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3:07:46

멜로디(브롤스타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7dda> 파일:브롤스타즈 로고.svg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든 브롤러의 포트레이트 이미지는 1920x1186 크기로 조정되어 업로드되었습니다. 이미지 크기가 다를 경우 각 표의 크기도 달라지므로 신규 이미지 업로드시 크기조정을 하신 후 업로드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wiki style="width: 20%;... 으로 시작하여 까지 복사하여 각 행에 붙여넣어 수정해주세요.
기본 브롤러(STARTING)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쉘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
}}}
}}}
희귀(RARE)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니타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콜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브록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엘 프리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발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포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로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
}}}
초희귀(SUPER RARE)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제시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다이너마이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틱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8비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리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대릴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페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재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
}}}
영웅(EPIC)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보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엠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스튜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파이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프랭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비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나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에드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그리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그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보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게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콜레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애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롤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샘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맨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메이지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행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래리 & 로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안젤로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
신화(MYTHIC)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모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타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맥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미스터P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스프라우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바이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스퀴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러프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버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팽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이브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자넷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오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버스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그레이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R-T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윌로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더그_크기조정.webp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척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찰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미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멜로디 프로필.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릴리 프로필 사진.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
}}}
전설(LEGENDARY)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스파이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크로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레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샌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앰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메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서지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체스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코델리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키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wiki style="width: 20%; max-width: 77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128,128,128,0.2) solid 1px;"
파일:Draco_Portrait.png
{{{#!wiki style="margin: -10.5px -0.5px"
<table width=100%> }}}
}}}
}}}
}}}}}}}}} ||
관련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마스터리 · 티어 · 템플릿


파일:브롤스타즈 로고.svg 브롤스타즈의 78번째 브롤러
<rowcolor=#000,#fff> 안젤로 멜로디 릴리


멜로디
MELODIE
파일:멜로디 프로필.png
<colbgcolor=#f00><colcolor=#fff> 등급 신화
역할군 어쌔신(ASSASSIN)
코드 네임 AxeJuggle
출시일 얼리 액세스
2024년 3월 28일[1]
정식 출시
2024년 4월 4일
성우 미공개
플레이어 칭호 피어리스[2]


1. 개요2. 대사 목록3. 핀4. 스프레이5. 스탯6. 스킬
6.1. 일반 공격 - 몬스터 음표(MONSTER NOTES)6.2. 특수 공격 - 착 감기는 코러스(CATCHY CHORUS)6.3. 가젯
6.3.1. 퍼펙트 피치(PERFECT PITCH)6.3.2. 간주(INTERLUDE)
6.4. 스타 파워
6.4.1. 빠른 비트(FAST BEATS)6.4.2. 익스텐디드 믹스(EXRENDED MIX)
7. 성능
7.1. 장단점7.2. 변천사7.3. 모드별 평가
8. 상성9. 추천 조합10. 팁11. 스킨
11.1. 기본 스킨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시프 멜로디(SIF MELODIE)
12. 업데이트 내역13.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멜로디 기본.png
내가! 엔딩 요정~ 짜잔!
음색 깡패 나가신다!
When it comes to Karaoke, Melodie shows no mercy. Armed with her kawaii looks and devilish set of pipes, she never fails to steal the limelight.
노래방에서는 누구도 멜로디를 막을 수 없어요! 깜찍한 외모와 매혹적인 음색으로 모두의 시선을 사로잡는답니다.
  • 스타파크 노래방 트리오의 첫번째 멤버이다. 브롤러계 아이돌이면서 스타파크 제일의 노래방 가수이지만 성격이 꽤나 변덕스러워 때로는 장미처럼 섬세하고 다정하지만 어떨 때는 뾰족한 가시를 세우기도 한다고 한다.

2. 대사 목록

브롤스타즈 최초로 대사에 한국어가 있다. 모든 대사가 한국어는 아니지만, 한국어 대사들이라 한국 유저들의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한국어 대사가 나온 것은 좋지만 유행어가 너무 많아 오글거린다는 평가도 있어 한국인 유저들 사이에서는 호불호가 좀 갈리는 편. [예][4]

대사를 들어보면 본인의 팬덤을 멜로디언이라 칭하는 듯.
멜며들 준비됐어?[한국어][6]
가보자고![한국어]
많관부~[한국어]
Mic check, 하나, 둘, 셋![한국어]
마이크 체크, 하나, 둘, 셋!
Melodians are you ready to rock?
멜로디언들 공연 즐길 준비 됐어?
Big shoutout all my melody minions.
내 멜로디 군단들을 위해 큰 함성을 질러줘.
Gonna rise to the top, watch my enemies drop.
내가 정상으로 가는동안, 내 적들이 쓰러지는 걸 지켜봐
So many songs to sing, so much joy to bring~[10]
부를 노래가 너무 많아, 기쁜 마음으로~
Harmony brings melody.
화음은 멜로디를 가져오지.
Don't miss the show.
쇼를 놓치지 마.
Chi Chi yo yo, Stanby
치치 요요, 스탠바이!
리스폰 시 대사
와우 찢었다![한국어]
내가 엔딩 요정~ 짜잔![한국어][13]
오늘은 멜로디가 쏜다![한국어]
I'm your ldoI!
난 너의 아이돌이야!
I'm glitter, I'm gold, I'm a legend to behold.
나는 반짝이고, 금이고, 봐야 할 전설이야.
Woo! I just slayed
우! 내가 끝장냈어!
Shoutout to my Melodians!
내 멜로디언들에게 소리 지르자!
Reload, reline, keep this moment on my mind,
다시 보기로 이 순간이 기억해.
Straight to the top!
바로 정상으로!
Dreams come true.
꿈은 이루어진다!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선 넘네?[한국어]
미쳤어?[한국어]
급발진 뭐야?[한국어]
너 T야?[한국어]
너 좀 친다?[한국어]
FAKE LOVE!
Huh, that was unexpected 칭찬해[한국어]
허, 방금은 예상 못했네 칭찬해
Worst concert ever!
역대급으로 최악의 콘서트야!
This is real K-pop.
이게 진정한 K-pop이야.
K-drama alert!
K-드라마 경보!
I don't dress to impress.
관심 끌고 싶어서 옷을 꾸미는 게 아냐.
피격 시 대사
폼 미쳤다![한국어]
아흥~ 덕통사고~[한국어]
까불지 마.[한국어]
와우! 대박[한국어]
올킬![한국어]
K-pop don't stop 'til I reach the top.
K-pop은 내가 정상으로 갈 때까지 멈추지 않아.
I might be your idol, but you don't own me.
내가 너의 아이돌일지 몰라도, 넌 날 가질 수 없어.
You'll remember this melody forever.
넌 이 멜로디를 영원히 기억하게 될 거야.
Want to play? That's okay. Get in my way, then you'll pay.
놀고 싶어? 한번 해봐. 내 앞길을 막는다면, 대가를 치르게 될거야.
That was Pitch Perfect!
방금의 피치는 완벽했어!
For my Melodians!
내 멜로디언들에게!
See you when you grow up.[26]
좀 더 자라서 보자.
적 처치 시 대사
너 누구니? 신인이니?[한국어]
킹받네![한국어]
Melodians, 탈덕 안 돼! 아...[한국어]
멜로디언들, 탈덕 안 돼! 아...
Don't let it get to your head.
네 머리에 닿지 않게 조심해.
Even a fallen star still shines.
떨어진 별이라도 빛나는건 여전해.
This was rehearsal right?
방금 리허설이었지?
Stars never stop sparkling.
별은 반짝거리는걸 절대 멈추지 않아.
사망 시 대사
음색 깡패 나가신다![한국어]
It's 눈 정화 타임![한국어]
지금은 눈 정화 타임!
도망쳐![한국어]
Catch my 역조공.[한국어][34]
나의 역조공을 받아줘.
Shooting Star!
별똥별처럼!
Everybody scream!
모두 소리 질러!
Let's go Melodians!
멜로디언들 가자!
Idol mode on!
아이돌 모드 활성화!
Remember my name! Yeah!
내 이름 기억해둬! 예!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rowcolor=#fff>
{{{#!folding [ 핀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상태 희귀도 대사
파일:Melody_Pin_Neutral.png Neutral 일반 Mic check 하나, 둘, 셋
파일:Melody_Pin_Happy.png Happy 일반 와우 찢었다!
파일:Melody_Pin_Sad.png Sad 일반 Melodians 탈덕 안 돼! 아...
파일:Melody_Pin_Angry.png Angry 일반 미쳤어?
파일:Melody_Pin_GG.png GG 희귀 까불지 마.
파일:Melody_Pin_Clap.png Clap 희귀 박수 소리
파일:Melody_Pin_Thanks.png Thanks 영웅 See you when you grow up.
파일:Melody_Pin_Phew.png Phew 영웅 너 좀 친다?
파일:Melody_Pin_Special.png Special 영웅 Mic check 하나, 둘, 셋 }}}}}}

한국계 캐릭터라는 점을 감안해서 그런지 Thanks핀의 경우 손가락 하트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다른 (영어 이외의) 외국어 화자 브롤러들의 경우 전체 핀 중 1~2개에 많아봤자 절반에 못 미치는 핀에 외국어 대사가 배정되는데, 멜로디의 경우 "Thanks" 핀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핀에 한국어 대사가 배정되어 있다. 때문에 한국인 유저들이 멜로디를 사용할 경우 상황에 맞는 다양한 핀을 다채롭게 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 스프레이

<rowcolor=#fff> 스프레이
파일:Melodie_spray.png
멜로디의 음표가 그려져 있다. 얼리엑세스 출시 전에 버그인진 몰라도 스타드롭에서 나오기도 했다.

