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7:09:14

마법소녀를 동경해서/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법소녀를 동경해서
파일:마법동경 한글로고.png

'''{{{+1 {{{-1 {{{#ee9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16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2px; border-color: #ee9f00;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파일:마법소녀를 동경해서 한글 키비주얼.png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장르
'''
마법소녀, 백합
'''
원작
'''
오노나카 아키히로(小野中彰大)
'''
감독
'''
스즈키 마사토
오오츠키 아츠시
'''
시리즈 구성
'''
키무라 노보루
'''
캐릭터 디자인
'''
오오타키 야스카(大滝那佳)
'''
프롭 디자인
'''
쿠보카와 에리코(久保川絵梨子)
'''
미술 감독
'''
타이라 아리사(平良亜梨沙)
'''
색채 설계
'''
우에무라 슈지(上村修司)
'''
촬영 감독
'''
쿠지라이 료(鯨井 亮)
'''
편집
'''
이시이 아미(石井亜美)
'''
음향 감독
'''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음향 효과
'''
사쿠라이 요코(櫻井陽子)
'''
음향 제작
'''
닥스 프로덕션
'''
음악
'''
타카나시 야스하루
스즈키 아키나리(鈴木暁也)
요하네스 닐슨(ヨハネス・ニルソン)
'''
음악 제작
'''
란티스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타나카 쇼(田中 翔)
와타나베 타카시(渡辺 隆)
이와노 미츠구(岩野 貢)
사노 케이스케(佐野圭介)
시바타 미키오(柴田幹雄)
사토 아키노부(佐藤明信)
쿠로다 마나부(黒田 学)
'''
프로듀서
'''
야마모토 슈헤이(山本修平)
마츠다 타이요(松田大洋)
키미즈카 코타(君塚耕太)
니시마에 슈카(西前朱加)
코우치야마 타카시(河内山 隆)
키무라 아츠시(木村 淳)
우스쿠라 류타로(臼倉竜太郎)
'''
애니메이션 제작
'''
아사히 프로덕션
'''
제작
'''
마법소녀를 동경해서 제작위원회
'''
방영 기간
'''
2024. 01. 03. ~ 2024. 03. 27.
'''
방송국
'''
파일:일본 국기.svg AT-X[1] / (수) 23:30
파일:투명.png 도쿄 MX[2] / (목) 01: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목) 00:30
'''
스트리밍
'''

[[애니플러스|
ANIPLUS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화수
'''
13화
'''
시청 등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선정성, 언어)
'''
관련 사이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음악
6.1. 주제가
6.1.1. OP6.1.2. ED
6.2. 삽입곡
7. 회차 목록8. 회차별 WEB 예고편9. 평가
9.1. 방영 전9.2. 방영 후9.3. 총평
10. 원작과의 차이점
10.1. 1-2화10.2. 3-4화10.3. 5-6화10.4. 7화10.5. 8화 ~ 11화10.6. 12화10.7. 13화
11.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마법소녀를 동경해서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스즈키 마사토 / 오오츠키 아츠시. 스즈키가 메인 감독이고 오오츠카 아츠시가 도움을 주며 만들고 있다고 한다. 방영 시기는 2024년 1월.

2. 공개 정보

  • 2023년 10월 27일, 구체적인 방영 시기가 공개되었다.
  • 2023년 12월 3일, 방영일자와 방송국들이 결정되었다. TV 방송판은 규제 및 수정하지만 AT-X에서는 검열이 일부 해제된 동경 ver.(あこがれ ver.)로 방영된다. 추후 발매될 BD&DVD 버전은 완전 무수정인 초동경 ver.(超あこがれ ver.)으로 발매된다.# 한국 애니플러스는 일반 규제판으로 방송한다.근데 규제판이 원작에 가까운 버전이다......
  • 2023년 12월 24일, Cinem@rt 신주쿠에서 BD&DVD 버전에 수록될 완전 무수정 「超あこがれ ver.」판 1~2화의 선행 상영 이벤트를 개최하였다. 캐릭터의 주요 부위가 모두 나왔다고 한다. 무대 인사 및 캐스팅 토크에는 이즈미 후카, 카자마 마유코, 이케다 미사키가 참가했다.

2.1. PV

'''
티저 PV
'''
'''
메인 PV 제1탄
'''
'''
메인 PV 제2탄
'''
'''
애니플러스 PV
'''

2.2. 키 비주얼

파일:마법소녀를동경해서_티저비주얼.jpg
파일:마법소녀를동경해서_수영복산타비주얼.jpg
<rowcolor=#fff,#fff>
티저 비주얼
크리스마스 비주얼

3. 줄거리

나, 히이라기 우테나는 마법소녀를 정말 좋아하는 아주 평범한 여자아이야.
어느 날, 변신 능력을 주는 마스코트 같은 녀석을 만나 신기한 마법에 걸려버렸어!

이걸로 나도 마법소녀로──라고 생각했는데
어라? 뭐야 이 의상은?
악의 조직의 여간부라니 그게 무슨 소리야!?
앞으로 난 어떻게 되는 거야~~~!!?

