer tarandus eogroenlandicus): 순록의 아종으로 뒤늦게 그린란드에 진출한 북극늑대에 의해 1900년 이후 멸종했다.
  • 맥클리어쥐(Rattus macleari): 크리스마스 섬 고유의 쥐로 1903년에 멸종되었다.
  • 불독쥐(Rattus nativitatis): 위의 맥클리어쥐와 마찬가지로 크리스마스 섬에 살았으며 1903년에 멸종되었다.[21]
  • 베트남코뿔소(Rhinoceros sondaicus annamiticus): 동남아시아 본토에 살았던 자바코뿔소의 아종으로 마지막으로 알려진 개체가 2010년 베트남에서 밀렵꾼의 총에 맞으면서 멸종되었다. 다만, 인도네시아의 우중쿨론 국립공원에서 소수의 자바코뿔소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비록 인도차이나 아종의 멸종으로 아종이 말레이 제도 아종(R. s. sondaicus) 하나만 남긴 했어도 종 자체는 아직 건재한다.
  • 작은인도코뿔소(Rhinoceros sondaicus inermis): 이 아종 역시 자바코뿔소의 아종으로 이름 그대로 인도에 살았던 이들은 큰 친척종인 인도코뿔소(R. unicornis)보다는 작은 편이었으며 이들 또한 남획으로 사라져갔다.
  • 숌부르그사슴 (Rucervus schomburgki)
  • 마르카노솔레노돈(Solenodon marcanoi): 히스파니올라 섬에 살았던 식충동물로 파편화된 뼈들 몇 점이 이들의 존재를 증명한다. 시궁쥐 속의 쥐들과 같은 곳에서 뼈들이 발견된 것으로 늦어도 유럽인들의 도래까지는 살아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이들과 외래종 쥐들에 의해 잡아먹힌 것으로 인해 이 종이 종말을 맞은 것으로 보인다.
  • 세부사마귀돼지(Sus cebifrons cebifrons): 필리핀 중부의 비사야 제도에 사는 비사야사마귀돼지(S. cebifrons)의 세부 섬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로 인해 사라져 2000년에 멸종 판정이 내려졌으며, 같은 종의 다른 아종들 역시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 주머니늑대(Thylacinus cynocephalus).
  • 캘리포니아불곰(Ursus arctos californicus)
  • 아틀라스불곰(Ursus arctos crowtheri)
  • 멕시코불곰(Ursus arctos nelsoni): 북아메리카 아종 중 가장 작은 종류에 속하나 위의 캘리포니아 아종처럼 이 아종을 회색곰의 개체군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자메이카원숭이(Xenothrix mcgregori): 1920년에 골격이 첫 발굴되면서 알려진 종으로, 멸종 원인 및 시기는 1050년 경에 멸종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 외에는 알려진게 없다.
  • 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22]: 주로 강치라고도 불리던 해양 포유류로[23], 독도일본 열도동해 연안에 살았던 토종 해양 포유류였는데, 1974년의 포획 기록을 마지막으로 확실한 기록이 없어서 인류에 의해 멸종당한 두 번째 기각류가 되었다. 2015년 8월 해양수산부는 광복 70주년을 맞이하여 독도와 울릉도에 귀환을 기원하는 벽화와 동상을 설치하였다.

2.1.5. 양서류

2.1.6. 복족류, 이매패류

Achatinella 속 (Achatinellidae과의 달팽이속으로, 하와이 오아후섬의 수목에 서식했다. 현재 대부분의 종이 멸종했다.)
  • Achatinella abbreviata
  • Achatinella apexfulva: 공식으로 멸종 선언이 내려지진 않았으나 외래종인 늑대달팽이(Euglandina rosea)와 잭슨카멜레온(Trioceros jacksonii), 쥐들이 이들을 잡아먹는데다 서식지까지 줄어들어 1996년에 심각한 멸종위기에 직면, 다음 해에 모든 알려진 개체들이 포획되어 번식에 들어갔으나 대부분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했으며, 그나마 2004년에 새끼 한 마리가 번식에 성공하여 핀타섬땅거북의 마지막 개체였던 외로운 조지에서 유래한 조지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이때까지는 아직 20마리 가량이 남아 있었으나 2011년 4월에 조지 역시 원본과 같은 운명에 놓였다. 결국 외로운 조지가 사망한지도 수 년 후인 2019년 1월 1일에 14살짜리 조지도 사망하면서 이 종은 실질적으로 멸종을 맞았다.
  • Achatinella buddii
  • Achatinella caesia
  • Achatinella casta
  • Achatinella decora
  • Achatinella dimorpha
  • Achatinella elegans
  • Achatinella juddii
  • Achatinella juncea
  • Achatinella lehuiensis
  • Achatinella livida
  • Achatinella papyrcea
  • Achatinella spaldingi
  • Achatinella thaanumi
  • Achatinella valida

Alasmidonta속 (Unionidae과의 민물 홍합 속이다.)
  • Alasmidonta mccordi
  • Alasmidonta robusta
  • Alasmidonta wrightiana

Amastra속 (Amastridae과의 달팽이속이다. 이 속은 하와이 제도의 고유종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 멸종하는 추세이다.)
  • Amastra albolabris
  • Amastra cornea
  • Amastra crassilabrum
  • Amastra elongata
  • Amastra forbesi
  • Amastra globosa
  • Amastra ovatula
  • Amastra pellucida
  • Amastra porcus
  • Amastra reticulata
  • Amastra subrostrata
  • Amastra subsoror: 1946년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Amastra tenuispira
  • Amastra umbilicata

Amphicyclotulus속 (Neocyclotidae과의 달팽이 속이다.)
  • Amphicyclotulus guadeloupensis

Amphigyra속 (Planorbidae과의 뿔달팽이 속이다.)
  • Amphigyra alabamensis

Auriculella속 (Auriculellidae과의 달팽이속으로, 하와이 고유종들로 이루어져있다.)
  • Auriculella expansa
  • Auriculella uniplicata

Belgrandiella속 (Hydrobiidae과에 속하는 우렁이속이다.)
  • Belgrandiella intermedia

Biotocus속 (Odontostomidae과에 속하는 달팽이 속이다.)
  • Biotocus turbinatus: 브라질 고유종

Bythinella속 (Bythinellidae과의 우렁이속이다.)
  • Bythinella gibbosa
  • Bythinella limnopsis
  • Bythinella mauritanica
  • Bythinella microcochlia
  • Bythinella punica

Caldwellia속 (Euconulidae과의 달팽이속)
  • Caldwellia philyrina: 모리셔스섬 고유종

Campolaemus속 (Streptaxidae과의 달팽이속)
  • Campolaemus perexilis

Carelia속 (Cochlicopoidea과에 속하는 달팽이속으로, 이 속은 모두 하와이 고유종이다.)
  • Carelia anceophila
  • Carelia bicolor
  • Carelia cochlea
  • Carelia cumingiana
  • Carelia dolei
  • Carelia evelynae
  • Carelia glossema
  • Carelia hyattiana
  • Carelia kalalauensis
  • Carelia knudseni
  • Carelia lirata
  • Carelia lymani
  • Carelia mirabilis
  • Carelia necra
  • Carelia olivacea
  • Carelia paradoxa
  • Carelia periscelis
  • Carelia pilsbryi
  • Carelia sinclairi
  • Carelia tenebrosa
  • Carelia turricula

Chambardia속 (Iridinidae과의 조개속이다.)
  • Chambardia letourneuxi

Chilonopsis속 (Achatinidae과의 달팽이속으로, 이 속은 모두 세인트헬레나 고유종이다.)
  • Chilonopsis blofeldi
  • Chilonopsis exulatus
  • Chilonopsis helena
  • Chilonopsis melanoides
  • Chilonopsis nonpareil: 1870년에 마지막으로 발견됐다.
  • Chilonopsis subplicatus
  • Chilonopsis subtruncatus
  • Chilonopsis turtoni

