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3:26:44

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엘리멘틀 히어로
, 엘리멘틀 히어로(유희왕 러시 듀얼)
,
,
,
,

1. 개요

유희왕의 필드 마법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Skyscraper-JP-Anime-GX-AA.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
일어판명칭=<ruby>摩天楼<rp>(</rp><rt>まてんろう</rt><rp>)</rp></ruby> -スカイスクレイパー-,
영어판명칭=Skyscraper,
효과1="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전투할 때\, 상대 몬스터보다 공격력이 낮을 경우\, 데미지 계산시에 공격력을 1000 포인트 올린다.)]
"히어로에겐 히어로에게 어울리는 결투 장소가 있어! 필드마법 스카이스크레이퍼!"
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이제 제가 하나 가르쳐 드리죠! 히어로한텐 히어로한테 어울리는 결투 장소가 있다는 걸요! 필드 마법, 스카이스크레이퍼!"[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1화부터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한 카드로 등장. 크로노스 데 메디치와의 듀얼에서 상술한 대사와 함께 발동하며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을 강화, 그대로 앤틱 기어 골렘을 쓰러뜨리면서 승리에 기여했다. 이후로도 어지간한 듀얼에선 몇 번씩 등장한다. 네오스페이스가 나오면서는 조금 뜸해진 편이지만, 크로노스 데 메디치와의 보은 듀얼 때는 종언의 땅의 효과로 덱에서 발동. 1화의 상황을 그대로 오마쥬[2]하며 화려하게 피니시를 냈다. 또한 애니메이션에서는 전투 시에 적용되는 효과였다.

효과와 별도로 뭔가 현대 문명의 상징적인 연출을 보일때에도 종종 쓰인다. 예시로 티라노 켄잔과의 첫 듀얼에서 발동하자, 켄잔이 깔아놓은 쥐라기 월드 필드에 순식간에 빙하기가 찾아오고 땅속에서 도시 건물이 솟구치며, 순식간에 필드가 공룡시대에서 현대로 변한다. 나름 의미도 있고 멋있는 연출.[3]

유희왕 GX 코믹스에서도 쥬다이와 히비키 코요와의 듀얼에서 쥬다이가 사용. 하지만 히비키도 엘리멘틀 히어로를 사용했기에 양날검이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 가운데 그려진 가장 높은 건물은 아무래도 크라이슬러 빌딩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애니메이션에서는 라이벌 건물을 모티브로 한 건물이 그려진다. 듀얼 링크스에서 쥬다이로 플레임 윙맨을 소환하면 확실히 크라이슬러 빌딩 위에서 등장한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摩天楼 -スカイスクレイパ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
일어판명칭=<ruby>摩天楼<rp>(</rp><rt>まてんろう</rt><rp>)</rp></ruby> -スカイスクレイパー-,
영어판명칭=Skyscraper,
효과1=①: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공격력보다 높은 공격력을 가지는 몬스터에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시에만 1000 올린다.)]
어둠을 밝게 밝히는 대교회 필드.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히어로는, 남모르게
이 거리 어딘가에서 싸우고 있을지도 모른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듀얼 필드(어둠의 마천루) 설명.

엘리멘틀 히어로를 대표하는 전용 필드 마법 카드. 스카이스크레이퍼 슛의 효과가 "마천루" 필드 마법을 지정하고 있는 탓에 히어로 시티와 함께 카드군이 되었다.

엘리멘틀 히어로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낮은 공격력을 보조하는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더 히트, 스파크맨 등은 이 카드의 효과를 받으면 레벨 6~7 정도의 상급 몬스터들의 평균 타점을 얻는다.

단 공격력이 내 엘리멘틀 히어로의 공격력이 상대보다 낮을 때만 적용된다. 공격력이 똑같아도 발동이 되지 않고 서로 자폭한다. 무엇보다 자신이 공격할 때에만 효과가 적용되며, 상대에게 공격받을 때는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로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으며, 캡틴 골드는 E-이멀전시 콜, 에어맨, 증원 등의 카드로 서치하면 된다.