5.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파일:Icon_health.png HP || 이동 속도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4100 보통
(720 = 2.4타일/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4510
3 4920
4 5330
5 5740
6 6150
7 6560
8 6970
9 7380
10 7790
}}}}}}}}} ||
11 8200

체력은 어쌔신 중에 4위로 꽤 높다. 적에게 붙어야 제 딜이 나오는 점을 감안한 듯하다. 그러나 이동 속도는 암살자면서 대부분의 브롤러와 동일한 720이다. 이 이동속도를 특수 공격과 1스파로 보완하는 것이 중요한 편.

6. 스킬

6.1. 일반 공격 - 몬스터 음표(MONSTER NOTES)

파일:skill-attack_new.png <colcolor=#000,#ddd> Melodie throws her Mic at an enemy. If it hits, a Note appears spining around her for a short duration. Melodie can have up to 3 Notes active at same time
멜로디가 마이크를 던져 적에게 피해를 주며, 적중 시 자신 주위를 맴도는 음표를 생성합니다.(최대 3개) 음표는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고 적에게 부딪히면 피해를 줍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460 ||<width=25%>사정거리
장거리(8.33타일) ||<width=25%>재장전 속도
보통(1.5초) ||<width=25%>주위를 도는 음표
3 × 920 ||
특수 공격 충전량: 25%
투사체 속도: (4500 = 15타일/초)
투사체 폭: (125 = 0.84타일)
음표 속도 (860)
파일:멜로디 일반공격.gif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460 / 3 × 92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506 / 3 × 1012
3 552 / 3 × 1104
4 598 / 3 × 1196
5 644 / 3 × 1288
6 690 / 3 × 1380
7 736 / 3 × 1472
8 782 / 3 × 1564
9 828 / 3 × 1656
10 874 / 3 × 1748
}}}}}}}}} ||
11 920 / 3 × 1840 }}}}}}


빠르게 날아가는 음표 모양의 투사체를 발사하며, 투사체가 적[35]에게 적중할 때마다 멜로디 주변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닿은 적에게 피해를 주는 음표가 생성된다.[36]

음표는 최대 3개까지 생성되며 총 8초 동안 유지된다. 생성된 음표들은 각자 독립적인 지속 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이미 음표 3개를 가진 상태에서 투사체가 적중하면 가장 오래된 음표가 새 음표로 교체된다.

투사체의 속도는 웬만한 저격수 브롤러 이상이고 판정도 괜찮아 사거리의 절반만 되도 오토에임이 필중인 수준이지만 대미지는 11렙에서도 920으로 형편 없다. 사실상 이 투사체는 장거리에서 특수 공격을 채우는 견제기이며, 핵심은 부가 효과인 음표라고 보면 된다. 기본 공격이 약한 대신 주변을 돌아다니는 음표는 각자 1840으로 일반 공격 2탄창 분량의 대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관통형 공격이기에 여러번 적중시킬 수 있어 멜로디의 딜량의 7~80%는 음표가 담당한다.

일반적으로는 음표의 궤도를 봐서 특수기로 접근해서 피해를 주는 운영이 이상적이지만, 음표를 의식해서 맞추려고 하면 오히려 안 맞는 일이 허다하다. 되려 너무 근접해서 음표는 맞추지 못하는 경우가 잦기에 진입을 한다면 거리 조절은 필수적이다. 그러면 음표가 알아서 피해를 주기에 익숙하지 못하다면 적어도 음표의 사정거리는 숙달해두는게 도움이 된다.

음표는 멜로디가 부쉬에 숨어 있을 때도 보인다. 그 말은 숨어 있다가 빠른 속도로 적을 때려서 거리 조절을 하지 않으면 잠입 플레이가 매우 힘들어지며, 수풀에 있어도 음표는 엠즈의 특수 공격처럼 보이기 때문에 중심을 노리고 공격할 수도 있다. 수풀만 있는 허허벌판이라면 음표가 빈 곳으로 더 강력한 탱커나 암살자들이 접근해 죽여버릴 수도 있으니 주의.

참고로 음표는 멜로디의 주변에 바로 생성되는 것이 아닌 멜로디에 몸에서 생성되고 궤도까지 퍼지는 방식이라 초근접에서 일반 공격을 적중 시 음표의 피해량이 같이 들어간다. 이때의 폭딜은 만렙기준 무려 2760으로 3탄창 안에 웬만한 적은 전부 잡을 수 있는 수준으로 암살자로 부르기에 손색이 없을 정도라[37] 적이 순식간에 증발하는 진풍경이 가끔 나온다.

6.2. 특수 공격 - 착 감기는 코러스(CATCHY CHORUS)

파일:Super_image1.png <colcolor=#000,#ddd> Melodie dashes in a straight line. Melodie can dash 3 times total before super is exhausted
멜로디가 짧은 거리를 돌진합니다. 특수 공격이 충전되면 최대 3회 돌진 할 수 있으며, 돌진 횟수를 모두 소모하기 전까지 특수 공격 충전이 불가능합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사정거리
중거리(5.33타일) ||<width=25%>사용 가능 횟수
3 ||<width=25%> ||<width=25%>||
돌진 속도: (3700 = 12.33타일/초)
파일:멜로디 궁.gif

멜로디가 빠르게 돌진한다. 하나의 특수 공격으로 3회까지 돌진이 가능하며, 3회를 전부 사용하기 전까진 새로운 특수 공격을 충전할 수 없다.

3회 연속으로 돌진이 가능하기에 일반적인 직선 돌진과는 다르게 스튜처럼 무빙을 치며 접근하거나 엄폐물 뒤의 적도 우회해 접근할 수 있는 등 변칙적으로 써먹을 수 있다.

돌진 자체에는 피해량이 전혀 없지만, 음표의 위치에 따라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브롤 볼이나 바스켓 브롤에서 궁슛을 쏘면 남은 궁극기 횟수 중 하나를 소비하게 된다. 이 매커니즘 덕에 슛-이동기, 통칭 드리블 콤보가 가능하며, 그것도 한번이 아닌 연속적으로 가능해 독보적인 트릭 플레이가 가능하다.[38]

또한 음표가 없는 빈 곳을 공략하는 암살자의 공격도 피할 수 있다.같은 암살자인데 사이좋게 지내지

듀얼에서 멜로디가 궁극기가 있는 상태로 죽으면 다음 브롤러도 멜로디처럼 궁극기가 3개인 상태로 시작했었다. 정황상 버그였던 것으로 보이며, 이후 듀얼이 다시 로테이션에 돌아왔을 땐 수정되었다.

참고로 특수기를 하나이상 사용한 상태에서 사망하거나 매칭 초기화 작업[39]특수 공격이 증발하는 버그가 있다. 다만 의도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궁게이지 역시 죽거나 매칭이 초기화 되면 궁게이지가 아예 0%가 된다. 이부분은 확실히 버그인것으로 추정된다.

6.3. 가젯

6.3.1. 퍼펙트 피치(PERFECT PITCH)

파일:멜로디1가젯.webp <colcolor=#000,#ddd> Melodie's Notes orbit 25% faster and 60% wider for 5 seconds
음표가 5초 동안 25%빠르게 회전하고 회전 반경이 60%증가합니다.

활성화 시 음표의 속도가 25%, 범위가 60% 증가한다. 이를 활용해 비교적 멀리 있는 적에게도 음표 대미지를 욱여넣을 수 있다.

다만 이 가젯을 쓰면 음표가 원래 돌던 안쪽 구역이 비어버려 오히려 근접전에서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참고로 회전 속도가 증가하긴 하는데 그만큼 회전하는 궤도가 커져서 적이 피해를 받는 주기는 별 차이 없다. 어느정도 떨어진 적에게도 음표를 맞출 수 있다는 점에 메리트를 둬야한다.[40]

6.3.2. 간주(INTERLUDE)

파일:멜로디2가젯.webp <colcolor=#000,#ddd> Melodie gains a shield for 10% of her max HP per note she has active
보유한 음표 개수당 최대 체력의 10%에 해당하는 보호막을 얻습니다.