Clappia속 (Lithoglyphidae과의 우렁이속)
  • Clappia cahabensis
  • Clappia umbilicata

Collisella속 (Lottiidae과의 바다 우렁이속)
  • Collisella edmitchelli

Colparion속 (Urocyclidae과의 달팽이속)
  • Colparion madgei

Ctenoglypta속 (Euconulidae과의 달팽이속)
  • Ctenoglypta newtoni

Cyclophorus속 (Cyclophoridae과의 달팽이속)
  • Cyclophorus horridulum

Cyclosurus속 (Cyclophoridae과의 달팽이속)
  • Cyclosurus mariei

Diastole속 (Helicarionidae과의 달팽이속)
  • Diastole matafaoi

Digerus속 (Odontostomidae과의 달팽이속)
  • Digerus gibberulus

Dupontia속 (Euconulidae과의 달팽이속)
  • Dupontia proletaria: 모리셔스, 레위니옹섬 고유종이다.

Elimia속 (Pleuroceridae과의 우렁이속이다. 미국 동부, 중부, 오대호에 분포한다.)
  • (Elimia brevis)
  • (Elimia clausa)
  • (Elimia fusiformis)
  • (Elimia gibbera)
  • (Elimia hartmaniana)
  • (Elimia impressa)
  • (Elimia jonesi)
  • (Elimia lachryma)
  • (Elimia laeta)
  • (Elimia macglameriana)
  • (Elimia pilsbryi)
  • (Elimia pupaeformis)
  • (Elimia pygmaea)
  • (Elimia vanuxemiana)

Epioblasma속 (Unionidae과의 민물 홍합 속으로, 대부분의 종들이 현대에 멸종됐다.)
  • (Epioblasma arcaeformis)
  • (Epioblasma biemarginata)
  • (Epioblasma cincinnatiensis)
  • (Epioblasma flexuosa)
  • (Epioblasma florentina florentina)
  • (Epioblasma haysiana)
  • (Epioblasma lenior)
  • (Epioblasma lewisii)
  • (Epioblasma personata): 미국 테네시강과 오하이오강에 서식했다.
  • (Epioblasma propinqua)
  • (Epioblasma sampsonii)
  • (Epioblasma stewardsonii)
  • (Epioblasma torulosa gubernaculum)
  • (Epioblasma torulosa torulosa)
  • (Epioblasma turgidula)

Erepta속 (Helicarionidae과의 달팽이속)
  • Erepta nevilli

Eupaludestrina속 (Cochliopidae과의 기수우렁이속)
  • Eupaludestrina spinellii

Fluvidona속 (Tateidae과의 우렁이속으로, 이 속은 모두 호주 고유종이다.)
  • Fluvidona dulvertonensis

Galba
  • Galba vancouverensis

Gastrocopta속 (Vertiginidae과의 고둥속이다.)
  • Gastrocopta chichijimana
  • Gastrocopta ogasawarana

Germainaia속 (Unionidae과의 조개속이다.)
  • Germainaia geayi

Gibbus속 (Streptaxidae과의 달팽이속)
  • Gibbus lyonetianus

Gonidomus속 (Streptaxidae과의 달팽이속)
  • Gonidomus newtoni

Gonospira속 (Streptaxidae과의 달팽이속)
  • Gonospira nevilli

Graecoanatolica속 (Hydrobiidae과의 우렁이속)
  • Graecoanatolica macedonica

GulellaStreptaxidae과의 달팽이속)
  • Gulella mayottensis

Gyrotoma속 (Pleuroceridae과의 우렁이속이다. 미국 고유종으로, 이 속에 포함된 6종 모두 멸종했다.)
  • (Gyrotoma excisa)
  • (Gyrotoma lewisii)
  • (Gyrotoma pagoda)
  • (Gyrotoma pryamidata)
  • (Gyrotoma pumila)
  • (Gyrotoma walkeri)

Harmogenanina속 (Helicarionoidea과의 달팽이속)
  • (Harmogenanina linophora)
  • (Harmogenanina subdetecta)

Helenoconcha속 (Charopidae과의 달팽이속이다. 이 속은 세인트헬레나 고유종으로, 현재 1종을 제외하고 모두 멸종했다.)
  • (Helenoconcha leptalea)
  • (Helenoconcha minutissima)
  • (Helenoconcha polyodon)
  • (Helenoconcha pseustes)
  • (Helenoconcha sexdentat)

Helenodiscus속 (Charopidae과의 달팽이속)
  • (Helenodiscus bilamellata): 세인트헬레나 고유종이다.
  • (Helenodiscus vernoni)

Hirasea속 (Charopidae과의 달팽이속)
  • (Hirasea planulata)

Hydrobia속 (Hydrobia과의 기수우렁이속)
  • (Hydrobia gracilis)

Incerticyclus속 (Neocyclotidae과의 열대달팽이속)
  • (Incerticyclus cinereus)
  • (Incerticyclus martinicensis)

Islamia속 (Hydrobiidae과의 우렁이속)
  • (Islamia ateni)

Lamellidea속 (Achatinellidae과의 열대달팽이속)
  • (Lamellidea monodonta)
  • (Lamellidea nakadai)

Lampsilis속 (Unionidae과의 조개속)
  • (Lampsilis binominata)

Leiorhagium속 (Tateidae과의 우렁이속)
  • (Leiorhagium solemi)

Leiostyla속 (Lauriidae과의 달팽이속)
  • (Leiostyla lamellosa)

Leptoxis속 (Pleuroceridae계통의 민물달팽이다. 미국 중남부와 중서부의 강의 유속이 빠른 바위에 서식한다.)
  • (Leptoxis clipeata)
  • (Leptoxis compacta)
  • (Leptoxis crassa)
  • (Leptoxis foremanii)
  • (Leptoxis formosa)
  • (Leptoxis ligata)
  • (Leptoxis lirata)
  • (Leptoxis occultata)
  • (Leptoxis showalterii)
  • (Leptoxis torrefacta)
  • (Leptoxis vittata)

Leucocharis속 (Bothriembryontidae과의 달팽이속)
  • (Leucocharis loyaltiensis)
  • (Leucocharis porphyrocheila)

Libera속 (Endodontidae과의 달팽이속)
  • (Libera subcavernula)
  • (Libera tumuloides)

Littoraria속 (Littorinidae과의 바다 우렁이속)
  • (Littoraria flammea)

Littoridina속 (Cochliopidae과의 우렁이속)
  • (Littoridina gaudichaudii)

Lottia속 (Lottiidae과의 바다 우렁이속)
  • (Lottia alveus)

Lyropupa속 (Pupillidae과의 달팽이속)
  • (Lyropupa perlonga)

Mautodontha속 (Charopidae과의 달팽이속이다.)
  • (Mautodontha acuticosta)
  • (Mautodontha consimilis)
  • (Mautodontha consobrina)
  • (Mautodontha maupiensis)
  • (Mautodontha parvidens)
  • (Mautodontha punctiperforata)
  • (Mautodontha saintjohni)
  • (Mautodontha subtilis)
  • (Mautodontha unilamellata)
  • (Mautodontha zebrina)

Medionidus속 (Unionidae과의 민물 홍합 속)
  • (Medionidus mcglameriae)

Megalobulimus속 (Strophocheilidae과의 달팽이속)
  • (Megalobulimus cardosoi)
  • (Megalobulimus hauthali)
  • (Megalobulimus wichmanni)

Neoplanorbis속 (Planorbidae과의 우렁이속)
  • (Neoplanorbis carinatus)
  • (Neoplanorbis smithi)
  • (Neoplanorbis umbilicatus)
  • (Neoplanorbis tantillus)

Nesopupa속 (Veriginidae과의 달팽이속)
  • (Nesopupa turtoni)

Newcombia속 (Achatinellidae과의 달팽이속으로, 나무에 서식한다.)
  • (Newcombia philippiana)

Ohridohauffenia속 (Hydrobiidae과의 우렁이속)
  • (Ohridohauffenia drimica): 1983년 멸종되었다.