발매 당시에도 그렇게 좋다고 볼 수 없는 카드였다. 그래도 캡틴골드, 스카이스크레이퍼 슛 등 연동 카드들이 무난한 성능이라 팬이라면 사용할 만 하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5-05-26 |
[[일본|]][[틀:국기|]][[틀:국기|]] CRV-JP048 | サイバネティック・レボリューション [ CYBERNETIC REVOLUTION ]
2005-10-20 |
[[일본|]][[틀:국기|]][[틀:국기|]] DP1-JP021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十代編 -
2007-03-21 |
[[일본|]][[틀:국기|]][[틀:국기|]] YSD2-JP030 | STARTER DECK 2007
2007-09-22 |
[[일본|]][[틀:국기|]][[틀:국기|]] EE04-JP048 | EXPERT EDITION Volume 4
2017-01-01 |
[[일본|]][[틀:국기|]][[틀:국기|]] AT17-JP007 |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7 Vol.1
2019-11-09 |
[[일본|]][[틀:국기|]][[틀:국기|]] DP23-JP021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2005-08-06 |
[[미국|]][[틀:국기|]][[틀:국기|]] CRV-EN048 | CYBERNETIC REVOLUTION
2006-02-08 |
[[미국|]][[틀:국기|]][[틀:국기|]] DP1-EN021 | DUELIST PACK - JADEN YUKI -
2007-11-14 |
[[미국|]][[틀:국기|]][[틀:국기|]] DR04-EN048 | DARK REVELATION Volume 4
2009-04-21 |
[[미국|]][[틀:국기|]][[틀:국기|]] GLD2-EN038 | GOLD SERIES 2009
2011-10-04 |
[[미국|]][[틀:국기|]][[틀:국기|]] LCGX-EN082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2020-01-17 |
[[미국|]][[틀:국기|]][[틀:국기|]] LED6-EN021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2022-03-18 |
[[미국|]][[틀:국기|]][[틀:국기|]] SGX1-ENA15 | SPEED DUEL GX: DUEL ACADEMY BOX
2022-07-22 |
[[미국|]][[틀:국기|]][[틀:국기|]] LDS3-EN105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2007-02-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CRV-KR048 | 사이버 혁명
2007-05-02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P1-KR021 | 듀얼리스트 팩 - 주다이 편 -
2008-09-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HGP04-KR048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2017-03-0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AE10-KR020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7 Vol.1
2020-02-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P23-KR021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2.3. 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1942_20240514065604_img_1_vDeRCdGGBtCt4nv57WJTzfgUKk6WMk95neNq7Rw8Ayq5ZZyVw7mjdJ3lrx83X7zB.webp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 (미발매),
일어판명칭=<ruby>摩天楼<rp>(</rp><rt>まてんろう</rt><rp>)</rp></ruby> -スカイスクレイパー-,
영어판명칭=Skyscraper (미발매),
조건=없음,
발동효과=이 카드가 필드 존에 앞면 표시로 있는 한\, 턴 플레이어의 필드의 앞면 표시의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퓨전 몬스터(레벨 5~8 / 전사족)의 공격력은 1000 올린다.)]

스트럭처 덱 버스 오브 히어로를 통해 등장한 스카이스크레이퍼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효과는 OCG의 원본은 '상대보다 공격력이 낮을 때' 1000을 올려주는 효과였으나, 러시듀얼에서는 공격력을 자신 턴 동안[4], 그것도 조건 없이 강화할 수 있도록 상향되었다. 조건 없이 광역 타점 1000 강화는 러시 듀얼에서도 상당히 파격적인 수치인데, 오히려 이를 일부 상향하여 반영한 데에는 패러렐오더 이후 러시 듀얼에서도 일반 몬스터의 경쟁력이 크게 하락한 것을 감안한 듯하다.

또한 카드군 시스템이 없는 러시 듀얼의 특성 때문에 해당 덱에 들어간 히어로들의 카드명을 일일이 지정한 뒤 퓨전 몬스터만 레벨 및 종족 참조로 강화 효과를 받게 해 두었다. 이 때문에 텍스트가 OCG에 비해 상당히 긴 편. 결과적으로 강화되는 몬스터는 페더맨, 버스트 레이디, 클레이맨, 스파크맨, 버블맨, 네오스, 그리고 레벨 5에서 8 사이의 전사족 퓨전 몬스터로 변경되었다.[5]