사용 시 멜로디가 보호막을 얻는다. 보호막의 체력은 가지고 있는 음표 하나당 최대 체력의 10%[41]이며, 고로 3개를 가지고 있으면 최대 체력의 30%[42]의 체력을 가진 보호막이 생성된다. 음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써지지 않는다. 에드거의 하드코어 가젯이나, 거스의 특수공격과 비슷하게, 지속적으로 보호막의 체력이 감소된다.

6.4. 스타 파워

6.4.1. 빠른 비트(FAST BEATS)

파일:멜로디1스파.webp <colcolor=#000,#ddd> Melodie's movement speed increases by 6% per note
보유한 음표당 이동 속도가 6%증가합니다.

음표의 개수마다 멜로디의 이동속도가 6% 증가한다. 음표가 최대로 찼을 땐 18%까지 증가 가능하다.

음표가 3개일 경우, 이동속도는 무려 892[43]로 증가하기에, 멜로디의 회피능력과 접근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좋은 스타파워이다.

다른 어쌔신 브롤러들과 다르게 멜로디의 이동 속도는 보통으로 어쌔신 치고는 느린 편이라 이 스타파워의 이속 버프가 엄청 도움이 된다.[44]

6.4.2. 익스텐디드 믹스(EXRENDED MIX)

파일:멜로디2스파.webp <colcolor=#000,#ddd> Melodie Notes last for 25% longer before vanishing
음표의 지속 시간이 25%증가합니다.

음표의 지속시간이 25% 증가해 8초에서 10초로 늘어난다. 음표 의존도가 높은 브롤러라 좋은 특성이지만, 1스파가 암살자치곤 느린 이속을 커버해줘 하이스트를 제외하고는 사용하는 일이 적다.

7. 성능

뛰어난 중근거리 폭딜과 압도적인 기동력으로 전장을 휘젓는 암살자 브롤러.

스튜를 비롯한 다른 고인물 캐릭터들과 마찬가지로 유저의 숙련도에 따라 성능이 천차만별이다. 특수 공격으로 닥돌해 죽는 유저와 음표 매커니즘을 잘 활용해 상대를 학살하는 유저들이 공존한다. 또한 성능상으로도 여러 공통점이 있다.

대개 암살자 브롤러가 그렇듯 팀 기여 능력은 낮다. 원거리 평타를 지니고 있지만 딜량이 매우 낮은데, 이는 곧 초반 기여도가 낮다는 점을 보여주며 압도적 기동성을 가진 특수기는 후반에 정교한 컨트롤만 있다면 다 쓸어담을 수 있는 전형적인 특수기에 의존하는 암살자 브롤러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만 두고 본다면 에드거, 팽과 같은 소위 '충'챔들과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멜로디가 이들과 다르게 평가받는 이유는 바로 특수기의 뛰어난 기동성 및 활용도로 미코, 모티스, 스튜와 같이 이동하며 상대의 어그로를 빼줄 수 있다는 점이 위 둘과는 차별화된다. 거기에 한 술 더 떠서 몸을 감싸고 도는 음표덕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뒷라인의 체력이 뭉텅뭉텅 빠져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초반에 약하지만 특수기를 채운 이후에 이르러서는 암살도, 기동도 전부 뛰어나 공격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브롤러. 다만 여태 나온 브롤러 중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편에 속하기에 파일럿의 손재주에 따라 다재무능 브롤러가 될 수 도 있다.

7.1. 장단점

장점
  • 뛰어난 기동성
    특수기의 3단 돌진으로 치고 빠지는 능력이 뛰어나며 1스타파워 사용시 이동속도도 빨라진다.

  • 폭넓은 상성 관계
    체력이 꽤 높은 편이고 압도적인 기동성까지 갖추고 있어 맵이 기동성에 제약을 가하지 않는다면 딱히 심하게 불리한 상대가 없다. 전반적인 상성 관계가 스튜와 비슷한 편이다.

  • 뛰어난 생존력
    여리여리한 생김새와 다르게 체력이 팽보다 조금 안되는 4100대로, 장거리 암살자 브롤러임에도 상당히 높은 체력을 보유하고 있다. 거기다 상술한 3단 돌진 특수 공격을 통한 출중한 기동력에 가젯이나 스타파워를 통해 보호막, 추가 이속까지 얻을 수 있어 멜로디 유저가 작정하고 튀면 상대하는 입장에서 정말 잡기 까다롭다. 후술할 음표 메커니즘의 특성상 적에게 까다롭게 근접해야 하기에 어드벤티지 격으로 체력을 높게 준 것으로 보인다.
단점
  • 슬로우 스타트
    음표 및 특수 공격 의존도가 매우 높아서 초반에는 힘을 크게 쓰지 못한다. 이는 애쉬와 비슷한 단점이지만 애쉬는 1스파로 커버 가능하기에 멜로디에게 부각되는 단점.

  • 음표 메커니즘의 이질적인 조작감
    멜로디의 난이도를 높이는 원흉. 아래는 멜로디의 주력 기술인 음표를 사용하여 생기는 단점들이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어려운 거리 조절
    멜로디의 주력딜인 음표는 사거리가 그리 길지 않아 1가젯을 사용한게 아니면 근접 암살자처럼 특수기로 적진에 들이박는 플레이가 강제되며 1가젯을 사용하면 음표가 멀어져서 중원거리 브롤러들을 어느정도 견제할 수 있지만, 그러면 근접 브롤러들한테 취약해진다는게 단점이다.

  • 존버 불가
    다른 브롤러들은 부쉬 안에서 공격을 하지 않는 한 체력을 채우고 반격을 할 수 있지만, 멜로디가 음표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부쉬 안에서 숨었다고 해도 다 보인다. 그래서 부쉬 근처에 벽을 낀다 한들 투척수한테 얻어 맞을 것이고 벽에 막히는 특수 공격 특성상 멜로디는 그저 마이크를 들고 있는 가수에 불과하다.

  • 음표 메커니즘으로 인한 불안정한 딜링 구조
    그렇게 힘들게 음표와 특수 공격을 모으고, 리스크를 동반해 근접해도 음표의 딜링 메커니즘 자체가 매우 불안정하다. 거의 비슷한 효과인 엠버의 "춤추는 불꽃" 가젯을 써보면 알겠지만 많아봐야 한 두번 맞추는 것이 고작인데, 멜로디는 이게 주력 딜링 기술이기에 적과 근접하되 초근접은 아닌 아슬아슬한 거리를 유지하며 교전해야 한다. 또한 음표마다 지속시간이 존재하여 음표 하나만 없어져도 기대 딜량이 급감하고, 가젯이나 스타파워도 현재 음표 개수에 따라 강화되는 형식이기에 끊임없이 평타도 쳐주면서 음표 개수를 3개로 유지해야한다.

  • 암살자임에도 불가능한 폭딜
    주력 딜링기인 음표의 딜과 DPS등은 강력한 편이지만 음표 특유의 회전하며 딜링하는 매커니즘 특성상 적을 암살하는데 다른 암살자들인 에드거, 레온 등과 비교하면 극단적으로 느린 편이다. 그래서 상대가 체력이 조금씩 깎이는 동안 반격을 해서 높은 체력이 탈탈 털릴 수 있다.}}}

  • 특수 공격의 뼈아픈 단점
    멜로디의 난이도를 높이는 두번째 원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형에 막히는 특수 공격
    특수 공격이 모티스처럼 범위가 커서 벽이 많은 지형에서는 모티스가 에모를 날리듯이 아까운 궁극기를 날릴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그 대부분의 돌진형 특수기로 건널수 있는 물이랑 넉백 지대조차도 못건너간다.

  • 3번 한정된 특수 공격
    특수 공격은 3번밖에 쓸 수 없기때문에 멜로디의 뛰어난 기동성이 퇴색될 수 있다. 이유는 특수 공격은 스튜처럼 쉽게 찰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범위도 짧은데 중첩으로 충전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특수 공격의 신중한 사용이 요구되는 편이다.
}}}
  • 상술한 단점들로 인한 높은 난이도
    멜로디는 모티스의 전속력 돌진과 비슷한 거리를 돌진하고 스튜처럼 여러번 돌진하고 처럼 빠른 속도로 돌진하지만 이 세 캐릭터가 으레 그런 것처럼 미코처럼 지형에 구애받지 않는 점프가 아닌 이상 지형에 무력화되기 쉽다. 그리고 3번 돌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역으로 생각하면 모티스처럼 한번한번의 돌진에 신중에 신중을 가해야된다. 잘쓰면 스튜처럼 돌진으로 상대의 공격을 전부 피하면서 중간중간 평타와 가젯을 섞어주면서 음표로 대미지를 욱여넣는 플레이도 가능하지만 본인이 못하면 그냥 체력 8200의 움직이는 특수 공격 충전기 신세가 돼 버린다.