Oleacina속 (OAleacinidae과의 달팽이속)
  • (Oleacina guadeloupensis)

Omphalotropis속 (Assimineidae과의 염습지 달팽이속)
  • (Omphalotropis multilirata)
  • (Omphalotropis plicosa)

Pachnodus속 (Cerastidae과의 달팽이속)
  • (Pachnodus curiosus)
  • (Pachnodus ladiguensis)
  • (Pachnodus velutinus)

Pachystyla속 (Helicarionidae과의 달팽이속)
  • (Pachystyla rufozonata): 모리셔스섬 고유종
  • (Pachystyla waynepagei)

Panulena속 (Helicarionidae과의 달팽이속)
  • (Panulena perrugosa): 1996년에 멸종했다.

Partula[25]
  • (Partula arguta): 1995년 멸종
  • (Partula atilis)
  • (Partula aurantia)
  • (Partula auriculata)
  • (Partula bilineata)
  • (Partula callifera)
  • (Partula candida)
  • (Partula cedista)
  • (Partula citrina)
  • (Partula clarkei)
  • (Partula cootei)
  • (Partula crassilabris)
  • (Partula cuneata)
  • (Partula cytherea)
  • (Partula dentifera)
  • (Partula dolichostoma)
  • (Partula dolorosa)
  • (Partula eremita)
  • (Partula faba)
  • (Partula filosa)
  • (Partula formosa)
  • (Partula garretti)
  • (Partula imperforata)
  • (Partula jackieburchi)
  • Partula labrusca: 라이아테아 섬 고유종으로 1994년 이후 야생에선 더 이상 발견되지 않은데다 마지막 사육 개체도 2002년에 죽었다.
  • (Partula leptochila)
  • (Partula levistriata)
  • (Partula lugubris)
  • (Partula lutea): 1990년 초 멸종
  • (Partula magistri)
  • (Partula makatea)
  • (Partula navigatoria)
  • (Partula planilabrum)
  • (Partula producta)
  • (Partula protracta)
  • (Partula raiatensis)
  • (Partula remota)
  • (Partula rustica)
  • (Partula sagitta)
  • (Partula salifana): 괌 섬의 고유종
  • (Partula thalia)
  • Partula turgida: 라이아테아 섬 고유종이었던 이 달팽이는 외래 미포자충의 창궐로 인해 야생에서 자취를 감췄으며, 런던 동물원에서 사육 중이던 마지막 개체도 1996년 1월 31일에 사망하면서 멸종
  • Partula umbilicata

Partulina속 (Achatinellidae과의 열대 달팽이속)
  • (Partulina crassa)
  • (Partulina montagui)

Perdicella속 (Achatinellidae과의 열대 달팽이속)
  • (Perdicella fulgurans)
  • (Perdicella maniensis)
  • (Perdicella zebra)
  • (Perdicella zebrina)

Physella속 (Physidae과의 우렁이속)
  • (Physella microstriata)

Placostylus속 (Bothriembryontidae과의 달팽이속)
  • (Placostylus abbreviatus)
  • (Placostylus cuniculinsulae)
  • (Placostylus leoni)
  • (Placostylus senilis)

Planorbella속 (Planorbidae과의 우렁이속)
  • Planorbella multivolvis: 미국 미시간주 고유종으로, 1907년에 마지막으로 발견됐다.

Plectostoma속 (Diplommatinidae과의 달팽이속)
  • Plectostoma sciaphilum: 말레이시아 고유종으로 '불낏 파칭'이라는 지역의 석회암 지대에서만 유일하게 서식했으나, 2007년 이곳에 광산 개발이 이루어지며 멸종했다.

Pleurobema속 (Unionidae과의 민물홍합속으로, 이 속은 모두 미국 고유종이다.)
  • (Pleurobema altum)
  • (Pleurobema avellanum)
  • (Pleurobama bournianum)
  • (Pleurobama flavidulum)
  • (Pleurobema hagleri)
  • (Pleurobema johannis)
  • (Pleurobema murrayense)
  • (Pleurobema nucleopsis)
  • (Pleurobema perovatum): 20세기초 멸종
  • (Pleurobema stabile)
  • (Pleurobema troschelianum)
  • (Pleurobama verum)

Pleurodonte속 (Pleurodontidae과의 달팽이속)
  • (Pleurodonte bowdeniana)
  • (Pleurodonte cunctator)
  • (Pleurodonte desidens)
  • (Pleurodonte debooyi)
  • (Pleurodonte diespiter)
  • (Pleurodonte eohippina)
  • (Pleurodonte hesperarche)
  • (Pleurodonte lehneri)
  • (Pleurodonte michalkovaci)
  • (Pleurodonte norica)
  • (Pleurodonte wilsoni)