마법소녀를 좋아하는 마음씨 착하고 내성적인 소녀가 사디스틱하게 대 변신!!?
정의와 악의 격렬한 SM 플레이(!?) 시작입니다!!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법소녀를 동경해서/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fff> '''
등장인물
'''
'''
성우
'''
히이라기 우테나 / 마지아 베제[3] 이즈미 후카
아라가 키위 / 레오팔트 코가 아오이
모리노 코리스 / 네로 앨리스 스기우라 시오리
하나비시 하루카 / 마지아 마젠타 마에다 카오리
미나카미 사요 / 마지아 아주르 카자마 마유코
텐카와 카오루코 / 마지아 설퍼 이케다 미사키
아코야 마타마 / 로코 무지카 아이사카 유카
아네모 네모 / 루베루 부루메 츠다 미나미
타나카 미치코 / 로드 에노르메 히카사 요코
시스터 기간트 이노우에 키쿠코
베나리타 후쿠엔 미사토
바츠 아스미 카나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법소녀를 동경해서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악

6.1. 주제가

6.1.1. OP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3389e2, 0px 1px #3389e2, -1px 0px #3389e2, 0px -1px #3389e2, 1px 1px #3389e2, 1px -1px #3389e2, -1px -1px #3389e2"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노래
'''
NACHERRY
'''
작사
'''
Motokiyo
'''
작곡
'''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콘티
'''
스즈키 마사토
'''
연출
'''
'''
작화 감독
'''
오오타키 야스카(大滝那佳)
모리 아오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ute
(Toot, too-too-too, toot-toot)
Touching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ool
(Toot, too-too-too, toot-toot)
Charming
(Let's dream)
(Let's start)
太陽みたいに sunny
ピカリ輝いている
ニコリ笑顔が smiley
ステキ強いキモチ
だけど涙もteary
ほろり零れるのが
可愛いだけじゃない魅力
今はただ空を見上げる私の
心に芽生えた新しい力を信じるの
(Let's go)
あこがれるだけじゃなくて
夢にみるだけじゃなくて
なりたい変わりたい
好きが私の源
瞳の奥が奪われてしまった日からずっと
色褪せない
My dream girls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ute
(Toot, too-too-too, toot-toot)
Touching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ool
(Toot, too-too-too, toot-toot)
Charming

[Refrain]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ute
(Toot, too-too-too, toot-toot)
Touching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ool
(Toot, too-too-too, toot-toot)
Charming
(Let's dream)
(Let's start)

[Verse 1]
太陽みたいに sunny
ピカリ輝いている
ニコリ笑顔が smiley
ステキ強いキモチ
だけど涙もteary
ほろり零れるのが
可愛いだけじゃない魅力

[Pre-Chorus]
今はただ空を見上げる私の
心に芽生えた新しい力を信じるの
(Let's go)

[Chorus]
あこがれるだけじゃなくて
夢にみるだけじゃなくて
なりたい変わりたい
好きが私の源
瞳の奥が奪われてしまった日からずっと
色褪せない
My dream girls

[Refrain]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ute
(Toot, too-too-too, toot-toot)
Touching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ool
(Toot, too-too-too, toot-toot)
Charming
(Let's dream)
(Let's start)

[Verse 2]
曇りみたいに cloudy
モクリもやもやになる
コワイ不安に gloomy
クラリ揺れるオモイ
でもね希望が shiny
きらり煌めくから
胸に湧き上がれ勇気

[Pre-Chorus]
今はまだ迷い躓く私も
本気で選んだ歩いてきた道を信じたの
(Let's go)

[Chorus]
振り返るためじゃなくて
懐かしむためじゃなくて
やりたいしてみたい
思い描いていたもの
未来の色に魅せられてしまった日からいつも
かき消せない
My dream heart

[Bridge]
あこがれてきた世界は
導き出した正解は
私だけが作り出せる
私だけの物語の
特別な魔法になる

[Pre-Chorus]
眺めてるだけじゃなくて
見つめてるだけじゃなくて
知りたい伝えたい
嘘偽りないもの
願いを叶えるから

[Chorus]
あこがれるだけじゃなくて
夢にみるだけじゃなくて
なりたい変わりたい
好きが私の源
瞳の奥が奪われてしまった日からずっと
色褪せない
My dream girls
鮮やかだよ
My dream girls

[Refrain]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ute
(Toot, too-too-too, toot-toot)
Touching
(Toot, too-too-too, toot-toot)
超 cool
(Toot, too-too-too, toot-toot)
Charming
}}}}}}}}} ||

6.1.2. ED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da026e, 0px 1px #da026e, -1px 0px #da026e, 0px -1px #da026e, 1px 1px #da026e, 1px -1px #da026e, -1px -1px #da026e"
'''
TV ver.
'''
'''
5명 ver.
'''
'''
Full ver.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노래
'''
에놀미타
'''
작사
'''
카라스야사보우
'''
작곡
'''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콘티
'''
스즈키 마사토
'''
연출
'''
'''
작화 감독
'''
오오타키 야스카(大滝那佳)
'''
원화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10화 이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本当はもっとかわいくて
사실은 좀 더 귀엽게
もっと素敵な私でいたいけど
좀 더 멋있는 나로 있고 싶지만
ちょっと悪い子なのSorry
조금 나쁜 아이야 Sorry
イジワルしたい
괴롭히고 싶어