7.2. 변천사

2월 브롤 토크에서 소개된 신규 브롤러로, K-POP이 선풍적인 인기를 끈 것을 의식한 것인지 그와 같은 느낌으로 나왔다. 멜로디는 이전에 등장한 브롤러인 안젤로와 마찬가지로 좋은 능력을 100% 활용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플레이를 요구하는 소위 하이리스크 하이리턴형 브롤러로 나왔다. 캐릭터의 능력치를 최대한으로 이끌기가 어렵다보니, 래리 & 로리찰리 같이 등장 직후 엄청난 밸런스 붕괴를 일으킨 브롤러들과는 다르게 평가가 갈리는 중. 공개 초기에는 상시 앰버 2가젯에 스튜의 특수 공격을 3번 모아 쓰는 똥캐라는 의견과 특수 공격과 음표의 조합으로 적진을 갈아버릴 수 있다는 사기캐로 의견이 갈렸다. 정식출시 이후론 실력자들 한정으로[45] 사기캐라는 평이 많다. 전성기를 넘어 지금 기준으로 봐도 스튜랑 달리 무상성 플레이도 더욱 어렵지만 여전히 너프가 필요하다는 평가가 많은 편.

이후 시즌 26 밸런스 패치로 1스파의 이속 증가량과 2가젯 보호막 체력이 감소하는 너프를 받았다. 하지만 그렇게 큰 너프까지는 아니여서 입지는 여전히 좋다.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46][47]으로 분류하였다.
  • 파일:SHOWDOWN.png 솔로 쇼다운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성능이 크게 차이난다. 장점은 근접전과 원거리 견제력이 모두 강한데다 체력도 넉넉하고 돌진기도 가지고 있어 접근력, 생존력이 모두 뛰어나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이와 비슷한 팽과는 달리 원거리 공격이 꽤나 아프고 돌진기도 3번의 횟수 덕에 좀 더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상자깡도 수월해서 파워큐브도 쉽게 수급할 수 있는 것은 덤. 하지만 단점은 솔쇼 특성상 벽이 많고 물이 많은데다가 멜로디의 특수 공격은 히트박스가 커서 쉽게 막히고, 다른 암살자들과 다르게 폭딜이 불가능 한데다가, 원거리치고는 애매하게 짧은 사거리로 인하여 저격수한테도 털리는 일도 자주 발생하여 사용자가 고수이면 매우 적합인데도, 고수보다 딸리거나 초보인 경우에는 부적합에서 매우 부적합으로 요동치는 일이 빈번하다.
  • 파일:DUOSHOWDOWN.png 듀오 쇼다운
    솔쇼보다 덜하지만,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성능이 크게 차이난다. 실력이 좋다면 상대 팀 2명을 그냥 학살할 수 있지만, 반대로 실력이 좋지 못하다면 궁극기로 돌진해봤자 그냥 녹아버릴 것이다.
  • 파일:GEMGRAB.png 젬 그랩
    팀 기여도가 낮은 암살자 특성상 특성상 젬 그램에서 활약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압도적인 기동성을 사용해 젬 캐리어가 되거나, 도망치는 상대 젬 캐리어를 궁극기로 따라잡기 수월하다. 또한 2가젯 1스파 조합으로 적 진영의 라인을 철거 할 수 있다.
  • 파일:BRAWLBALL.png 브롤 볼
    멜로디의 주력 모드. 멜로디는 이례적으로 한 번에 세 번씩 특수기를 발동시킬 수 있는데, 궁슛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되어 한번에 세 번씩이나 궁슛을 쏠 수 있는데다 드리블도 가능해서 순간적으로는 모티스를 훨씬 능가하는 드리블 실력을 보여줄 수 있다. 워낙 빠르기에 상대로써도 대처하기 힘들며, 실력 좋은 유저가 잡으면 빈 공간을 파고들어가 엄청난 슈팅을 보여줄 수 있다. 모티스와 달리 교전 시에도 잘 활약한다.
  • 파일:HEIST.png 하이스트
    특수공격으로 순식간에 적 금고로 도달할수 있고, 금고를 쳐도 음표가 생성되기에 딜을 꽤 많이 뽑아낼 수 있다. 다만 수비 능력은 좀 떨어지기에 수비보단 공격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금고 주변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공격하면 음표 데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 파일:BOUNTY.png 바운티
    일반 공격 데미지가 최대 920밖에 되지 않고, 제대로 딜을 하기 위해서는 아슬아슬한 거리를 유지하며 음표를 상대에게 맞춰야 하는만큼 바운티는 멜로디의 기동성을 살리기 쉽지 않다. 특수공격 실력이 중요한 다른 모드와는 살짝 달리 일반공격의 에임이 중요하다.
  • 파일:Hot_Zone.png 핫 존
    음표를 이용해 모여있는 상대 브롤러에게 딜을 하기 쉽지만, 상대 플레이어의 실력에 따라 딜 가능성이 크게 달라진다. 멜로디가 돌면서 때리는 것을 것을 그냥 보고있을 적이 없다.
  • 파일:Knockout.png 녹아웃
    템포가 느린 녹아웃에서 강제로 템포를 올리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지만, 팀 플레이가 중요한 녹아웃에서 팀원이 따라가지 못한다면 전략의 의미가 사라진다. 데미지가 더 세고 템포 전략도 가능한 맥스나 모티스 같은 대체제가 많다.
  • 파일:Duels_icon.png 듀얼
    상대방의 조합에 따라 성능이 갈리는 편이다. 원거리 브롤러보다 애매하게 사거리가 짧은 멜로디 특성상, 원거리 브롤러한테 체력이 탈탈 털릴 수 있고, 근거리 브롤러는 벽을 끼고 상대하거나 부쉬 기습으로 반격하면 그만이라서, 상대방의 조합에 따라 성능이 요동치는 편이다.
  • 파일:BASKETBRAWL.webp 바스켓 브롤
    역시나 브롤볼과 같은 방법으로 넣을 수 있으나 슛을 잘 쏘는 사람이 아닌 이상 골을 넣긴 생각 보다 힘들다. 그래도 바스켓 브롤 맵 자체가 좀 작아서 인지 잘만 쓰면 좋다.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빅 브롤러]
    사거리도 길어서 견제하기가 쉽고, 접근했다가는 음표에 갈려나가기에 매우 적합하다. 게다가 특수공격도 도망가기 매우 좋다.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5인]
    이론상 지속적으로 높은 딜을 뽑아낼 수 있지만, 딜을 하려면 근접해야 하는 매커니즘 때문에 실제로는 딜을 넣기 어렵다.
  • 파일:ROBORUMBLE.png 로보 럼블
    일반 공격인 원거리 공격은 데미지가 낮고, 음표로 데미지를 넣으려면 죽을 가능성도 있을 뿐더러 아주 큰 데미지를 넣을 수 있는 것도 아니기에 잘 쓰이지 않는다.
  • 파일:보스전.png 보스전
    그리 나쁘진 않지만 굳이 쓸 필요는 없는 픽. 음표 딜이 세긴 하나 그리 특출난 수준은 아니고, 더 안전하고 강하게 딜을 뽑아낼 수 있는 다른 딜러들에 비해 메리트가 부족하다. 특수공격도 최후의 1인이 된 상황에서 도망가는 상황이 아니면 별 쓸모도 없다.