Posticobia속 (Hydrobiidae과의 우렁이속)
  • Posticobia norfolkensis

Pseudamnicola속 (Hydrobiidae과의 기수 우렁이속)
  • (Pseudamnicola abxazica)
  • (Pseudamnicola almerodensis)
  • (Pseudamnicola ampla)
  • (Pseudamnicola arvernensis)
  • (Pseudamnicola atava)
  • (Pseudamnicola atropida)
  • (Pseudamnicola atropidus)
  • (Pseudamnicola babindolensis)
  • (Pseudamnicola babukici)
  • (Pseudamnicola barratei)
  • (Pseudamnicola bilineatus)
  • (Pseudamnicola bithynoides)
  • (Pseudamnicola brusina)
  • (Pseudamnicola buxinensis)
  • (Pseudamnicola buzoiensis)
  • (Pseudamnicola capellinii)
  • (Pseudamnicola carenosuturata)
  • (Pseudamnicola convexus)
  • (Pseudamnicola cous)
  • (Pseudamnicola cuisensis)
  • (Pseudamnicola curtus)
  • (Pseudamnicola cyclostomoides)
  • (Pseudamnicola desertorum)
  • (Pseudamnicola dodecanesiacus)
  • (Pseudamnicola doumeti)
  • (Pseudamnicola dromicus)
  • (Pseudamnicola elachyspira)
  • (Pseudamnicola elongatus)
  • (Pseudamnicola fuxinensis)
  • (Pseudamnicola gerannensis)
  • (Pseudamnicola giustii)
  • (Pseudamnicola globulina)
  • (Pseudamnicola globuloides)
  • (Pseudamnicola haianensis)
  • (Pseudamnicola hebraicus)
  • (Pseudamnicola helicella)
  • (Pseudamnicola hoeckae)
  • (Pseudamnicola hungaricus)
  • (Pseudamnicola immutata)
  • (Pseudamnicola inflatus)
  • (Pseudamnicola jekelius)
  • (Pseudamnicola jolyi)
  • (Pseudamnicola jurassicus)
  • (Pseudamnicola kerchensis)
  • (Pseudamnicola laevigatus)
  • (Pseudamnicola latasteana)
  • (Pseudamnicola leognanensis)
  • (Pseudamnicola letourneuxiana)
  • (Pseudamnicola liaoxiensis)
  • (Pseudamnicola lobostoma)
  • (Pseudamnicola margarita)
  • (Pseudamnicola margaritaeformis)
  • (Pseudamnicola margaritulus)
  • (Pseudamnicola messapicus)
  • (Pseudamnicola micromphalus)
  • (Pseudamnicola minima)
  • (Pseudamnicola minimus)
  • (Pseudamnicola mocsaryi)
  • (Pseudamnicola monotropidus)
  • (Pseudamnicola muelleri)
  • (Pseudamnicola nympha)
  • (Pseudamnicola nysti)
  • (Pseudamnicola opimus)
  • (Pseudamnicola orientalis)
  • (Pseudamnicola oudrefica)
  • (Pseudamnicola ovatus)
  • (Pseudamnicola oxispiriformis)
  • (Pseudamnicola oxyspira)
  • (Pseudamnicola pagoda)
  • (Pseudamnicola pagodaeformis)
  • (Pseudamnicola palmariggii)
  • (Pseudamnicola partschi)
  • (Pseudamnicola pasiphae)
  • (Pseudamnicola pauluccii)
  • (Pseudamnicola pequignoti)
  • (Pseudamnicola pistati)
  • (Pseudamnicola producta)
  • (Pseudamnicola proximoides)
  • (Pseudamnicola proximus)
  • (Pseudamnicola pseudoglobulus)
  • (Pseudamnicola pumilus)
  • (Pseudamnicola purpurina)
  • (Pseudamnicola purpurinus)
  • (Pseudamnicola ragia)
  • (Pseudamnicola romaniana)
  • (Pseudamnicola rotundatus)
  • (Pseudamnicola ruppelli)
  • (Pseudamnicola rumanianus)
  • (Pseudamnicola rutoti)
  • (Pseudamnicola samartica)
  • (Pseudamnicola schottleri)
  • (Pseudamnicola singularis)
  • (Pseudamnicola skhiadicus)
  • (Pseudamnicola steinheimensis)
  • (Pseudamnicola stosiciana)
  • (Pseudamnicola subglobulus)
  • (Pseudamnicola subproducta)
  • (Pseudamnicola suevicus)
  • (Pseudamnicola taoyuanensis)
  • (Pseudamnicola terebra)
  • (Pseudamnicola tholosus)
  • (Pseudamnicola transilvanicus)
  • (Pseudamnicola triangula)
  • (Pseudamnicola turoensis)
  • (Pseudamnicola ultramontanus)
  • (Pseudamnicola urosevici)
  • (Pseudamnicola vicinus)
  • (Pseudamnicola welterschultesi)
  • (Pseudamnicola zonatus)

Pseudocampylaea속 (Geomitridae과의 달팽이속)
  • Pseudocampylaea lowii

Pseudohelenoconcha속 (Charopidae과의 달팽이속)
  • Pseudohelenoconcha spurca

Pupilla속 (Pupillidae과의 달팽이속)
  • Pupilla aeoli
  • Pupilla almuhambetovae
  • Pupilla bargi
  • Pupilla belokrysi
  • Pupilla bituberculata
  • Pupilla blainvilleana
  • Pupilla bogdanovkaense
  • Pupilla capitani
  • Pupilla crossei
  • Pupilla cupella
  • Pupilla diezi
  • Pupilla impressa
  • Pupilla inermis
  • Pupilla iratiana
  • Pupilla michaudi
  • Pupilla mlomnickii
  • Pupilla mutabilis
  • Pupilla obliquicasta
  • Pupilla parvula
  • Pupilla perlabiata
  • Pupilla poltavica
  • Pupilla retusa
  • Pupilla roberti
  • Pupilla selecta
  • Pupilla selectiformis
  • Pupilla shantungensis
  • Pupilla staszicii
  • Pupilla steinheimensis
  • Pupilla submuscorum
  • Pupilla subquadridens
  • Pupilla triplicatoidea
  • Pupilla tschumakovi
  • Pupilla zeisslerae

Pyrgulopsis속 (Hydrobiidae과의 우렁이속)
  • Pyrgulopsis nevadensis
  • Pyrgulopsis olivacea: =Marstonia olivacea

Quintalia속 (Helicarionidae과의 달팽이속)
  • Quintalia flosculus: 노퍽섬 고유종인 달팽이이다.
  • Quintalia stoddartii

Rachis속 (Cerastidae과의 달팽이속)
  • Rachis comorensis
  • Rachis sanguineus

Samoana속 (Partulidae과의 열대 달팽이속)
  • Samoana inflata: 1990년대 또는 2000년대에 멸종.

Sinployea속 (Charopidae 과의 달팽이속)
  • Sinployea canalis
  • Sinployea decorticata
  • Sinployea harveyensis
  • Sinployea otareae
  • Sinployea planospira
  • Sinployea proxima
  • Sinployea rudis
  • Sinployea tenuicostata: 1899년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 Sinployea youngi

Somatogyrus속 (Hydrobiidae과의 민물, 기수 우렁이속)
  • Somatogyrus alcoviensis
  • Somatogyrus amnicoloides
  • Somatogyrus crassilabris
  • Somatogyrus wheeleri

Stagnicola속 (Lymnaeidae과의 우렁이속)
  • Stagnicola bouilleti
  • Stagnicola bucciniformis
  • Stagnicola forbesi
  • Stagnicola jaccardi
  • Stagnicola kreutzii
  • Stagnicola laurillardiana
  • Stagnicola pilsbryi
  • Stagnicola praebouilleti
  • Stagnicola reinholdkunzi
  • Stagnicola subpalustris
  • Stagnicola syrtica

Taipidon속 (Charopidae과의 달팽이속)
  • Taipidon anceyana
  • Taipidon marquesana
  • Taipidon octolamellata

Thaumatodon속 (Endodontidae과의 달팽이속)
  • Thaumatodon multilamellata

Tornelasmias속 (Achatinellidae과의 달팽이속)
  • Tornelasmias capricorni: 호주 고유종

Tropidophora속 (Pomatiidae과의 달팽이속)
  • Tropidophora bewsheri
  • Tropidophora bipartita
  • Tropidophora desmazuresi: 모리셔스섬 고유종
  • Tropidophora semilineata: 마요트섬 고유종

Unio속 (Unionidae과의 민물 홍합속)
  • Unio cariei: 레위니옹섬 고유종
  • Unio malgachensis

Vitrea속 (Pristilomatidae과의 달팽이속)
  • Vitrea storchi

Vitrinula속 (Ariophantidae과의 달팽이속)
  • Vitrinula chaunax: 일본 고유종
  • Vitrinula chichijimana: 일본 고유종
  • Vitrinula hahajimana: 일본 고유종

Xerocrassa속 (Geomitridae과의 달팽이속)
  • Xerocrassa picardi: 이스라엘 고유종

Zonites속 (Zonitidae과의 달팽이속)
  • Zonites santoriniensis: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 고유종
  • Zonites siphnicus: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 고유종