尊さ まって 良さすぎて

まだまだ夢見がちな少女

どきっ、て 気づいちゃった感情
뜨끔, 하고 깨달아 버린 감정
魔法にかかって大暴走
마법에 걸려서 대폭주
勉強も日常も手につかなくて
공부도 일상도 손에 잡히지 않아서
妄想しちゃう理想のシチュエーション
망상에 빠지는 이상적인 시츄레이션

爆弾みたいに 遊ぶのだって
폭탄처럼 가지고 노는것도
悪くはないのかもね?
나쁘지는 않을지도 몰라

本当はもっとかわいくて
사실은 좀 더 귀엽게
もっと素敵な私でいたいけど
좀 더 멋있는 나로 있고 싶지만
ちゃんと自分なりの Story (Story)
제대로 내 나름대로의 Story (Story)
歩いてゆこう For me (For me)
걸어 나가자 For me For me)

あの子のもっと輝いて
受け取って 愛の形
받을래 사랑의 형태
とびきりの こだわりなフェティッシュ
필살지리는 껌~쩍대는 페티시

ほんのちょっとだけ人と違っていて

本当はもっとかわいくて
사실은 좀 더 귀엽게
もっと素敵な私でいたいけど
좀 더 멋있는 나로 있고 싶지만
今日はわがままをTopping(Topping)
오늘은 어리광을 Topping(Topping))
自分らしくGoing(Going)
나답게 Going (Going)

ドン引き とっくに超えて
純粋な愛の形
순수한 사랑의 형태
とびきりの エグみマニアック
제일 각별하고 얼얼한 매니악

理想の自分とちょっと違うけど
ちょっと言えないような本性
좀처럼 말할 수 없는 본성
いまだけちょっと許して?
지금 만큼은 용서해줘?

本当はもっとかわいくて
사실은 좀 더 귀엽게
もっと素敵な私でいたいけど
좀 더 멋있는 나로 있고 싶지만
止まらないの
멈출수없어
溢れるLoveが
넘치는 Love를
あなたのもっと色づいて
당신을 좀 더 물들이고
もっと秘密なとこだって見たいから
좀 더 비밀스러운 곳도 보고싶으니깐
受け取って愛のカタチ
받아줘 사랑의 형태
とびきりすごいやつ
제일 각별하고 굉장한 녀석

本当はもっとかわいくて
사실은 좀 더 귀엽게
もっと素敵な私でいたいけど
좀 더 멋있는 나로 있고 싶지만
ちょっと悪い子なのSorry
조금 나쁜 아이야 Sorry
イジワルしたい
괴롭히고 싶어

ほっとけないの 好きすぎて
내버려 둘 수 없어 너무 좋아서
ほんとしんどい 神推しなあなたに
정말 못참아 갓최애인 너에게
捧げる愛の形
바칠게 사랑의 형태
とびきりの とげとげサディスティック
제일 각별한 삐죽삐죽 사디스틱
}}}}}}}}} ||

에놀미타를 담당한 이즈미 후카[4], 코가 아오이[5], 스기우라 시오리[6]가 노래를 담당했다. 10화 이후로 신 멤버의 성우인 아이사카 유카[7]츠다 미나미[8]도 추가되었다.

6.2. 삽입곡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da026e, 0px 1px #da026e, -1px 0px #da026e, 0px -1px #da026e, 1px 1px #da026e, 1px -1px #da026e, -1px -1px #da026e"
'''
TV ver.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노래
'''
로코 무지카(CV: 아이사카 유카)
'''
작사
'''
오노나카 아키히로(小野仲彰大)
'''
작곡
'''
스즈키 아키나리(鈴木暁也)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ロコはラヴリーラヴリーロ・コ♡
}}}}}}}}} ||