8.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 멜로디가 상대하기 힘든 브롤러
    • 원거리 대응력과 사거리, 생존력이 우수한 브롤러: 멜로디는 기동력과, 중근거리 DPS를 바탕으로 탱커들과도 호각으로 싸울 수 있으나, 이들은 사정거리가 길어 원거리 딜로 맞서기가 매우 어렵고, 음표를 맞추려고 사거리에 들어간다면 멜로디가 먼저 이들에 공격에 노출된다. 거기다 이들은 스킬셋 상으로 멜로디의 메커니즘도 카운터치기에 더욱 어렵다. 스튜의 경우 멜로디보다 안정성이 높고, 약점이랄게 없어 이들 상대로 유리할 때가 많은 것이다.
    • 기타
      • 코델리우스: 멜로디가 유일하게 상대하기 어려운 근접 브롤러. 일단 멜로디는 특수 공격과 가젯, 음표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데, 코델리우스의 궁극기에 맞아서 그림자 영역에 끌려가면 특수 공격과 가젯을 사용할 수 없고 음표 게이지도 전부 초기화되어서 오로지 데미지 약한 평타로만 상대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게다가 그림자 영역 밖에서도 안심할 수 없는데, 음표로 갈아버리기 위해 근접해도 코델리우스가 2가젯으로 침묵을 걸면 아무것도 못하고 죽기 쉽다.
  • 멜로디가 상대하기 쉬운 브롤러
    • 데미지, 체력이 낮거나 근접 대응력이 약한 대부분의 브롤러:이들은 체력이 낮고 데미지가 낮아 근접전에 약해서 멜로디의 접근에 대처할 방법이 적다. 게다가, 이 분야의 브롤러는 좋은 생존기가 하나 있는 경우가 많은데 멜로디는 이동기를 한번이 아닌 세번씩 사용해서 생존기를 써도 따라잡을 수 있다.
    • 명중률이 저조한 중원거리 브롤러:이들은 스펙이 높아도 명중률이라는 뼈아픈 단점 때문에 중거리 어쌔신인 멜로디가 이 약점을 찌르기 좋다. 다만 스튜랑 비슷하게 이속이 보통이여서 상대방의 에임이 좋거나 자신의 무빙이 좋지 않다면 불리할 수 있으니 주의
    • 투척 브롤러: 기본적으로 특수 공격이 3번이나 사용할 수 있는 돌진기라서 스튜와 다르게 벽 뒤에서는 반대편 길로 넘어서 접근해 음표를 동반해서 갈아버릴 수 있다. 게다가 벽을 넘을 수 있는 음표와 1가젯으로 벽 너머의 투척 브롤러를 견제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편.
    • 사정거리가 짧은 브롤러: 멜로디는 사거리가 8타일로 은근 긴 편이고, 원거리에서는 짤짤이를 통해 자연 회복을 방해하면서 피를 깎아주면 사거리가 짧은 브롤러들은 접근하기도 전에 말라 죽어버려 그저 멜로디의 음표 셔틀일 뿐이다. 여차하면 2가젯으로 보호막을 생성할 수도 있어 조금 더 유리하다. 하지만 이 브롤러들도 근접 대응력이 우수한 편이고 이들도 음표 사이의 사각지대를 노려서 공격할 수도 있어서 거리조절에 신경써야 하며 초근접전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쉘리[68], , 엘 프리모, 로사, 대릴, 재키, 비비[69], , 버즈, , 버스터[70], 더그, 레온, [71], 키트[]쇼다운에서 키트가 1스파가 있다면 상대가 불가능하나 파워 큐브가 없는 3대3 모드에서는 그저 고양이인 상대. 특수 공격이 밀착 매커니즘이라 달라붙으면 음표의 사각지대 안으로 들어가서 멜로디를 일방적으로 때릴 수 있다. 하지만, 멜로디가 특수 공격이 있으면 거리조절 하면서 키트를 음표로 갈아버릴 수 있다는게 장점이나, 최근 데미지 버프를 먹고 기본 피해량이 강해져서 높은 체력이 무색하게 탈탈 털릴 수 있다는게 뼈 아픈 결점이다. 음표가 없을때 1가젯 은신 기습도 주의.], 드라코[73], 릴리[74]
  • 편차가 심한 브롤러
    • 멜로디와 전투력이 비슷한 브롤러:이들은 서로의 전투력이 비슷한 브롤러에 속한다.
    • 기타
      • 에드거: 은근 심하게 갈린다. 언뜻 보면 에드거의 평타 사정거리가 매우 짧기에 쉬울거 같은 상대지만,에드거가 한번 붙은이상 특수공격이 없으면 순간 폭딜이 불가능한 멜로디 특성상 매우 위험할수 있다. 또한 멜로디는 에드거를 저지할 cc기가 하나도 없기에 더더욱 주의해야 한다. 물론 특수 공격이 있다면 반대로 성공권을 가져갈수 있기 때문에[86] 가급적으로 에드거에게 궁각을 내어 주지 않는게 좋다.

9. 추천 조합

<rowcolor=#fff> 주요 조합
파일:멜로디2가젯.webp파일:멜로디1스파.webp 파일:멜로디1가젯.webp파일:멜로디1스파.webp
<rowcolor=#fff> 차선 조합
파일:멜로디2가젯.webp파일:멜로디2스파.webp파일:멜로디1가젯.webp파일:멜로디2스파.webp
추천 기어
파일:Gear-Damage_Level1.png파일:Gear_Gadgets_Charge.png파일:Gear-Damage_Level1.png파일:Gear-Heal_Level1.png파일:Gear-Damage_Level1.png파일:Gear-Shield_Level1.png
  • 간주 - 빠른 비트(안정성 및 암살 빌드) (주요 조합)
    가젯으로 안정성을 챙기고 스타파워로 이속을 극대화시켜 암살을 더 쉽게 만들어주는 조합.[87]
  • 퍼펙트 피치 - 빠른 비트(중거리 딜 빌드) (주요 조합)
    가젯으로 중거리에서 적을 압박하면서 스타파워의 속도 증가로 라인을 미는 조합.
  • 간주 - 익스텐디드 믹스
    근거리에서 스타파워와 가젯으로 접근을 막아내어 안정성을 챙기는 조합.
  • 퍼펙트 피치 - 익스텐디드 믹스
    중거리에서 가젯과 스타파워 조합으로 라인을 미는 조합.


    기어는 멜로디의 약간 모자란 데미지를 보완해주는 피해기어는 고정이고 2번째는 충전기어든, 보호막기어든, 회복기어든 이 3개 중에서 자조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추면 된다.
  • 기타 내용 서술(ex. 기어, 잘 사용되는 스타 파워/가젯 등)

10.

  • 적당히 치고 빠지자.
    특수공격으로 너무 적진 안으로 들어가지 말자. 바운티나 녹아웃에서 특히 명심해야 하는데 잘못하면 오히려 적을 공연히 도와주는 셈이된다.
  • 절대로 가젯을 낭비하지 말자
    멜로디는 애매한 피해량과 체력 때문에 가젯이 필수다. 퍼펙트 피치는 중거리에서 활성화하고 궁으로 적당히 들어가서 킬하고 간주는 죽기 직전에 쓰고 궁으로 아군진영으로 다시 들어가자.

11. 스킨

11.1. 기본 스킨

파일:멜로디 기본.png

머리가 핑크색이고 긴 편이다. 아이돌이라는 컨셉에 맞게 복장이 화려하고 머리 장식도 착용 중이다.

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시프 멜로디(SIF MELODIE)

파일:Rare_SkinBS.png
파일:SifMelody.png
희귀도
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29
파일:icon_bling.png 1000

라그나르크 테마에 속한 스킨으로, 29보석 스킨 치고는 바뀌는 부분이 많아 호평이 많은 편. 모티브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이자 토르의 정처인 시프.[88]

29보석답게 외형말고는 변하지 않는다.

12. 업데이트 내역

  • 출시 전
    파일:Arrow-down-big.png 일반 공격의 피해량이 1040에서 920으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음표의 피해량이 2080에서 1860으로 감소
  • 2024년 3월 27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얼리엑세스 기간 시작 및 브롤러 선택창에 추가
  • 2024년 4월 4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신화 브롤러로 신규 출시
  • 2024년 4월 24일
    파일:Arrow-down-big.png 스타 파워인 빠른 비트의 능력이 보유한 음표당 이동 속도가 8%에서 6%로 하향
    파일:Arrow-down-big.png 가젯인 간주의 능력이 보유한 음표 개수당 최대 체력의 15%의 보호막 부여가 아닌 10%로 하향[89]
  • 2024년 4월 29일
    파일:Arrows-switch-big.png 4월 29일부터 5월 20일까지 사용할수있는 돌연변이 능력이 추가되었다.[90]
  • 20xx년 x월 x일
    파일:Arrow-up-big.png 버프 내용
    파일:Arrow-down-big.png 너프 내용
    파일:Arrows-switch-big.png 기타 내용

