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20:29:33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명칭의 차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글로벌
,
,
,
,
,


1. 개요2. 북미판(GMS), 동남아판(MSEA)
2.1. 캐릭터2.2. 직업2.3. 스킬
2.3.1. 전직 계열별 직업군 스킬2.3.2. 소속별 직업군 스킬
2.4. 지명
2.4.1. 로마자 표기만 다른 지명
2.5. 기타
3. 일본판 (JMS)
3.1. 직업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가 서양권(북미, 유럽)이나 일본, 동남아 등에 수출될 때, 캐릭터나 지명, 콘텐츠 등의 명칭이 현지화[1] 등의 이유로 바뀌는 경우가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북미판이라고 할 수 있는 GMS의 경우, 정서적 이유로 개명된 캐릭터나 지명 등의 요소가 은근히 많은 편이며, 북미판과 동남아판의 로마자 표기가 다른 경우도 있다.

본 문서에서는 버전별로 개명된 용어들을 정리한다.

2. 북미판(GMS), 동남아판(MSEA)

2.1. 캐릭터

몬스터, NPC 모두 포함하며, 한국판 이름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2.2. 직업

2.3. 스킬

2.3.1. 전직 계열별 직업군 스킬

2.3.2. 소속별 직업군 스킬

2.4. 지명

2.4.1. 로마자 표기만 다른 지명

의미는 같거나 비슷하지만 로마자 표기가 한국판과 다른 지명은 아래와 같다.
<rowcolor=#fff> 지명(한글) 로마자 표기
<rowcolor=#fff> 한국판 북미판 동남아판
<colbgcolor=#ed9,#540> 소멸의 여로 Road of Vanishing Vanishing Journey Road to Extinction
에레브[60] Ereb Ereve Erev
츄츄 아일랜드 Chew Chew Island Chu Chu Island Chew Chew Island

2.5. 기타

3. 일본판 (JMS)

3.1. 직업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문화적 차이로 인해 수입 지역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경우.[NA] 북미판 한정.[SEA] 동남아판 한정.[RES] 레지스탕스의 상징성 관련 문제로 인한 개명.[폐지] 현재 폐지되어 이용 불가.[SEA] [NA] [NA] [NA] [NA] [11] 한국판은 Demian, 북미·동남아판은 Damien.[12] 로마자 표기가 한국판은 ‘Dunkel’, 동남아판은 ‘Djunkel‘로 다르다.[NA] [14] 비밀의 숲 엘로딘에 나오는 NPC.[NA] [NA] [NA] [18] 한국판은 Akayrum, 북미·동남아판은 Arkarium.[19] Albert. 본래 프랑스어권 이름인 관계로, 어말의 t가 묵음이다.[NA] [NA] [NA] [NA] [RES] [NA] [26] 로마자 표기가 한국판은 ‘Kaung’, 동남아판은 ‘Kawoong’으로 다르다.[NA] [NA] [NA] [RES] [NA] [NA] [NA] [NA] [NA] [NA] [NA] [NA] [NA] [SEA] [NA] [SEA] [NA] [NA] [SEA] [NA] [SEA] [NA] [NA] [NA] [51]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Dowongyeong. 여기에 아포스트로피를 붙이면 Dowon'gyeong이 된다.[NA] [SEA] [RES] [NA] [56] 비공정 겸 팬텀의 홈타운.[NA] [58] 흔히 테마라고 발음하는 Thema는 사실 독일어다.[NA] [60] 시그너스 기사단의 홈타운.[NA] [NA] [NA] [SEA] [NA] [66] 북미판에서는 오즈의 탑이라고만 부르며, 더 시드라는 명칭은 사용하지 않는다.[폐지] [NA] [NA] [NA] [71] 일본에서는 윈드브레이커가 ‘비옷’의 의미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