2.1.7. 그 외 동물

  • Afrocyclops pauliani: 요각류의 일종으로, 1951년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 Cambarellus alvarezi: 가재의 일종이다.
  • Cambarellus chihuahuae: 가재의 일종이다.
  • Centrobunus braueri: 세이셸의 고유종 거미다.
  • Dicrogonatus gardineri: 1909년에 발견된 세이셸 고유의 응애 종이다.
  • Eucarlia alluaudi: 노래기의 일종으로, 1892년 처음 채집된 개체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 Geonemertes rodericana: 지렁이의 일종
  • Halarachne americana: 카리브몽크물범의 비강에 서식하던 응애였다. 물범이 멸종하면서 덩달아 멸종하였다.
  • Hirstienus nanus: 거미의 일종으로, 해당 속의 유일한 종이었다.
  • Hypolimnus pedderensis
  • Macrobrachium leptodactylus: 민물새우의 일종이다.
  • Metazalmoxis ferruginea: 장님거미의 일종
  • Namibcypris costata: 나미비아에 서식하던 갑각류의 일종이다.
  • Orthomorpha crinita: 노래기의 일종이다.
  • Pacifastacus nigrescens: 1857년 발견된 가재의 일종이다. 그 당시에는 흔하게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멸종했다.
  • Peromona erinacea: 거미의 일종이다.
  • Pleurotus braueri: 세이셸 마헤섬 고유종인 거미 일종이다. 해당 속은 단일종으로 구성되었다.
  • Procambarus angustatus: 가재의 일종으로, 1856년 채집된 개체의 표본이 유일하다. 미국 조지아주 고유종이다.
  • Rallicola extinctus: 상술한 불혹주머니 찌르레기(후이아)에 기생하던 이의 일종이다. 숙주였던 불혹주머니찌르레기가 멸종하면서 같이 멸종했다.
  • Romankenkius pedderensis
  • Sitalcicus gardineri.: 장님거미의 일종이다.
  • Spirobolellus praslinus: 노래기의 일종이다.
  • Stipax triangulifer: 거미의 일종으로, 1894년 처음 발견된 수컷 거미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해당 거미는 세이셸 고유종이며, 해당 속의 유일한 종이다.
  • Stygobromus lucifugus: 갑각류 일종으로, 미국 일리노이주 고유종이었다.
  • Syncaris pasadenae: 민물새우의 일종이다. 1933년 멸종했다.
  • Thomasettia seychellana: 1911년에 발견된 거미의 일종으로, 발견 이후 발견되지 않았다. 해당 속의 유일한 종이다.
  • 슈마르다지렁이 (Tokea orthostichon)
  • Tropodiaptomus ctenopus: 요각류의 일종이다.