13. 기타

Amplify this Melodie [Music]
[가사보기]
----
The world is my stage
Feel the lights, feel the fear
Just face to the star
Which one do you hear?
I'm not caught up at this
I'm too good
Stay in your lane
Like you know you should
This is the show business
Na, na, na, na, not your business
Think you're the one.
But honey, nah, nah, nah, nah, nah
I'm made for this, built for this
My rhymes are my friends, you're just a b-
Can't keep it up, time to turn it up
Amplify this melody
(Na-na-na-na-na-na)
Faster than Max, cuter than Kit
Karaoke baby, I'm your first pick
Remember my name, you can't get away
I'm the best star, can't ever be tamed
This is the show business
Na, na, na, na, not your business
Think you're the one
But honey, nah, nah, nah, nah, nah
I'm made for this, built for this
My rhymes are my friends, you're just a b-
Can't keep it up, time to turn it up
Amplify this melody
You might also like
You'll remember this melody forever (pitch perfect)
I'ma be your Idol, I'ma be your Idol
But you don't own me, (Idol mode on)
Na-na-na, na-na-na
Na-na-na-na-na-na-na (hey)
Think you're the one
But honey, nah, nah, nah, nah, nah
I'm made for this, built for this
My rhymes are my friends, you're just a b-
Can't keep it up, time to turn it up
Amplify this melody
This is the show business
Na, na, na, na, not your business
Think you're the one
But honey, nah, nah, nah, nah, nah
I'm made for this, built for this
My rhymes are my friends, you're just a b-
Can't keep it up, time to turn it up
Amplify this melody
  • 멜로디의 테마곡. 멜로디 얼리억세스 출시와 함께 공개되었다. 가창은 송희진.[91]
  • 케이팝 가수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브롤스타즈에서 일본계인 비비, 대만계인 에 이어 오랜만에 등장한 동아시아계 브롤러이자 최초의 한국계 브롤러이다. 공개 직후에는 외형 자체에는 한국적인 요소가 크게 없고, 일본이나 중국에서 넘어와 활동하는 케이팝 가수도 많아서 멜로디도 그런 경우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대사가 공개되면서 아주 유창한 한국어를 하는 모습을 보여 한국인 브롤러임을 확실히 했다. 같은 브롤토크에서 한국의 콘텐츠인 라인프렌즈 관련 스킨 및 아기상어 프리모 스킨도 공개된 것을 보면 어느 정도 의도된 사항으로 보인다.
  • 역시 한국어 대사인 만큼 브롤러들의 대사를 정리해 자막과 함께 업로드 하는 다수의 외국계 채널들이 멜로디의 한국어 대사를 제대로 알아듣지 못해 한국어 대사는 번역 없이 넘기거나 의미 그대로 직역해버려서[가령] 한국인 유저들이 댓글로 정정해주는 해프닝도 있었다.
  • 브롤스타즈 최초의 한국계 브롤러인 만큼 한국 유저들은 대체적으로 환호하는 분위기이며, 깜찍한 디자인이나 기동력 있는 플레이 스타일은 대부분 호평하는 분위기이지만 멜로디의 대사만큼은 한국 유저들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 거의 대사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풍성한 한국어 대사에 한국의 최신 유행어 및 심지어 한국인이더라도 아이돌 문화에 관심이 없으면 모를 유행어들까지 고증한 점은 호평이 많지만, 외국에서 만들어진 게임이라는 것을 감안해도 한국어 연기가 어색하고 브롤스타즈 게임 특유의 과장된 성우 연기가 합쳐져 더더욱 한국 유저들이 듣기 어색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점은 불호의 의견이 많다.[94] 사실 멜로디 뿐만 아니라 다른 브롤러들의 대사에도 그 나라 화자가 아니면 알 수 없는 유행어나 복잡한 말장난 식의 대사가 한 두개 씩은 끼어 있는 경우가 많다.
  • 포코, , 자넷에 이은 음악과 관련된 네번째 브롤러이다. 포코는 마리아치, 척은 마에스트로, 자넷은 미국 팝가수+스턴트 곡예사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멜로디는 K-POP가수를 모티브로 하여 장르가 차별화 되어있다.
  • 멜로디의 출시 약 2개월 전 슈퍼셀에서 스킨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한 적이 있는데[95], 당시 보고 싶은 스킨 테마에 대한 항목 중 케이팝 가수 항목이 있었다. 멜로디와 동시에 공개된 "시간의 발자취" 스킨 시리즈도 해당 투표에서 미리 볼 수 있었는데, 정황상 해당 투표 결과에 따라 케이팝 테마의 브롤러인 멜로디를 만들었거나, 이미 케이팝 가수 컨셉의 브롤러로 멜로디를 준비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 코드 네임이 뜬금없이 AxeJuggle[96]인데, 도끼를 다루는 컨셉의 브롤러가 프로토 타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황상 찰리와 같은 기괴한 서커스 트리오의 2번째 멤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브롤러 키 비교.jpg파일:멜로디와 브롤러들.webp
이미지상 크기 비교모델상 크기 비교[97]
왼쪽부터 자넷, 콜레트, (장미)찰리, 멜로디, 비비왼쪽부터 자넷, 콜레트, 찰리, 멜로디, 비비
  • 케이팝 가수를 모티브로 해서인지, 엄청난 장신이다. 다른 여성 브롤러들은 물론이고[98] 모델링 기준 기존에 가장 키가 컸던 프랭크보다도 크다. 다만 프랭크와 달리 몸집 자체가 크다기 보단 다리가 워낙 길어서 [99] 그런 것으로 인게임 상에선 크게 체감이 안된다. 기본 스탠딩 포즈인 다리를 꼬고 선 모습이 어색해보이지 않게끔 일부러 다리를 길게 모델링 한 것으로 보인다. 아래의 공식 일러스트나 공식 뮤비를 보면 설정상으로는 다른 여성 브롤러랑 비슷한 크기인 듯.
파일:멜로디 일러스트.jpg* 멜로디부터 완전히 새로운 트리오 소속으로 등장하는 신규 브롤러는 위와 같이 전용 로딩 일러스트와 테마를 부여 받는다.
  • 자넷, 찰리처럼 브롤토크에서 외형이 공개되자마자 팬아트가 우후죽순 나오기 시작했으며, 주로 같은 팝 가수인 자넷이랑 엮이는 경우도 많다.[102][103]
  • 미형의 외모, 준수한 성능,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플레이 스타일, 한국 한정으로 한국인 캐릭터라는 요소까지 겹쳐 출시 전부터 모티스, 레온, 에드거, 팽의 뒤를 이을 충 양산 브롤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고, 멜로디 출시 즈음으로 한국에 브롤스타즈 2차 전성기가 오면서 충이 상당히 많아졌다. 출시된 지 얼마 안된데다, 스튜처럼 암살자 치고는 수동적인 스킬셋 때문인지 앞의 예시만큼 대중적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자주 보이는 편이고 민폐력은 저들 못지 않다. 앞의 브롤러들이 일반적으로 남자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다면 멜로디는 미형의 여성 브롤러+아이돌 설정으로 여자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편. 인게임 프로필에 귀여운 닉네임+아이콘을 사용하고 "가장 좋아하는 브롤러" 란에 멜로디, 찰리, 자넷 등의 미소녀 브롤러가 들어가 있다면 높은 확률로 여성 유저일 가능성이 높다(...).
  • 브롤스타즈 출시 5년 만에 드디어 등장한 여성 암살자 브롤러이다. 그나마 맥스, 보니, 자넷이 암살자의 스킬셋을 지니긴 했지만, 이들은 공식적으로는 각각 서포터, 저격수(보니, 자넷)라는 역할군을 부여받았다. 이 때문에 출시 당시 유일한 여성 어쌔신 브롤러였으나, 바로 다음 업데이트에서 2번째 여성 어쌔신 브롤러가 등장하는 바람에 이 칭호는 얼마 가지 못하게 되었다.