7. 회차 목록

  • 전화 총 작화감독: 오오타키 야스카(大滝那佳)
<rowcolor=#fff,#fff> '''
회차
'''
'''
제목
'''[9]
'''
각본
'''
'''
콘티
'''
'''
연출
'''
'''
작화 감독
'''
'''
방영일
'''
제1화 悪の女幹部、誕生⁉
악의 여간부, 탄생!?
키무라 노보루 스즈키 마사토 히구치 카스미
(樋口香住)
야마자키 리리카
(山崎理璃花)
핫토리 켄지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시게마츠 사와코
(重松佐和子)
시마자키 카츠미
(島崎克実)
오오노 츠토무
라플라스 애니메이션
(ラプラス・アニメーション)
아오마츠 애니메이션 제작 유한회사
(青松アニメーション制作有限会社)
선행: 2023.12.24.
日: 2024.01.03.
韓: 2024.01.04.
제2화 その名は、マジアベーゼ
그 이름은, 마지아 베제
야마다 야스노리
(山田靖智)
오오츠키 아츠시 카미야 마키
(神谷マキ)
쿠보야마 요코
(久保山陽子)
시마자키 카츠미
핫토리 마스미
(はっとりますみ)
시게마츠 사와코
토미야마 다이스케
아오마츠 애니메이션 제작 유한회사
十文字 Shanghai Xuanzhou Culture Media
Jumondou Wuxi
Studio CL
선행: 2023.12.24.
日: 2024.01.10.
韓: 2024.01.11.
제3화 爆裂娘レオパルト
폭렬소녀 레오팔트
키무라 노보루 모리 아오이 쿠보야마 요코
토미야마 다이스케
오오노 츠토무
모리 아오이
야마자키 리리카
日: 2024.01.17.
韓: 2024.01.18.
제4화 最強アイドル♥トレスマジア
최강 아이돌♡트레스 마지아
야마다 야스노리 아마기 코타
(天城こう太)
마츠시타 키요시
(松下清志)
미나미 신이치로
후지이 후미노
(藤井文乃)
핫토리 마스미
시시도 쿠미코
(宍戸久美子)
아오키 마리코
라플라스 애니메이션
Ritera Pictures
十文字 Shanghai Xuanzhou Culture Media
日: 2024.01.24.
韓: 2024.01.25.
제5화 不思議の国のネロアリス
이상한 나라의 네로 앨리스
키무라 노보루 나카야마 타케히로
(中山岳洋)
야마우치 토미오
(山内東生雄)
시게마츠 사와코
시마자키 카츠미
오오노 츠토무
후지이 후미노
사쿠라이 코노미
(桜井木ノ実)
日: 2024.01.31.
韓: 2024.02.01.
제6화 トレスマジア誕生秘話
트레스 마지아 탄생 비화
무라키 카즈타카
(村木一隆)
모리 아오이
오오츠카 타카히로
(大塚隆寛)
토미야마 다이스케
마츠시타 키요시
마츠시타 준코
(松下純子)
카토 마사토
(加藤真人)
김다빈
(金茶彬)
정현진
(鄭賢眞)
박진광
(朴鎭光)
민시은
(閔始恩)
한소이
(韓邵而)
ソン・ソフィアパンハ
キエフ・ソティナ
Rad Plus
라플라스 애니메이션
日: 2024.02.07.
韓: 2024.02.08.
제7화 逆境アズール
역경 아주르
스즈키 마사토 카미야 마키 김다빈
정현진
바진광
민시은
ソン・ソフィアパンハ
キエフ・ソティナ
Jumondou Wuxi
十文字 Shanghai Xuanzhou Culture Media
아오마츠 애니메이션 제작 유한회사
라플라스 애니메이션
日: 2024.02.14.
韓: 2024.02.15.
제8화 ロード団、現る!
로드단, 등장하다!
모리 아오이 쿠보야마 요코
오오노 츠토무
모리 아오이
히구치 카스미
시마자키 카츠미
후지이 후미노
日: 2024.02.21.
韓: 2024.02.22.
제9화 アイドルにあこがれて!
아이돌을 동경해서!
야마다 야스노리 아마기 코타 스즈키 마사토 다이히류 쿄이치
(大飛龍狂一)
오오우치 마사히코
(大内正彦)
핫토리 마스미
시게마츠 사와코
마츠시타 키요시
토미야마 다이스케
김다빈
정현진
박진광
민시은
ソン・ソフィアパンハ
キエフ・ソティナ
Studio CL
라플라스 애니메이션
아오마츠 애니메이션 제작 유한회사
日: 2024.02.28.
韓: 2024.02.29.
제10화 ロコ×ルベ
로코×루베
키무라 노보루 무라키 카즈타카 야마우치 토미오 시마자키 카츠미
토미야마 다이스케
후지이 후미노
사쿠라이 코노미
오오우치 마사히코
야마자키 리리카
Studio CL
武遊
日: 2024.03.06.
韓: 2024.03.07.
제11화 世界征服にあこがれて!
세계 정복을 동경해서!
야마다 야스노리 모리 아오이
아마기 코타
카미야 마키 핫토리 켄지
미나미 신이치로
핫토리 마스미
이카이 카즈유키
사토 에미
(佐藤恵美)
후지이 후미노
쿠보야마 요코
오오우치 마사히코
타카하시 코헤이
(高橋こう平)
라플라스 애니메이션
아오마츠 애니메이션 제작 유한회사
日: 2024.03.13.
韓: 2024.03.21.
제12화 総師マジアベーゼの決断
총수 마지아 베제의 결단
키무라 노보루 모리 아오이 히구치 카스미
사토 에미
모리 아오이
스즈키 치사토
(鈴木知里)
호시 미카코
(星 美賀子)
쿠보야마 요코
시마자키 카츠미
오오노 츠토무
十文字 Shanghai Xuanzhou Culture Media
Jumondou Wuxi
日: 2024.03.20.
韓: 2024.03.21.
제13화 やっぱり魔法少女にあこがれて
역시 마법소녀를 동경해서
야마다 마사노리 스즈키 마사토 사토 에미
토미야마 다이스케
시게마츠 사와코
후지이 후미노
마츠시타 준코
히구치 카스미
다이히류 쿄이치
모리 아오이
오오우치 마사히코
쿠보야마 요코
야마자키 리리카
Jumondou Wuxi
Ritera Pictures
라플라스 애니메이션
日: 2024.03.27.
韓: 2024.03.28.

