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4:47:54

마르셀로 모레노

마르셀로 모레노의 역임 직책
{{{#!folding ▼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로날드 랄데스
(2006~2018)
마르셀로 모레노
(2019~2023)
현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dfdfd,#191919><tablebgcolor=#fdfdfd,#191919>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남미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토마스
링콘

파일: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르셀로
모레노

파일: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닐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BF_logo.svg.png
리오넬
메시

파일: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에네르
발렌시아

파일: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호세
히메네스

파일: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가리
메델

파일: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비드
오스피나

파일: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구스타보
고메스

파일: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페드로
가예세

파일: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

}}} ||
마르셀로 모레노의 기타 정보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4227, #034227)"<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34227> 파일: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1532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마르셀로 모레노 107회 2007.9.12 2023.11.21
2 로날드 랄데스 101회 2001.6.3 2018.6.9
}}}}}}}}}}}}}}} ||
파일:341546959_1196027284429773_7607600747637276583_n.jpg
크루제이루 EC No. -
마르셀로 모레노
Marcelo Moreno
<colbgcolor=#005aa1> 본명 마르셀로 마르틴스 모레노
Marcelo Martins Moreno
출생 1987년 6월 18일 ([age(1987-06-18)]세)
볼리비아 산타크루스 데 라 시에라
국적
[[볼리비아|]][[틀:국기|]][[틀:국기|]]
|
[[브라질|]][[틀:국기|]][[틀:국기|]]
신체 183cm
포지션 스트라이커
소속 <colbgcolor=#005aa1> 유스 CD 오리엔테 페트롤레로 (2003~2004)
EC 비토리아 (2004~2005)
프로 CD 오리엔테 페트롤레로 (2003~2004)
EC 비토리아 (2005~2007)
크루제이루 EC (2007~2008)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2008~2011)
SV 베르더 브레멘 (2008 / 임대)
위건 애슬레틱 (2009 / 임대)
그레미우 (2012~2015)
CR 플라멩구 (2013~2014 / 임대)
크루제이루 EC (2014~2015 / 임대)
창춘 야타이 (2015~2016)
우한 줘얼 (2017~2018)
스자좡 융창 (2019)
크루제이루 EC (2020~2022)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 (2022~2023)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 (2023)
크루제이루 EC (2024~ )
국가대표 103경기 31골 (볼리비아 / 2007~2023)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기록
3.1. 대회 기록3.2. 개인 수상

[clearfix]

1. 개요

볼리비아크루제이루 EC 소속 축구선수. 현재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사상 최다 득점자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브라질 이중국적으로, 해외에서 태어난 교포선수로는 드물게 브라질 U-20 대표까지 지냈으나, 이후 자신이 태어난 볼리비아의 국가대표로 A매치에 데뷔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2023년 3월 28일,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로 이적했다. 등번호는 18번.#

2024년 3월 13일, 크루제이루 EC로 이적하였다.

2.2. 국가대표 경력

브라질인 아버지와 볼리비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청소년 시절에는 브라질 U-18, U-20 대표팀에서 뛰었으나 성인 대표팀은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택했다.

2007년 9월, 소속팀 크루제이루 EC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대표팀에 차출되었고, 2007년 9월 12일에 치러진 페루와의 친선전에 선발 출전하면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007년 11월 20일에 치러진 베네수엘라전에서 멀티골을 터뜨리며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2010 남아공 월드컵 남미 지역예선에서는 우루과이전에서 멀티골을 터뜨려 2:2 무승부를 이끌었고, 아르헨티나전에서는 1골 1도움을 기록하며 6:1 대승에 일조했으며, 브라질전에서도 1골을 넣어 2:1 승리를 견인하는 등 남미 3강을 상대로 대이변을 일으킨 주역이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볼리비아는 칠레,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페루, 에콰도르, 파라과이에게 패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의 꿈은 좌절되었다.강강약약

2011 코파 아메리카에도 참가하여 조별리그 3경기 전부 풀타임을 소화했으나 무득점에 그쳤고 볼리비아도 1무 2패 조 최하위로 조별리그 탈락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남미 지역예선에서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2골, 우루과이를 상대로 1골을 넣으며 다시 한 번 강팀에 강한 모습을 보여줬으나 볼리비아는 9개국 중 8위에 올라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15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4년 전 대회와는 달리 조별리그 에콰도르전에서 1골 1도움을 기록하는 활약으로 팀의 8강행을 견인했고 8강전에서 비록 페루에게 1:3으로 완패해 탈락했지만 만회골을 넣기도 했다.

훌리오 발디비에소 감독과의 의견 충돌로 2015년 9월 15일 대표팀 주장 로날드 랄데스와 함께 대표팀 은퇴 선언을 했다.

월드컵 예선과 2016 코파에서의 성적 부진으로발디비에소 감독이 경질되고 길예르모 호요스 감독이 부임하자 약 1년 만에 은퇴를 번복하고 다시 대표팀에 복귀했다.

2018 러시아 월드컵 남미 지역예선과 2019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기대 이하의 활약을 보였다.

2020년 11월 12일에 치러진 2022 카타르 월드컵 남미 지역예선 파라과이전에서 41분, 왼발로 득점에 성공하며 호아킨 보테로를 제치고 볼리비아 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에 등극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남미 지역예선에서는 무려 10골이나 기록하며 네이마르 주니오르(8골), 루이스 수아레스(8골), 리오넬 메시(7골), 라우타로 마르티네스(7골), 알렉시스 산체스(6골) 등 쟁쟁한 스타 플레이어들을 제치고 남미 지역예선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볼리비아는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모레노의 맹활약이 빛을 바랬다.

2023년 3월 28일에 치러진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친선전에 선발 출전하면서 A매치 100경기 출전을 기록, 볼리비아 대표팀 사상 2번째 FIFA 센추리 클럽 가입자가 되었다.

2023년 6월 21일에 치러진 칠레전에 선발 출전하면서 로날드 랄데스를 제치고 볼리비아 대표팀 역대 최다 A매치 출전자에 등극했다.

2023년 11월 22일에 치러진 2026 FIFA 월드컵 우루과이전을 마지막으로 대표팀에서 은퇴했다.

3. 기록

3.1. 대회 기록

3.2. 개인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