  • 뾰족한 이와 뿔을 연상시키는 머리 장식 때문에 악마가 떠오른다는 반응이 많다[104]. 드물게 여우를 연상시킨다는 반응도 있는 편. 묘하게 서큐버스를 닮기도 했다.
  • 멜로디의 영어 설명문이 조금 논란이 되었는데, '한국계' 브롤러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캐릭터에게 어울릴 법한 단어[105]가 섞여 있었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아시아의 스테레오타입 같은 설명 때문에 '한국계' 브롤러라는 건 한국인 팬을 끌기 위해 대충 갖다붙인 설정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1] 한국 기준 30000원으로 판매했다.[2] 르세라핌의 노래도 일부분 겨냥한듯 하다.[예] 선넘네?, 많관부, 너 T야?, 폼 미쳤다, 급발진 뭐야, 찢었다, 킹받네 등등의 줄임말과 유행어가 있다.[4] 영어 제외 외국어로 따지면 가장 외국어를 많이 사용하는 브롤러다. 2위는 15개의 대사에 이탈리아어를 쓰는 척과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찰리, 3위는 9개의 대사에 스페인어를 쓰는 엘프리모이다. 이외에도 비비(일본어), 롤라(스페인어) 등이 있지만 그닥 외국어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참고로 스킨까지 합하면 손오공 미코는 전체 대사가 중국어다.#[한국어] 한국어가 사용되었거나 섞여있다.[6] 멜로디의 스며들다의 합성어이다.[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10] 노래하듯이 말한다.[한국어] [한국어] [13] 해외에선 "내가" 부분이 N word처럼 들리는 모양. 보이스 모음 영상의 댓글을 보면 이에 관련한 댓글이 적잖게 보인다.[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26] 정황상 자신보다 어린 사람에게 하는 말인데, 어째 어린아이랑 만난다는 뉘앙스로 이상하게 받아들여졌는지 팬덤의 밈이 되었다. 특히 브롤스타즈 서브레딧에선 Melophile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까지 받았다(...) 비슷하게 더그의 대사도 밈이 되었다.[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34] 역조공은 아이돌이 직접 팬에게 선물을 주는 행위를 뜻한다.[35] 브롤러 외에도 금고나 소환물 등에도 포함된다.[36] 음표가 시계방향으로 돌기때문이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가만히 돌게 놔둘때보다 음표를 더욱 빠르게 맞출 수 있다. 다만, 멜로디가 돌면서 치는 것을 그냥 보고있을 적이 없다보니 전시엔 별 영향 없지만 금고같은 고정적인 적에게는 쓸만하다.[37] 아예 웬만한 암살자 이상으로 강하다.[38] 가장 기초적인 일반슛-특수공격-일반슛-특수공격-일반슛-특수공격-일반슛의 드리블부터, 상대가 멜로디를 방해하기 어렵다면 궁슛-특수공격-공집고 궁슛도 가능하고 아예 궁슛-특수공격-특수공격-일반슛으로 상대가 반응하기조차 어려운 장거리 드리블이 가능하다.[39] 브롤 볼, 녹아웃, 바스켓 브롤 등의 라운드 종료[40] 비교되는 리메이크 전 아우솔에 비해 회전 속도 증가량이 형편없어서 그렇다.[41] 11레벨 기준 820[42] 11레벨 기준 2460[43] 2.97타일/초[44] 당장 음표 1스택만 해도 약 777로 웬만한 브롤러보다 빠르며, 음표 2스택부터 약 835로 이미 암살자 평균인 820을 넘기는 수준.[45] 이른바 브롤러들처럼 멜로디는 난이도가 어렵기 때문에 초보가 잡을경우 5티어 브롤러 그 이하로 내려가기 때문.[46]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47]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48] 탱커 중에서 유난히 사거리가 길고, 원거리로 날리는 음표를 무려 10방이나 맞아야 죽기 때문에 당연히 원거리 싸움에서 압도적으로 불리하며 근접전도 멜로디 주변을 맴도는 음표 5방을 견디고 그리프와 쉘리급의 근접딜, 탄환을 빼앗는 2가젯을 가진 팸 상대로는 어불성설이다. 거기에 더해 팸의 터렛이 설치될 경우 멜로디의 통상 딜량보다 팸의 힐량이 더 많아진다. 이렇듯 개활지에서 팸을 단독으로 상대하기란 힘드나 지형이 따라준다면 어느정도는 해볼만 한데, 팸 특성상 벽을 끼고 플레이하는 것에 약한 반면 멜로디는 자신의 무대인 벽을 이용해 어느정도 맞싸움이 가능해서다.[49] 절대 극상성. R-T는 멜로디보다 사거리가 길고, 체력이 많아서 상대하기 어려운데다가 중첩 딜로 멜로디를 지져버릴 수 있고, 접근 했다 한들, 특수 공격으로 멜로디를 손 쉽게 갈아 버릴 수 있고 굳이 궁극기가 없어도 1가젯으로 궁극기가 바로 채워지므로 여러모로 멜로디의 뼈를 살살 긁을 수 있는 극카운터.[50] 탱커중에서 암살자 대릴 다음가는 기동성과 멜로디의 음표보다 긴 사거리, 에모 유도에 용이한 소환물로 1대1 강자인 맥스와 R-T를 압도하고 스튜와도 대등하게 싸우는 탱커브롤러이다. 멜로디 원거리 음표, 중근거리 음표 모두 소환물처리가 어렵고, 자폭 돌격이라 궁극기를 쓰고 돌진하기도 애매하며, 애쉬 자체도 절대 근접전이 약하지 않다.[51] 원거리 치곤 애매하게 짧은 사거리를 가지고 있는 멜로디의 카운터. 멜로디는 3번의 특수 공격을 가지고 있지만, 파이퍼는 멜로디한테 공격을 적당히 하고 특수 공격으로 접근할때, 바깥 지형으로 넘어가서 일방적으로 저격하면 그만이다. 특수 공격으로 접근해도 1가젯으로 넉백 시킨 뒤, 일방적으로 때리면 그만이라서 저격수 치고 매우 어려운 상대이다.[52] 체력도 멜로디에 버금갈 정도로 높고 최대 화력도 매우 높아 아무리 멜로디의 체력이 암살자 치곤 높다고 해도 버티기 힘들다. 사거리와 원거리 화력 역시 펄이 우위에 있으니 원거리전은 답이 없고, 그렇다고 근접전을 가자니 펄의 쿠키 세례에 노출돼 체력이 종잇장 수준으로 닳아버릴 수도 있고 펄이 특수 공격이 충전된 상태에서 잘못 진입했다가는 따끈하게 구워질 수 있다. 앞의 팸의 경우처럼 벽을 끼고 싸우면서 탄창과 열기 소모를 유도하는게 그나마 승산이 있지만 이마저도 벽을 부숴버리는 특수기를 맞고 털리기 쉽다.[53] 기본적으로 스튜가 유리하다. 원거리전에선 데미지의 차이로 인해 힘들며, 중거리전 에선 역시 음표의 부재 때문에 힘들다. 근접전이 할만하나 스튜는 도망가면 끝이다. 물론 궁을 채우면 갈아버릴수야 있겠으나 잘못 진입했다간 불 잔뜩 맞고 끔살 당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카운터에 비하면 쉽지만 여전히 불리하긴 하다.[54] 2가젯으로 수면을 걸 수 있지만 데미지가 저조하고 cc기가 없어 간단하다. 모래 폭풍이 깔리면 살짝 귀찮아지는 정도.[55] 사실상 멜로디의 먹잇감. 뛰어난 체력 스탯 덕분에 1탄창당 대미지가 저열한 모티스의 한콤보에 거의 죽지 않는다. 한 콤보에 죽이지 못하면 답이 없는 모티스 입장에서 환장할 노릇. 게다가 공격 방식상 캐릭터가 겹쳐질 가능성이 높다보니 초근접의 일반 공격 중첩딜이 박힐 가능성이 다른 브롤러보다 높아서 더욱 쉽다. 딸피일때 기습당해도 2가젯으로 보호막을 생성하면 그만이다.[56] 모티스랑 비슷하다. 이쪽은 평타에 점프가 달려 있어서 멜로디의 공격을 피할 수 있으나 결국은 붙어서 때려야 하는 미코 특성상 특수 공격만 있으면 멜로디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일단 미코는 점프할때 체공 딜레이가 발생하는데 그 사이에 궁극기로 회피해서 멜로디 쪽에서 유리하게 상대할 수 있으며 위험하다 싶으면 2가젯으로 보호막을 생성하면 그만이다.[57] 다만 접근했을 때 빙판을 깔았으면 조심해야 된다. 빙판 안에서 난리치다가 언제 얼어서 골로 갈지 모른다.[58] 다만, 특수 공격은 조심하자. 멜로디는 cc기가 없어서 칼의 특수 공격 돌진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잘못하면 역관광 당할 수 있다.[59] 다만, 특수 공격은 되도록이면 맞지 말자. 표식에 맞으면 벨을 죽였다고 해도 뒷처리가 상당히 어려워지기 때문.[60] 음표 게이지가 없을 경우에 진이 그랩으로 끌어오는 것은 조심해야 하나 애초에 진의 저열한 dps로는 체력이 높은 멜로디에게 흠집을 내는 것이 어렵고 풀피일때 끌어오면 사실상 자살행위다.[61] 물을 건너는 특성이 있어서 접근이 어렵지만 차지형 공격 매커니즘을 가져서 근접 대응력이 매우 약하고 탄속도 느린 편에 판정도 좁아서 쉽다. 다만, 안젤로가 장판을 깐 상태에서 풀차징 화살을 맞으면 매우 위험하니 주의.[62] 공격의 딜레이 때문에 음표를 맞추기도 쉽고 공격을 피하는 것도 쉽다. 체력이 엄청나게 높아서 음표 딜을 매우 오래버틸 수 있다는 것을 빼면 프랭크가 멜로디 상대론 할 게 없다. 프랭크의 궁극기와 2가젯에 잘못 맞는 것만 조심하자.[63] 멜로디의 밥. 타 탱커와는 다르게 이동 속도가 보통이고 근접전도 약하다. 게다가 풀차징이 아프긴하나 스탯이 좋은 멜로디라 버틸만 하며 애초에 특수공격으로 풀차징 공격을 쉽게 피하며 농락할 수 있다.[64] 많이 숙련된 유저일 경우 조금 까다롭다. 