8.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7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8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9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10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1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1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1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9. 평가

9.1. 방영 전

스태프 발표 후 우려의 반응이 나왔다. 공동 감독 체제인데 스즈키 마사토는 이전 소녀전선에서 콘티를 맡은 화마다 처참한 액션 연출력을 보여 비판을 받았고, 오오츠키 아츠시도 베테랑 실력 및 경력을 겸비한 연출가이나 감독 필모가 크게 좋은 편은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공개된 PV에서도 액션 묘사가 잠깐 나오는데 이펙트가 가미된 정지 화면으로 나왔다.

다만 스즈키는 액션 시퀀스가 아닌 장면에서는 무난하게 기본은 하는 연출을 해왔고, 또 오오츠키는 액션 연출이 어느 정도 가능한 데다 카노콘, 레이디×버틀러!, 투 러브 트러블 다크니스 시리즈를 통해 야한 연출 경력도 나름대로 있어 공동 감독 체제가 된 것으로 보이기에 둘의 단점이 보완된다면 준수한 작품이 나올 수도 있다. 실제로 별 모양의 니플 패치를 탈부착 가능한 주인공의 1/7 스케일 피규어를 특전으로 첨부한 무수정판 BD와 DVD의 정보를 애니메이션 방영 전부터 일찍 공개하는 등 특정 분야를 강조하여 홍보하고 있다.

방송전 무수정판으로 진행된 상영회에서는 무수정판 기준으로는 유두와 신음이 난무하며 꽤나 강력한 수위로 나왔다고 한다.#

9.2. 방영 후

방영 전 우려대로 1화부터 액션에 대해서는 기대 이하라는 반응이 많으나, 그래도 소녀전선 시절에 비하면 어느정도 개선되었다는 평도 심심치 않게 보이는 등 스즈키 마사토 감독의 액션 연출력과 관련해 평가가 엇갈렸다. 2화는 오오츠키 아츠시 감독이 직접 콘티를 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액션의 퀄리티 면에서 1화랑 대동소이하며 추가로 작화도 불안정해졌다. 원작이 단순히 에로만 강조하는 게 아니라 각 세력 간에 선보이는 수려한 액션으로도 인기를 끌었기에 크게 다가오는 단점이다. 그래도 3, 8화처럼 모리 아오이 연출 화에서는 어느 정도 볼만한 액션이 나왔다.

물론 성우들의 열연과 오오츠키 아츠시 감독의 장기가 발휘되어 에로한 연출과 모에 시추에이션은 잘 살려냈으며, 또 마법소녀 나같은 마법소녀물을 전면적으로 뒤틀어버리는 클리셰 파괴 소재로서 관심을 가지는 팬들이 있었고, 특히 AT-X에서 방영되는 반 검열판에서부터 서비스신의 임팩트가 강했기 때문에 2024년 1분기의 화제작이라며 환호하는 GL 골수팬도 있다. 다만 백합 팬덤에서는 BDSM능욕처럼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내용이 곳곳에 섞여 있어서 미묘하게 바라보는 쪽도 있다.

액션 쪽에 단점이 있지만[10] 액션 이외의 연출이나 표정 묘사는 작품에 어울리게 잘 나왔고 스토리 순서를 어느정도 조정하거나 오리지널 요소를 추가해 적절한 각색으로 원작을 보완하는 등 저예산 애니라고 납득하고 보면 전반적으로 호평을 받을 요소가 많다. 미소녀 애니메이션을 선호하는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동분기 신작 애니들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또한 동분기 방영 애니메이션 중 큰 격차로 BD/DVD 예약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원작 단행본은 전권 증쇄되었다. 이처럼 평가가 좋아서 벌써부터 2기 제작을 원하는 반응도 나왔다.[11]

9.3. 총평

2024년 1분기 예상외의 다크호스이자 평가와 흥행 양쪽면에서 높은 성과를 기록한 성공적인 애니화 작품. 작품 전체적으로 작화의 퀄리티가 불안정했다는게 단점으로 지적받지만, 그것을 감안해도 좋은 연출과 구성을 통해 원작의 매력을 잘 살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만약 2기가 나온다면 액션씬등의 작화관련 문제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원작이 존재하는 작품의 애니화라는 평가기준에서 보자면, 제작진의 원작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좋은 평가를 받는다. 애니는 원작과 비교하면 일부 에피소드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본래라면 훨씬 뒤에서 나올 에피소드를 미리 가져오는등의 각색이 가해졌다. 이러한 변경을 통해 서사의 보강과 본래라면 1기내에서 비중이 적을 캐릭터들에게 적절한 비중을 분배하는 것에 성공했다. [12]