2.2. 식물

  • Acaena exigua: 장미과의 일종으로, 하와이 고유종이다. 1957년 이후로 발견되지 않다가 1997년 재발견되었으나 이 식물이 2000년에 죽어서 멸종되었다.
  • Acalypha dikuluwensis: 25센치정도의 열대 꽃으로, 1959년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 끈나무(Acalypha rubrinervis): 세인트헬레나 섬 고유의 나무로, 인간 활동에 의한 삼림파괴로 19세기 중에 자취를 감추었다.
  • Acalypha wilderi: 1929년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 하와이쇠무릎 (Achyranthes atollensis): 하와이 제도의 고유종으로, 1964년 멸종되었다.
  • Achyranthes mangarevica
  • Adiantum lianxianense: 중국에 서식하는 공작고사리속의 일종이다.
  • Amaranthus brownii: 하와이 고유종이다.
  • Angostura ossana: 백합과의 일종이다.
  • Angraecopsis dolabriformis: 난초과의 일종으로, 2018년에 멸종 판정을 받았다.
  • Angraecum astroarche: 풍란속의 일종이다.
  • Argocoffeopsis lemblinii: 커피나무의 일종으로, 1907년 처음 발견된 개체를 마지막으로 발견되지 않았다.
  • Argyroxiphium virescens: 국화과의 일종으로, 하와이 고유종이다. 1989년에는 해당 식물의 잡종이 발견됐다.
  • Astragalus nitidiflorus: 콩과의 식물로, 스페인 카르타헤나 방 고유종이다. 1909년 이후 발견되지 않다가 약 100년만인 2004년에 카르타헤나와 마자론 사이의 보호 구역에서 46개체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적색목록은 아직 업데이트되지 않아 멸종 상태로 남아있는 상태이다.
  • Ayenia ivorensis: 코트디부아르에서 단일 개체만 채집되었다.
  • Banara wilsonii: 버드나무과의 일종으로, 쿠바 고유종이다. 1938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됨
  • Basananthe cupricola
  • Begonia eiromischa: 말레이시아에서 발견되는 식물로, 1886년과 1888년에 1개체씩만 채집되었다.
  • Beilschmiedia ningmingensis
  • Blutaparon rigidum: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의 고유종
  • Bourreria veracruzana
  • Campomanesia lundiana: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고유종
  • Casearia tinifolia: 모리셔스 고유종
  • Casearia quinduensis: 콜롬비아 고유종
  • Centaurea pseudoleucolepis
  • Ceodes rapaensis
  • Chrysophyllum januariense
  • Clermontia multiflora
  • Cnidoscolus fragrans
  • Commidendrum gummiferum
  • Cupaniopsis crassivalvis
  • Cyanea arnorea[26]
  • Cyanea comata
  • Cyanea cylindrocalyx
  • Cyanea dolichopoda: 하와이 카우아이 고유종으로, 1990년에 와일루아 강 근처 '블루홀'이라는 계곡에서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식물은 4개체로, 1992년 이후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종의 서식지인 블루홀은 최대 900m의 가파른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접근하기 어려운 곳으로, IUCN은 멸종되었다고 선언했으나 앞의 이유때문에 재발견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종으로 보고있다.
  • Cyanea eleeleensis: 1977년 카우아이에서 발견된 종이다.
  • Cyanea giffardii
  • Cyanea linearifolia
  • Cyanea mauiensis
  • Cyanea minutiflora
  • Cyanea parvifolia
  • Cyanea pohaku
  • Cyanea pycnocarpa
  • Cyanea quercifolia: 마우이섬 고유종으로, 서식지가 파괴되어 멸종된것으로 추정된다.
  • Cyanea sessilifolia
  • Cyperus rockii
  • Cyrtandra olona
  • Delilia inelegans
  • Delissea niihauensis
  • Delissea subcordata: 오아후섬에서 발견되는 고유종으로, IUCN은 멸종되었다고 선언했으나 와이아나 산맥에서 40개체가 서식하고 있다. 적색목록이 아직 업데이트되지 않아 멸종 상태로 남아있는 상태이다.
  • Delissea undulata
  • Dryopteris ascensionis
  • Eriocaulon inundatum
  • Eriocaulon jordanii
  • Etlingera heyneana: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발견되던 종
  • Euchorium cubense: 1924년 쿠바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됨
  • Eulophia stenopetala: 부탄 고유종인 난초 일종으로, 1838년에 채집된 개체가 유일하다. 해발 1800미터에서 발견된다고 알려져있다.
  • Euphrasia mendoncae
  • Faramea chiapensis: 1953년에 멕시코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됨
  • Fissidens microstictus
  • Fitchia mangarevensis: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투아모투 군도의 타라바이 섬에서만 발견되던 고유종이다.
  • Flabellidium spinosum: 볼리비아 고유종인 이끼 일종로, 1911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해당 속은 단일종으로 구성되어있다.
  • Guettarda retusa: 쿠바 고유종으로, 1869년 멸종되었다.
  • Habenaria petromedusa
  • 세인트헬레나헬리오트로프(Heliotropium pannifolium): 세인트헬레나 고유종으로, 1808년경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고, 1820년경 멸종된것으로 추정된다.
  • Hesperelaea palmeri: 과달루페 섬의 고유종으로, 1875년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해당 속은 단일종으로 구성된 속이다.
  • Hibiscadelphus bombycinus: 하와이 고유종인 아욱과에 속한 식물이다. 1868년 이후 발견되지 않았다.
  • Hibiscadelphus crucibracteatus: 하와이 라나이섬 고유종으로, 1981년 발견된 개체만 알려져있다. 해당 개체는 씨를 발아하지 못하고 죽어버렸다.
  • Hibiscadelphus wilderianus: 마우이 섬 고유종으로, 1912년에 죽어가는 개체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
  • Hopea shingkeng: 인도 동부 히말라야에서 발견되던 고유종이다.
  • Ilex ternatiflora: 쿠바 고유종의 호랑가시나무 일종으로, 1800년대 후반에 멸종된것으로 추정된다.[27]
  • Kokia lanceolata: 1880년대에 오아후 섬에서 발견되었으며, 해당 종은 'Kokia'속에 속하는 종들중에서 유일하게 오아후 섬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 Lepidium amissum
  • Lepidium obtusatum
  • Lepisanthes unilocularis: 중국 고유종으로, 1935년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Leucadendron grandiflorum: 1806년에 남아프리카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됨
  • Leucadendron spirale: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 케이프가 원산지인 종으로, 해당 종은 1801년, 1819년, 1820년대, 1933년 4번만 발견되었고, 그 이후 목격되지 않아 멸종되었다.
  • Licaria mexicana
  • Logania depressa
  • Melicope macropus: 하와이 고유종이다.
  • Melicope obovata: 하와이 고유종이다.
  • Miconia abscondita
  • Monteverdia lineata: 1923년에 쿠바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됨