돌진 경로에 미리 2가젯 평타를 던져놓으면 스턴이 걸려 폭탄세례를 다 맞고 폭사당할 수 있다. 그래도 다이너의 공격들은 딜레이가 길어서 피하기는 쉽다.[65] 다만, 틱의 머리 폭탄은 생각보다 많이 까다롭다. 멜로디의 빈약한 평타 데미지로는 빠르게 다가오는 머리 폭탄을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66] 단, 래리의 투사체는 사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빨리 터지고, 로리가 소환되어 있다면, 근접 폭딜로 녹일수 있기에 다른 투척형 브롤러보다 더 까다롭다,[67] 투척수 중에서 가장 쉽다. 생존력이 높긴 하지만 dps가 낮아 체력이 높은 멜로디를 제대로 저지하기도 어렵고 벽생성을 통한 길목 차단 외에는 멜로디의 접근을 막을 수단이 없다. 접근에 성공하면 스프라우트는 아무것도 못하고 허우적대다가 죽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멜로디가 유리한 상성이다.[68] 체스터와 마찬가지로 근접전이 막강해서 초근접전은 반드시 회피해야 하며 쉘리가 집중 사격 가젯을 이용하면 중거리 전투에서도 안심할 수 없다.[69] 체력이 탱커만큼 많고, 데미지가 쎄고 이속이 빨라서 특수 공격으로 갈아봤자 다시 회복하고 역관광을 할 수 있다.[70] 다만 한가지 주의할 점으로, 주변에 돌아다니는 음표가 투사체 판정이라서 버스터가 특수 공격 사용시 멜로디의 음표를 지울 수 있다. 모든 브롤러 중 유일하게 멜로디의 음표를 능동적으로 지울 수 있는 브롤러로, 투사체 형식의 기본 공격도 막아버리기에 음표를 다시 생성하는 것조차 차단한다. 3대3 팀전에서도 멜로디의 카운터로 자주 픽되는 브롤러이기도 하다. 1대1 상성의 경우 사거리가 길고 기동성이 뛰어난 멜로디가 유리하긴 하나, 버스터 자체의 딜량도 무시 못할 수준이기에 특수 공격을 함부로 낭비해서 버스터에게 근접했다간 버스터의 근접 폭딜을 맞고 녹아버릴 수 있다. 버스터를 상대할 때는 버스터의 가젯을 통한 그랩에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버스터의 기본 공격은 재장전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을 이용하여 특수 공격을 통해 무빙을 치면서 기본 공격을 낭비하게 유도하면 상대하기 편하다.[71] 거점이 다 설치되면 레일을 이리저리 타고 돌진해서 까다로울 수 있으나 멜로디 쪽에서도 궁극기가 있으면 레일 밖으로 빠져나가기 쉬워서 척은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 그냥 멀리서 음표 셔틀로 써먹자.[] [73] 일반 모드에서 접근에 성공하면 드라코는 근접전에 약해서 음표에 치여 죽이기 딱 좋다. 하지만 드라코가 특수 공격을 충전하면 드래곤에 탑승해 엄청난 화염 데미지로 멜로디를 태워버릴 수 있고 2가젯으로 1체력을 남기고 무적 상태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뼈아프긴 하나 멜로디 쪽에서 3연속 돌진기로 빠져나오기도 용이하다.[74] 모티스와 동급으로 멜로디의 먹잇감이다. 사정거리도 에드거급으로 매우 짧은데다 1탄창 방식이라 dps가 낮아서 데미지를 제대로 주지도 못하며 릴리의 특수 공격에 맞아도 3연속 돌진기로 회피하면 그만이다. 게다가 멜로디는 체력이 높아 릴리의 1스파 궁평콤보를 버틴다. 그래도 릴리가 1가젯으로 그림자 영역에 숨어들어 도주할 수 있지만 상술하였듯이 릴리가 멜로디를 잡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75] 서로가 만나는 순간 서로가 약점을 찌르고 찔리는 개판 싸움이 될 것이다. 일단 콜레트의 체력 비례 피해는 체력이 높은 멜로디의 약점을 찌르기 좋고 멜로디의 높은 기동성은 콜레트의 모든 스킬이 직선형이기에 에임 의존도가 매우 높은 콜레트의 약점을 찌르기 좋기 때문에 서로가 약점을 물고 물리는 싸움이 될 것이다.[76] 체스터랑 비슷하다. 딜레이가 있지만 근접전 능력이 쉘리, 체스터만큼 막강하고 그리프가 특수 공격을 충전하면 엄청난 폭딜을 맞고 죽을 수 있다.[77] 스탯이 나름 탄탄한 편이지만 암살자들의 접근에 취약하기 때문에 할만 하다. 분신을 설치하고 공격하면 까다롭지만 접근에 성공하면 음표로 분신과 함께 갈아버릴 수 있다.[78] 근접 대응력이 상당해서 접근한다 해도 2가젯을 사용하고 진입한 것이 아니라면 타라의 근접 평타 3방에 녹아버린다. 그리고 타라의 궁극기는 멜로디의 궁극기로 회피할 수 있지만 한번 끌려가게 되면 매우 불리해진다.[79] 1가젯 소환수는 음표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칼처럼 공격이 빗나가면 딜로스가 심해지는데 멜로디가 무빙으로 파고들기 좋다. 하지만 찰리가 특수 공격이 있으면 접근하지 말자. 고치에 갇히게 되면 5초 동안 아무것도 못하다가 요요 난사 공격을 맞고 죽을 수 있기 때문. 그래도 고치에 갇힌 상태에서도 주변에 돌아다니는 음표는 그대로 유지되니 찰리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것이다.[80] 2가젯으로 궁극기 충전을 방해할 수 있고 멜로디는 히트박스가 은근 커서 직격탄을 맞기 쉽다. 접근만 하면 멜로디가 이길 수 있지만 앞서 말했듯이 스파이크의 깡딜은 매우 강력해서 초근접이면 순식간에 녹아버리니 주의하자.[81] CC기가 너무 많아서 접근 자체가 힘들다. 다만, 궁극기나 2가젯이 없다면 이기기 쉽다.[82] 초반에는 이속도 느리고 사정거리가 짧아서 쉬워보이지만 왕귀니까 궁극기로 업그레이드 한다면 이속도 빨라지고 사정거리도 길어져서 힘들어지며 근접 대응력이 매우 강력해서 접근한다 해도 평타 3방 + 궁극기 콤보에 맞으면 매우 위험하다. 2가젯도 역시 탄창이 빠졌다 해도 탄창 2개를 즉시 충전하기 때문에 더더욱.[83] 평상시에는 오티스의 평타 명중률이 저조해서 회피 기동으로 붙어주면 되지만 오티스가 궁극기를 충전한 상태라면 침묵이 걸려 3초 동안 이동 외에는 아무것도 못하다가 죽기 쉽다. 되도록이면 궁극기가 없을 때 빠르게 접근하는 것이 최선이다.[84] 근접 브롤러임에도 사거리가 긴 편이라 짤짤이를 맞을 수 있으며 근접 폭딜이 미친 수준이라 부쉬 기습을 당하거나 왕사탕 궁극기를 맞는 순간 그대로 사라진다. 중거리 정도에서 1가젯을 쓰고 싸우면 할 만한편.[85] 클라이드 모드의 기동성이 저조하고 단발형 공격이라 근접전을 해도 나쁘지 않다. 단 보니 모드로 변신하면 역관광당하니 주의.[86] 다만 순간 당황해서 특수 공격을 연타하는 것은 자제하자. 잘못하면 돌진기 3번을 전부 벽이나 물에 박아 막혀버릴 수 있다.[87] 이 조합으로 상대 진영을 깡그리 밀어버릴수도 있다.애써 깔은 라인을 철거해주는 센스[88] 아이러니하게 남편인 토르 스킨을 가진 브롤러는 여성 브롤러인 비비다. 둘다 희귀 스킨과 전설 스킨이라는 차이를 가지고 있다.[89] 다행히도 래로리, 키트처럼 사지절단 너프는 아니며, 너프 후에도 성능은 비슷하다.[90] 멜로디의 주위를 도는 음표가 2개 더 늘어나며, 음표의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91] 여기 영상의 댓글로 밝혔다.[가령] 찢었다! 를 It‘s broken이라고 번역하는 등.[93] 본래 과거 제도에서 온 말인 '조공'이 아이돌 관련 커뮤니티에서 '순수한 팬심으로 연예인에게 주는 선물'이라는 뜻으로 변질되고 이에 반하는 케이스인 연예인이 팬에게 선물을 주는 행위를 '역조공'이라고 표현한다.[94] 일본어 대사가 들어간 비비와 프랑스어 대사가 들어간 찰리, 이탈리아어가 들어간 척 스페인어 대사가 들어간 쉘리, 앰버, 엘 프리모, 롤라 등과 비교해도 더욱 부각되는 단점이다.[95] 현재는 종료된 상태다.[96]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도끼 저글링 정도 쯤.[97] 게리 모드에서 가져온 모델들이다.[98] 당장 콜레트만 봐도 허리를 좀 숙이고 있는 걸 감안해도 멜로디의 목 밖에 안된다.[99] 다른 브롤러들은 2.5 등신 ~ 3등신 정도인데 멜로디는 3.5 등신 정도이다.[100] 일반 공격을 맞췄을 때 멜로디의 주위를 도는 음표는 리메이크 전의 아우렐리온 솔의 패시브와 비슷하다. 1가젯 사용시 음표가 커지고 더 빠르게 도는 것조차 리메이크 전 아우렐리온 솔의 W와 비슷하다. 또한 공격을 했을때 음표가 생기는 것은 세라핀의 패시브와 비슷하다.[101] 정확히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한국 출시를 기념해서 만들어진 캐릭터이다.[102] 심지어 나오자마자 호평을 받는 이유 중 하나가 파이퍼, 자넷, 콜레트, 찰리와 함께 몇 안되는 미소녀 브롤러이며 그것도 한국계 여성 K-POP 브롤러라는 것이다.[103] 하지만 여담으로 멜로디의 공식 쇼츠를 보면 자넷을 손으로 가두어 자넷에게 공포감 및 꿈을 짓밟거나 가사 내용대로 자넷에게 내 길을 가로막지 마라는 것을 보면 자넷과 라이벌이거나 나쁜 사이인 듯 하다.[104] 머리장식은 붉은악마단의 머리띠를 모티브로 한 것 같다.[105] 가라오케, 카와이 등. 다만 가라오케는 영미권에서 노래방을 의미하는 단어로 자주 쓰이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