작화에 관해서도 좋은 퀄리티를 유지하지는 못하지만, 시청자들에게 어필 포인트가 될 서비스씬이나 원작팬들로부터 기대받는 하이라이트 부분에 퀄리티를 집중하였다. 한정된 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하여, 애니 제작진들의 선택과 집중이 탁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3화, 8화, 12화의 연출·콘티를 담당한 모리 아오이는 자신이 담당한 화에서 모두 높은 퀄리티를 보여줘, 이번 작품을 기점으로 주목받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한정된 상황속에서도 원작의 매력을 애니로 제대로 표현해낸 작품으로, 애니 유입과 원작팬 양쪽 모두에게서 좋은 평가를 받는데 성공했다. 감독 스즈키 마사토소녀전선 TVA의 연출에서는 비판을 받았지만, 첫 애니 감독 작품에서 비판을 만회 할 좋은 결과를 보여줬다는 평이다.

BD가 굉장히 많이 팔려서 분기 패권작이라 불렸으나 KADOKAWA 결산에서 고수익이 난 애니메이션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수위가 너무 높아서 해외 스트리밍 쪽에서 수익을 내지 못한 걸로 보인다.

10. 원작과의 차이점

10.1. 1-2화

  • 이야기의 시작 자체는 원작과 같으나 원작에서 나오지 않은 트레스 마지아의 전투신이 살짝 추가되었다.
  • 우테나가 베나리타에 의해 악의 여간부로 변신하게 된 점까지는 원작과 동일하지만 원작에서는 베나리타가 바로 우테나의 변신 뱅크신을 녹화한 영상을 유포하겠다며 협박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우테나가 거부하자 순순히 보내주더니 다음날 학교까지 따라와서 끈질기게 우테나한테 권유하다가[13] 다시 한 번 변신시킨 뒤에 이 변신 장면의 녹화본을 가지고 협박하는 식으로 변경되었다.
  • 2화 마지막에 우테나가 퇴각하는 모습을 옥상에서 지켜보던 키위의 옷차림이 망토를 뒤집어쓰고 있던 원작과 달리 사복차림으로 나온다.

10.2. 3-4화

  • 원작에서는 우테나가 나하트 베이스에 갈 때 몸이 아프다고 엄마에게 거짓말하고 학교를 결석해서 가지만 애니에서는 우테나의 엄마가 외출하고 난 뒤에 나하트 베이스로 가는 통로에서 우테나가 베나리타를 따라가는 오리지널 전개로 바뀌었다.
  • 처음 만난 우테나와 키위의 전투에서 폭격 한방에 나가떨어진 원작과 달리 나하트 베이스의 문짝을 뜯어 마물로 바꿔 수비하는 등의 전투씬 보강이 이뤄졌다.
  • 키위가 SNS에서 자신보다 트레스 마지아가 더 주목 받자 원작에서는 묘사되지 않은 셔츠 한장만 입고 야한 사진을 찍으려는 자세를 취한다. 그리고 찍기 직전에 원작처럼 베나리타가 찾아오면서 무산된다.
  • 베제와 마젠타의 전투(원작 6화)가 키위와의 데이트 에피소드(원작 7화) 뒤로 미뤄져 애니메이션 4화에 방영됐다. 때문에 마젠타의 알몸을 보고 코피를 뿜는 베제의 모습이 SNS에 퍼진 것을 확인하는 씬이 삭제됐다.

10.3. 5-6화

  • 코리스의 첫 등장이 원작에서는 아지트였는데 애니에서는 저녁 시간에 어느 뒷골목 근처에서 바닥에 고양이 낙서를 그리는 것으로 변경. 이후 돌연 나타난 검은 고양이를 보고 뒷따라간 끝에 누군가와 통신중인 베나리타를 발견한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는 전개로 변했다.
  • 코리스의 첫 변신씬부터 서비스씬이 있다. 원작에선 어린 캐릭터인 코리스에게만큼은 서비스씬을 할당하지 않아 이 만화의 유일한 양심이라는 소리까지 들었기에 놀란 시청자가 많은 편.
  • 코리스의 능력으로 농락당하는 트레스 마지아의 야릇한 장면이 살짝 추가되었다.
  • 키위가 코리스의 인형을 멋대로 가지고 노는 장면이 축소되었다. 인형이 망가지자마자 바로 미안하다고 하거나 가장 아끼던 인형을 코리스가 돌려달라고 하자 얌전히 돌려주는 식으로 원작에서 보여준 혐성짓이 순화되었다.
  • 원작 초반부터 잘 안 나타나던 코리스의 모친의 비중이 추가되었다. 원작에서 일 때문에 저녁 살 돈과 편지만 남겨두는 점은 동일하지만 애니에서는 추가로 모친의 얼굴이 일찍 드러났으며 코리스의 생일을 축하해주거나 능력을 써서 감기에 걸린 우테나를 치료해준 뒤의 후일담으로 코리스와 가벼운 대화를 주고받는 장면으로 원작에 비해 비교적 밝은 전개를 보여줬다.[14]
  • 감기에 걸린 우테나를 치료해준 뒤의 가벼운 후일담이 추가됐는데 키위가 코리스의 능력으로 자신과 우테나의 아기 플레이를 기대하며 코리스한테 부탁하자 코리스가 흔쾌히 받아들이며 변신. 그러나 정작 코리스가 시전한 건 키위 혼자만 독방에 고립된 감금 플레이였고 그런 키위의 절규와 함께 천진난만하게 미소짓는 코리스의 표정으로 마무리.[15]