  • Myoporum rimatarense: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리마타라섬 고유종으로, 1921년과 1934년에 채집된 개체의 표본으로만 알려져있다. 2021년에 멸종 판정을 받았다.
  • Myosotis laingii: 뉴질랜드 남섬 고유종이다. 해당 종은 1912년에 기술되었으며, 카이코우라 산맥 해발 800~1400미터에서 발견되었다.
  • Myrcia neocambessedeana: 브라질 고유종이다.
  • Myrcia skeldingii: 자메이카 고유종이다.
  • Neomacounia nitida: 캐나다 고유종의 이끼 일종으로, 해당 속은 단일종으로 구성된 속이다. 1862~1864년 사이에 3개체의 표본만 알려져있으며, 이 종은 16세기 이후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캐나다의 고유종 식물이다.
  • 세인트헬레나올리브(Nesiota elliptica): 이름과 달리 진짜 올리브는 아닌[28] 세인트헬레나 섬 고유의 식물로 Nesiota 속의 유일한 종이기도 했던 이 식물은 이미 19세기부터 벌목과 외지인이 도입한 염소에 의해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었으며, 이후로 멸종된 줄 알았으나 1977년 야생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발견되며 보존 작업에 돌입되었다. 하지만 온갖 노력에도 불구하고 질병으로 인해 1994년 마지막으로 야생에 남은 개체가 죽었고, 2003년 12월에 한 가정에서 길러지던 개체도 흰개미와 곰팡이로 인해 시들어 죽으면서 멸종했다. 해당 개체에게서 받은 씨앗이나 꺾꽂이로 받아낸 개체들도 전량 질병으로 고사했고 전술했듯 이 종이 같은 속의 유일한 종이었다보니 갈매나무과 필리카족의 다른 식물로도 복원할 방법조차 없다.
  • Nobregaea latinervis: 1946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Ochrosia kilaueaensis: 1940년대 하와이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됨
  • Oeceoclades seychellarum: 세이셸 마헤섬 고유종이다.
  • Oldenlandia adscensionis: 어센션섬 고유종으로, 1888년 이후 발견되지 않았다.
  • Ormosia howii: 1954년 중국 하이난 섬 디아오뤄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1957년 광둥성 양춘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Ornithogalum visianicum
  • Pausinystalia brachythyrsum
  • Pavonia domatiifera
  • Peperomia degeneri
  • Persoonia laxa: 1908년에 호주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됨
  • Persoonia prostrata: 1901년에 호주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됨
  • Pluchea glutinosa: 예멘 소코트라 섬에서만 발견되던 국화과 일종으로, 19세기 이후 발견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Pouteria stenophylla: 브라질 고유종이다.
  • Pradosia glaziovii: 브라질 고유종이다.
  • Pradosia mutisii: 콜롬비아 고유종이다.
  • Psiadia schweinfurthii: 예멘 고유종으로, 국화과 일종이다.
  • Psidium dumetorum: 자메이카 고유종의 구아바 일종으로, 1976년 멸종되었다.
  • Psychotria adamsonii: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마르키즈 제도 우아포우 섬의 고유종 식물이다. 2023년 12월 11일에 진행된 IUCN red list 2023-1 멸종 등급 업데이트로 DD등급(데이터 부족)에서 멸종된 것으로 선언됐다.
  • Pycnandra micrantha
  • Roystonea stellata: 쿠바 고유종의 야자나무 일종으로, 1939년 단일 표본으로 알려져있다.
  • Sanicula kauaiensis: 하와이 카우아이섬 고유종으로, 1911년과 1950년에 채집된 두 개체로 알려져있다.
  • Santalum fernandezianum: 칠레 연안의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 고유종으로, 1908년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Schiedea amplexicaulis
  • Scleria chevalieri
  • Sicyos villosus
  • Sporobolus durus: 어센션섬 고유종의 벼과 식물으로, 1886년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Stachytarpheta fallax
  • Stellaria elatinoides
  • Stenocarpus dumbeensis: 뉴칼레도니아 고유종이다.
  • Sterculia khasiana: 인도 메갈라야 카시 구릉의 고유종이다.
  • Streblorrhiza speciosa: 필립섬 고유종으로, 콩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해당 속의 유일한 종이다.
  • Thismia americana: 1912년에 처음 발견되었고, 1916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Trilepidea adamsii: 뉴질랜드 북섬 일부에서 발견되던 식물이다. 해당 속의 유일한 종이다.
  • Trochetiopsis melanoxylon: 현존하는 심각한 멸종위기 식물인 세인트헬레나흑단(T. ebenus)의 친척종으로 1771년에 제임스 쿡의 1차 항해 당시에 처음 채집된 것이 마지막 표본이자 마지막 기록이 된 이 식물을 끝장낸 것은 1502년에 세인트헬레나 섬을 발견한 포르투갈 선원에 의해 도입된 염소들이었다.
  • Valerianella affinis: 예멘 소코트라 섬 고유종이다.
  • Vanvoorstia bennettiana: 호주 고유종의 홍조류 일종이다. 1886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Vernonia sechellensis: 세이셸 마헤 섬 고유종으로, 1874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Viola cryana
  • Weinmannia spiraeoides: 피지 고유종이다.
  • Wikstroemia hanalei: 하와이 카우아이 섬 고유종이다.
  • Xanthostemon sebertii: 뉴칼레도니아 고유종이다.
  • 실피움

이하 항목의 식물은 엄밀히 말해 야생에서만 사라졌고 종 자체는 아직 개체가 남아있으니 멸종 위기 식물이라고 보는게 맞으나 현 시점에서 멸종 위기 식물 관련 문서가 없는 관계로 임시 서술한다.
  • 천사의 나팔꽃(Brugmansia) 속: 7종이 있으나 전종이 야생에서 멸종 상태. 플라이스토세의 거대 포유류 멸종이 치명타였다고 한다. 그나마 그동안 남미 원주민들이 환각 유발 식물로 종교적 의학적 용도로 키워왔고, 이후 신대륙 발견 이후로는 원예용으로 인기가 있었기 때문에 전세계로 퍼져 있으며, 열대지방에서는 화분을 탈출해 침입종이 되어 있기도 하다고 한다. 하지만 전망이 좋은 것은 아닌데, 현재 주요 수요인 원예용으로는 강한 독 때문에 정원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해져 있고, 천사의 나팔꽃을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원주민 문화가 소실되어가기 때문이다. 아래 목록은 속해있는 7종의 학명이다.
    • Brugmansia arborea
    • Brugmansia aurea
    • Brugmansia insignis
    • Brugmansia sanguinea
    • Brugmansia suaveolens
    • Brugmansia versicolor
    • Brugmansia vulcanicola
  • 우드소철(Encephalartos woodii):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응고예 숲에 서식하던 소철의 일종으로 야생에서는 수그루 딱 한 그루만 발견되었으며,[29] 다른 개체들은 일절 찾을 수 없었다. 여러 학자들이 채집한 표본과 식물원 및 가정의 개인 정원 등에서 종자를 얻어 길러지던 개체들도 모두 유일하게 발견된 이 개체에게서 비롯된 것이라 학계의 의문을 샀다. 이후 연구 결과 이 종은 인간의 활동에 의한 멸종이 아닌, 이미 자연도태로 지구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가는 중이었으며, 사람이 정원을 가꾸기 위해 채집하여 기르면서 명맥을 잇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야생에서 완전히 절멸했고, 식물원이나 개인 수집가의 정원에서만 볼 수 있다.
  • 토로미로(Sophora toromiro): 이스터 섬에서만 살았던 식물로 1960년대에 야생에서 멸종되었다.
  • 프랭클리니아(Franklinia alatamaha): 프랭클린 나무라고도 불리는 이 나무는 조지아의 알타마하 강 계곡이 원산지로, 본래 빙하기가 끝나고 나서 멸종할 운명에 처해져 있었기에, 1803년을 마지막으로 야생에서 목격되지 않았다.