결과적으로 능력치가 저질인 상기 카드들도 중급 몬스터 정도는 전투 파괴가 가능해졌다. 원래부터 능력치가 좋았던 스파크맨은 공격력 2600이 되어 상급 몬스터의 타점 하한선인 2500을 넘기며, 공격력 3500이 된 네오스는 상대에 따라 맥시멈 몬스터와도 공멸할 기회가 생겼다. 대신 상대 턴에는 타점이 원래대로 돌아가고, 미러전에서는 상대 몬스터에게도 타점 상승의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할 것.
수록 시리즈
2024-07-13 |
[[일본|]][[틀:국기|]][[틀:국기|]] RD/SD0B-JP032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バース・オブ・ヒーロー
2024-07-13 |
[[일본|]][[틀:국기|]][[틀:국기|]] RD/SD0B-JPS1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バース・オブ・ヒーロー 特典カード

3. 관련 카드

3.1. OCG

데스티니 히어로 버전으로는 다크 시티가 존재. 또한 일러스트의 색상만 반전시킨 유사공간이라는 카드도 있다.

3.1.1. 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

3.1.2. 마천루2-히어로 시티

3.1.3. 스카이스크레이퍼 슛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이 마천루 꼭대기에 올라가 있는 일러스트의 카드. 프레임 윙맨의 공격명을 본딴 카드이며, 해당 일러스트의 장면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1화 및 졸업 듀얼에서의 그 장면을 재현한 것이다.

또, 효과에서 "마천루" 필드 마법을 지정함으로써, 위의 2개의 필드 마법을 하나의 카드군으로 지정하였다.

3.1.4. 경투-크로스 디멘션

유희왕 GX에서 쥬다이의 입학 듀얼 / 졸업 듀얼의 마지막 순간을 일러스트로 재현한 카드다. 상황이 상황인 만큼 앤틱 기어 골렘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이 대치하고 있고, 배경 또한 마천루 스카이스크레이퍼이다.

3.1.5. 강인! 무적! 최강!

유희왕 GX에서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과 쥬다이의 듀얼 중 장면을 일러스트로 재현한 카드로, 배경을 잘 보면 마천루 스카이스크레이퍼이다.

3.1.6.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의 공격명을 따온 필살기 카드로 이 카드 또한 일러스트의 배경이 스카이스크레이퍼이다.

3.2. 러시 듀얼


[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1화에서 쥬다이크로노스 교수와의 듀얼에서 스카이스크레이퍼를 발동할때의 대사.[2] 크로노스는 얼티미트의 효과로 묘지의 앤틱 기어 골렘을 조건 무시로 특수 소환했고, 그걸 트리거로 삼아 쥬다이는 종언의 땅을 발동. 덱에서 이 카드를 발동했고 크로노스의 함정 효과로 제외되었다가 돌아온 플레임 윙맨이 필드에 모이면서 1화의 상황이 그대로 재연되었고 1화 때와 마찬가지로 스카이스크레이퍼의 효과를 받은 플레임 윙맨이 앤틱 기어 골렘을 쓰리뜨리면서 똑같이 쥬다이가 승리한다.[3] 이 때 빙하기가 찾아오는 연출에 낙원이 사라졌다며 좌절하는 켄잔을 향해 쥬다이가 "아니, 세계는 진화하고 있다고!"라는 대사를 날리며, 빙하가 깨지고 건물들이 솟아오른다. 사실상 이때부터 켄잔은 쥬다이에게 반해 그를 형님으로 모신다.[4] '턴 플레이어'라는 텍스트가 러시 듀얼 최초로 들어갔다. 원작에서도 상대 필드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또한 타점 강화가 가능한 점을 반영한 듯. 텍스트는 다르지만 비슷한 효과를 먼저 구현한 카드로 열혈 스피릿 스타디움이 있다.[5] 코믹스나 OCG 오리지널 히어로는 그렇다쳐도 유희왕 GX에 나왔던 히어로중에서 와일드맨, 에지맨, 네크로 다크맨, 플리즈마는 아직 러시 듀얼에 등장하지 않았고, 그래서 위 텍스트에도 포함되지 않아서 차후 러시 듀얼에 나오더라도 스카이스크레이퍼의 효과를 받을 수 없게 되었다. 다만 마천루의 효과를 받는 몬스터는 다섯 번째 희망에도 그려져있는 원조 히어로 5명와 쥬다이의 에이스 네오스라서 이해가 간다는 의견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