10.4. 7화

  • 우테나의 과거가 추가되었는데 마법소녀 미라클 미미루라는 마법소녀 애니를 보며 그녀가 마법소녀를 동경하게 된 계기를 그려냈다. 근데 마법소녀가 등장 괴인한테 당해서 쓰러진 장면에서 우테나의 얼굴이 살짝 빨개지는 장면이 나오면서 그녀의 본성이 처음부터 잠재되어 있음을 암시했다.
  • 원작에서 아주르가 속박 플레이 당하는 걸 보는 네로앨리스를 베제가 손으로 눈을 가리며 제재하는데 애니판에서는 양팔을 흔들며 보면 안된다고 당황하자 그런 베제의 제재에 네로앨리스가 실망하는 표정을 짓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우테나랑 키위, 코리스가 패밀리 레스토랑에 모이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여기서 우테나가 키위한테 마법소녀관에 함께 가자는 권유를 하려고 포스터를 보여주려고 했으나 먼저 키위가 가족들과 여행을 간다는 걸 밝히자 단념하고 포스터를 집어넣는다. 한편 코리스는 아이들이 레스토랑 내에 있는 무인 서빙기계를 쫓으며 노는 걸 보고 같이 따라다녔고 우테나가 그러면 안된다며 말리자 얌전히 자리에 돌아왔다. 이에 원작에서 우테나가 사요를 혼자 만나게 된 이유를 보충하게 되었다.
  • 원작에선 바츠한테 기분전환을 해보라는 말을 들은 사요가 곧장 공원에서 마지아 베제랑 싸웠지만 애니판에서는 다음날 홀로 사복을 입고 기분전환을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6] 여기서 마법소녀관에 온 우테나랑 만나고 흥미가 생겨 우테나보다 한 박자 늦게 들어와서 둘러보는 장면들이 추가.
  • 마법소녀 관련 작품들을 보면서 그런건 현실과 다르다고 느끼는 사요의 속마음과 내적갈등이 추가되었다. 사실상 마법소녀 활동 때문에 매번 성희롱당하는 사요의 입장을 반영.
  • 아주르랑 베제의 대결에서 삼각목마 팬더한테 속박당한 아주르의 트랜스 아이템이 점점 탁해지고 금이 가며 타락해가는 연출이 추가되었다.

10.5. 8화 ~ 11화

  • 원작 12화 ~ 20화까지의 내용으로 트레스 마지아가 수련을 떠나있었을때 로드단에 맞서 에놀미타 3인이 항쟁을 벌인 걸 다루고 로드단 멤버였던 마타마, 네모는 이후 이탈해 우테나 측에 붙고 로드는 베제에게 최종적으로 지고 베나리타측이던 시스터에 의해 처리되어 밀려난 이후 우테나는 그대로 에놀미타의 총사령관 지위를 이어 받는 걸로 마무리된다. 군데군데 생략돤 내용들도 있다.

10.6. 12화

  • A파트는 로드단과의 결전의 후일담격인 원작 21화를 다루었으나, B파트는 시오짱즈와의 대립 도중인 원작 42화를 각색한 내용으로 하고 있다.[17] 그 때문에 마법소녀이면서 일반인을 끌어들여 인질극을 벌인 시오짱즈의 과격함에 치를 떨었던 마지아 베제가 정통 마법소녀다운 면모를 보이는 트레스 마지아를 마주하면서 역시 마법소녀는 이래야 한다며 만족한 표정을 지었던 장면의 의미가 다소 달라졌다.[18]
  • B파트의 마지아 마젠타의 거대화 장면에서 원작에선 조그맣게 개성이 겹쳐서 슬프다는 시스터 기간트, 베나리타의 모습이 한컷으로 지나갔지만 연관성이 없어서인지 애니판에선 생략되었다.[19]

10.7. 13화

  • 원작 23화 우테나 일행이 해변가를 갔다가 트레스 마지아 멤버 들과 만나고 한판 붙은 내용으로 최종화를 맺는다.
  • 베제와 아주르가 싸우기 직전에 오프닝 곡이 BGM으로 재생된다. 이때 해변에 널부러진 루베르, 로코, 레오팔트를 네로 앨리스가 회수해갈때 BGM이 잠시 끊겼다가 이어서 재생되는 건 덤.