3. 가상매체에서 나오는 멸종한 종족, 집단

3.1. 멸종 직전이거나 비공식적인 생존자가 있는 경우

범례
완전히 전멸된 것은 아니지만 멸종된 것과 다름없는 경우(★)
언젠가 멸종될지도 모르는 경우(☆)

4. 관련글


[1] 2017년 재발견되었다는 연구가 있다.[2] 사실 알다브라땅거북의 네 아종 중 모식 아종(A. g. gigantea) 이외의 세 아종은 세이셸 제도에 사는 종류이고, 모식 아종만 알다브라 환초에 사는 동물이며, 나머지 세 아종 중 여기서 다루는 A. g. daudinii 이외의 다른 두 아종(A. g. arnoldi, A. g. hololissa)은 아직도 살아있다.[3] 2019년 11월에 한국에도 상륙한 종으로 2020년 12월 30일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었다.[4] 이 아종의 멸종으로 이 종의 아종은 엘이에로큰도마뱀(G. s. machadoi)만 남았으며 그마저도 현재는 3~4백마리 가량만 남아있는 멸종위기종이다.[5] 이 종의 또다른 아종이자 현재 남은 유일한 밀러버드의 아종인 니호아밀러버드(A. f. kingi)는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이다. 즉 밀러버드 자체가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라는 의미이다.[6] 이 폭풍 이후 밀러버드 외에도 레이산꿀빨이새가 멸종했고, 레이산뜸부기도 레이산 섬에서 자취를 감추었다.[7] 본토 아종인 A. v. vittata는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에 처해 종 자체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8] 큰푸른마코앵무(A. hyacinthinus)와 쇠푸른마코앵무(A. reari)[9] 우리나라에서도 도가머리딱따구리의 친척인 까막딱따구리(D. martius)를 1993년의 공식 발견을 마지막으로 남한에서 자취를 감춘 크낙새(D. javensis richardsi)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10] 단 이는 암컷만 해당되며 수컷은 암컷 크기의 절반에 불과했다는 것이 유전자 분석으로 알려졌다. 또한 체중은 코끼리새가 더 무겁기 때문에 가장 큰 새는 아니다.[11] 사실 계통상 오리보다는 흰죽지에 더 가까웠다고 한다.[12] 일부 개체들은 생포되어 유럽 동물원에서 사육되었지만 번식에는 실패했다고 한다. 마지막 개체는 1936년 죽었다고도 하고, 1945년 죽었다고도 하는 등 정보가 불확실하다.[13] 이 아종의 멸종으로 현재는 사이판흰눈둘레동박새(Z. c. saypani)만이 남았으며 그나마도 멸종 위기이다.[14] 과거에는 중국 남부에도 살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고대 유물로 남은 뿔 2개 짜리 코뿔소가 이 아종으로 보인다. 다만 이미 한나라 시대부터 희귀 동물로써 취급될 정도로 수가 많이 줄었으며, 그나마 윈난성에서는 20세기까지도 남아 있었지만 1916년을 이후로 중국 영토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여담으로 중국에 살았던 뿔 1개 달린 종인 인도코뿔소는 1920년에, 자바코뿔소는 1922년에 중국에서 멸종.[15] 이 종의 기록자인 영국 조류학자 존 굴드[16] Fire-stick farming.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불을 이용한 농법으로, 숲에 주기적으로 불을 지름으로써 용이한 사냥과 잡초 방제, 생물상 변화 등의 목적으로써 많이 사용되었다.[17] 인도코끼리의 서아시아 개체군으로 의심받는 시리아코끼리와 달리, 이 쪽은 명백히 현존하는 아프리카코끼리와 별개의 아종으로 여겨지며 아예 이 종을 별개의 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18] pellet. 올빼미목의 새들이 자신들이 먹은 먹이 중 소화시키지 못하는 뼈와 털들을 뱃속에서 뭉쳐서 뱉은 덩어리[19] 한때 서아프리카포토(P. potto)의 아종으로 여겨졌지만 2015년의 연구 끝에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중앙아프리카 아종 역시 별도의 종인 중앙아프리카포토(P. edwardsi)로 분리.[20] 과거엔 퀸 샬럿 제도라는 이름으로 불리었으나 2010년에 이름이 바뀌었다.[21] 여담으로 이 두 종의 쥐가 멸종한 것으로 크리스마스 섬의 토착종이던 크리스마스섬홍게의 개체수가 늘어 그 유명한 대이동을 야기했을 것으로 보인다.[22] 2003년까지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Z. californianus)의 아종으로 여겨졌다.[23]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 동물의 명칭으로 강치 대신 바다사자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기는 한다.[24] Pseudophilautus속은 인도 남서부와 스리랑카에 서식하는 개구리 속으로, 많은 종이 멸종되었다. 그러나 멸종에서 재발견돼서 벗어난 종류도 몇 종 있다. 그 예시로 157년만에 발견된 Pseudophilautus stellatus와 137년만에 발견된 Pseudophilautus hypomelas가 있다.[25] Partulidae과의 나무위에서 서식하는 열대 달팽이 무리이다. 식용을 목적으로 들여왔던 아프리카왕달팽이(Lissachatina fulica)가 농작물에 해를 끼치자 육식성 달팽이인 늑대달팽이(Euglandina rosea)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 달팽이는 아프리카왕달팽이보다 Partula속의 달팽이들에 더 관심을 보이며 많은 수를 잡아먹었고, 설상가상으로 숲의 파괴 + 섬의 기후변화까지 덮쳐져 많은 종이 멸종했다.[26] Cyanea속은 국화목 Campanulaceae과에 속하는 속으로, 해당 속의 종들은 모두 하와이의 고유종이다.[27] 여담으로 Ilex속에 속하는 또 다른 종인 Ilex sapiiformis는 1838년 이후 발견되지 않다가 2023년 3월 4그루가 브라질의 페르남부코 지역에서 185년만에 재발견되었다. 해당 종은 IUCN이 선정한 '꼭 찾아야하는 25종의 생물'에 포함돼있었다.[28] 우리가 아는 진짜 올리브(Olea europaea)는 꿀풀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지만 이 종은 장미목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었기 때문에 친척조차 아닌 먼 관계의 식물이다.[29] 소철은 은행나무처럼 암수 구분이 있다.[30] 엔딩에서 크세르크세스인 인 호엔하임이 사망하고 호엔하임의 아들들인 엘릭 형제가 남아있긴 하지만 애초에 이 둘도 크세르크세스(호엔하임)와 아메스트리스(트리샤)의 혼혈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순혈 크세르크세스인은 멸종한 셈. 또한 크세르크세스 당시에도 싱을 비롯한 국가들이 교역을 하던 것을 보면 다른 국가에 국토연성진에서 살아남은 크세르크세스 계통 생존자는 더 있어도 이상하지 않지만 이미 멸망으로부터 수백년이 지난 이상 그러한 생존자들의 혈통도 다른 민족들과 섞여 희미해졌을 것이다.[31] 사이어인도 소수민족이었는데 프리저에게 고향인 베지터 행성이 파멸하면서 멸종한다. 사이어인들의 생존자가 손오공과 베지터처럼 작중에도 곳곳히 등장하긴 하지만 이들도 어디까지나 수명이 있는지라.. 그나마 손오반이나 손오천, 트랭크스 등의 평화적인 성향을 지닌 혼혈 사이어인이 태어나긴 하면서 멸종 자체는 피한 듯 하다.[32] 사실, 사이어인 자체가 굉장히 사나운 종족들인지라 다른 우주인들에게 해악을 가했고 이에 손오공도 사이어인들이 멸종당한걸 그리 크게 디스하지도 않았다.[33] 설정집에 의하면 챠밍골드 이외의 피코크족들의 모습은 사라진지 오래되었다고 서술되어 있으며 챠밍골드가 풀룰루화 되었기에 사실상 피코크족은 멸족된 것으로 보인다.[34] [[다른 차원에는 아직 남아있다고 한다.[35] 1화시점부터 핵전쟁으로 코가네 일행 5명(시로가네 타카시의 경우 6화에서 사망)을 비롯한 극소수를 제외하면 몰살당한 상태이다.[36] 우리 우주에서 한정. 이들은 공허에서 사고나 전쟁이 없으면 영생한다. 아몬초월체로부터 살아남은 유일한 개체였던 오로스공허의 유산에서 아몬을 쓰러뜨리기 위해 사라 케리건에게 정수를 넘겨줌으로서 기존 젤나가들은 모두 사라졌다. 정확히 멸종했지만 멸종한 게 아닌 그 정수가 '무한한 순환'을 하는 심오한 형태로 이어졌다.[37] 프로토스에 의해 몰살당했다. 완전히 멸종했는지는 불분명.[38] 군단의 심장 설정에는 멸종으로 나오지만, 공허의 유산 프롤로그에서 케리건의 무리에 섞여 있으며, 본편 중에도 아몬의 무리에 섞여 나오는 걸로 봐서 종을 복원하는데 성공한 듯 하다.[39] 샤쿠라스 행성의 토착 생물로 공허의 유산에서 샤쿠라스가 폭파된 이후로 멸종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프로토스가 생물 표본을 모으는 것을 통해 샤쿠라스에서는 아니지만 그들의 유전자나 일부 개체가 남아있을 것이라는 심증이 있으나 샤쿠라스에서 자생하고 있었던 개체들이 절멸한 것은 분명하다.[40] 성마전쟁 이후 요정의 숲에 전 대륙의 페어리가 몰려들었고, 마기로 인한 전염병으로 절반이 죽은 뒤 나머지 절반은 정령이 되어 정령계로 떠나버려 작중 시점에서는 릴리안 한 명만 남았었다. 이후 312화에서 릴리안이 사라지며 멸종 확정.[41] 원래 살던 행성에서 멸종한 뒤 '멸종 보호종'으로 복원되었으나 여왕벌이 살해당하고, 이후 블랙 필드 공략에서 플레이어들에 의해 전멸.[42] '초월' 프로젝트의 결과 전 국민이 불임이 되고, 24만 2,738명의 인구가 1천 년 동안 9만 정도로 감소한 뒤 마지막 전투에서 초월제가 공격을 막기 위해 전 국민의 생명을 흡수한 이후 초월제도 사망하면서 멸종.[43] 스팅거와 마찬가지로 전갈꼬리가 달려있다. 현재는 스콜피오 마저 사망해서 스팅거 혼자 살아남게 되었다.[44] 게임 후반부에 네크로모프가 된 토착민을 볼 수 있다.[45] 1913년 야생에서 멸종했고, 1918년 마지막 수컷 개체가 죽음으로서 지구상에서 멸종했다.[46] 다만, 선택에 따라 멸종을 피하고 다시 재건할 수 있다.[47] 림보 준장이 이끄는 하이레프 군이 벌인 학살로 멸종했다.[48] 빛의 오버시어의 명령으로 멸종시켰다.[49] 국제 보호종으로 지정했으나 본편 시간대(마을 건국 200년)의 20년전에 절멸되었다, 자생지역은 메이플 타운이라는 한정된 지역에서만 서식했는데 아름다운 모습으로 인해 너도나도 박제하는 사람들로 인해 멸종크리를 받았다, 허나 일부개체가 등장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묘사했다.[50] 1부에서 흡혈귀가 되는 원인을 스피드왜건이 망치로 부숴버렸고, 3부에서 주인공최종보스마저 죽였으니 멸종이다.[51] 본편 시점으로부터 500년 전에 내전으로 바이오 헌터 실바와 피보를 제외하면 절멸한 상태이다.[52] 마지막 생존자였던 주인공인 마저 뉴욕에서 복엽기의 총격으로 죽음으로써 절멸 확정. 나머지는 모두 바스타토사우루스 렉스와의 생존경쟁에서 패배해 죽었다.[53] 대성전 때 많은 종류의 외계 종족들이 인류제국에게 멸종당했다.[54]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도 엄연한 인간이지만 일반인을 초월한 신체능력과 유전적으로 개조된 신체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인류제국 행정부에서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헤러시 이후, 기술력의 상실로 인해 충원이 힘들어지면서 인원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다만 개더링스톰 이후 프라이머리스 스페이스 마린들이 등장하면서 어느 정도 호전은 되고 있으나 은하계 전체를 커버하기엔 역부족이다.[55] 마수로서의 능력이 실루엣 나이트의 천적에 해당하는지라 실루엣 나이트를 광적으로 좋아하는 에르에게 실루엣 나이트가 있을 세상엔 이런 마수는 필요없다며 은빛 봉황 기사단을 동원해 격전 끝에 모조리 박멸시켜버렸다. 누군가 타고 달아난 한 마리만 빼고.(물론, 이것도 인위적으로 개조된 거라서 정상적인 마수는 아닌지라, 사실상 멸종이라고 봐도 무방하다.)[56] 남은 나이트 퓨리가 투슬리스 하나 뿐이기 때문에 순혈 나이트 퓨리는 사실상 멸종되었다.[57] 데스윙을 막기 위해 모든 권능을 써버린 용의 위상들은 필멸자가 되어 버렸고, 나머지 용군단은 불임 상태가 되어 더 이상 알을 낳을 수 없게 되었다.[58] 타갈과 마찬가지로 프로토스의 공격을 받았으며 그로 인해 많은 인구가 학살당하고 문명 역시 석기시대 수준으로 퇴화했지만 타갈과는 달리, 운좋게도 멸종을 면했다.[59] 종족 전체가 일말의 사건으로 인해 존재 자체가 탐리엘에서 삭제되었다.[60] 같은 어둠의 일족인 카즈와 에시디시에 몰살당했고 살아남은 4명 중 2이 죽고 하나는 우주에서 생각하는 것을 그만두었으며, 하나 역시 스피드왜건 재단 연구실에 갇혀있다.[61] 호죠 박사가 고대종의 멸종을 막기 위해 분투하나 아발란치의 방해 때문에 실패한다.[62] 크라피카를 제외한 쿠르타족 일원들이 모두 환영여단에 의해 학살당했다.[63] 10만년전 플러드의 극심한 공격으로 인해서 일부 생존자들 빼고는 모조리 멸종해버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