11. 기타

  • 원작자 오노나카 아키히로가 애니메이션화를 기념하여 축전 일러스트를 그렸다. #
파일:마법소녀를동경해서_애니화축전.jpg}}} ||
  • 공식 X 계정 외에도 베나리타의 X 계정이 따로 존재한다.# 원작처럼 1화의 우테나의 변신 장면을 포함한 여러 장면들을 #확산희망 태그를 달고 올리고 있다. 작 중 안 따르면 사진을 올린다고 협박한 것들을 전부 올려버리는 악랄함을 보여준다.
  • 1화의 교실 장면에서 누가 봐도 팝 팀 에픽의 포푸코와 피피미로 보이는 학생이 있어 일본 X 트렌드에 '포푸코와 피피미'가 올라올 정도로 화제가 되었다. 원작 출판사가 같은 타케쇼보라 가능한 이스터 에그이며, 심지어 이 장면은 위에 나온 베나리타의 계정이 직접 올리기도 했다.#
  • 7화의 극중극에 등장한 마법소녀 미라클 미미루와 마스코트 미프룬의 성우는 각각 카드캡터 사쿠라의 사쿠라와 케르베로스를 담당한 성우이다. 해당 작품이 마법소녀 장르를 표방하고 있는 만큼, 오리지널 캐릭터에 이쪽 장르의 대표격 작품의 주연 성우를 기용함으로써 팬 서비스를 톡톡히 보여주었다.
  • 원작은 유두 묘사를 삼가지만 애니는 유두를 대놓고 묘사한다. 메가미 매거진에서 스즈키 마사토 감독이 밝힌 바로는 원작자 오노나카 아키히로(小野中彰大)에게 물어보면서 각 캐릭터의 유두를 만들었다고 한다. 아라가 키위와 시스터 기간트는 작가가 직접 함몰 유두라는 설정을 붙였다. 심지어는 BD 특전으로 원작자가 그린 유두 설정화 북클릿을 준다고 한다.
  • 블루레이 1권 한정판으로 주는 마지아 베제 피규어는 가슴 부분이 벗겨진다.
  • 현시점에선 2기 관련 소식은 전무하지만 최종화 종료 후 에놀미타 5명이 손가락으로 V자를 그리고 있는 엔드 카드가 나온 것을 2기 떡밥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


[1] 시청연령제한 및 규제가 일부 풀린 동경 ver. 방영.[2] TV 방송 ver. 방영.[3] 우테나의 활동명이 정해지는 것은 애니메이션 기준 2화이며 이 때문에 PV와 1화에서는 단순히 악의 여간부로 표기되었다.[4] 우테나 역[5] 키위 역[6] 엘리스 역[7] 마타마 역[8] 네모 역[9]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0] 2기를 제작한다면 크게 개선을 해야 할 부분이다. 신생 에놀미타가 자리잡은 이때부터는 마법소녀들악의 조직단 모두 진화형태가 등장하여 전투신의 스케일이 커지기 때문.[11] 로드단 이후에 등장하는 시오짱즈는 현재 1기 후반부 분량상 2기 등장을 기약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상영회에서 성우가 2기를 하고 싶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고, PD도 2기를 하려면 시청자들의 성원이 중요하다는 말을 했는데, 이를 보면 제작진도 어느정도 2기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2] 특히 모리노 코리스, 하나비시 하루카, 텐카와 카오루코등이 이러한 수혜를 받았다.[13] "사람마다 저마다의 재능이 있으며 재능을 썩히는 건 아깝다."라고 그럴 싸하게 회유를 시전했으나 우테나는 "악의 조직한테 그런 말을 들어도...;;;"라며 질색했다.[14] 물론 과묵 속성은 그대로인지 모친과의 대화에서도 코리스는 대사 하나도 없었다. 그나마 표정만으로도 서로 알게 쉽게 대화는 주고받는 모습으로 나온다.[15] 멜론북스 특전 리플렛의 내용을 보충한 것이다.[16] 여담으로 목욕하는 도중에 사요가 자신의 가슴을 주무르며 자위하는 야릇한 장면도 나왔지만 곧 정신차리며 중단한다.[17] 원작 22화에서는 로코와 루베르의 콤보기술인 포르티시모 카논이 처음 선보이고, 거기에 직격당한 마젠타와 설퍼가 일격에 전투불능을 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코와 루베르가 마무리를 짓지 않고 그냥 도주해버리는 바람에 설퍼가 그로 인한 모욕감과 무력하게 당한 자신의 약함에 분통을 터트리는 내용으로, 이후 여러 전개를 통해 설퍼가 진화를 달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는 장면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1기의 막바지에 다루기에는 힘든 부분이기는 했다.[18] 물론 원작에서 실제로 말려들었던 건 트레스 마지아와 에놀미타, 그리고 장본인인 이미타시오였지만, 변신 전의 상태였기에 이들의 정체를 모르는 베제 입장에서 이미타시오의 행동은 마법소녀면서 무관계한 일반인을 끌어들인 금기를 범한 격이라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다.[19] 시스터 기간트는 거대화 능력이 있지만, 마지아 마젠타는 원래 거대화 능력이 없었다. 굳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그만인 부분 이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