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5:13:54

립스틱 페미니즘

<color#fff>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0080> 파일:페미니즘 기호 화이트.svg 페미니즘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분파
자유주의 페미니즘 (차이 페미니즘) · 래디컬 페미니즘 (TERF · TIRF · SWERF ·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 문화적 페미니즘) · 상호교차성 페미니즘 (트랜스페미니즘) · 사회주의 페미니즘 (아나카 페미니즘) · 보수주의 페미니즘 (안티포르노 페미니즘 · 페모내셔널리즘)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성 긍정 페미니즘 (립스틱 페미니즘) · 종교 페미니즘 (불교 페미니즘 · 기독교 페미니즘 · 이슬람 페미니즘) · 그 외 (제국주의 페미니즘)
주장하는 이론
강간 문화 · 디폴트 여성 · 미러링 · 상호교차성 · 성인지 감수성 · 성차별 · 성 상품화 · 성적 대상화 · 양가적 차별 · 여성혐오 · 여성폭력(여성살해) · 여성 서사 · 유리천장 · 젠더 권력 · 젠더블라인드 · 핑크 택스
관련 문서
페미니스트 (남성 페미니스트 · 영페미) · 운동 · 도서 · 영화 · 역사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여성 단체 · 여성 정책 · 여성사 · 여성주의 성 전쟁 · 68운동 · 서프러제트 · 비혼 비출산 · 탈코르셋 운동 · 토플리스 운동 · 쿠투 운동 · 페미위키 · 부모 성 함께 쓰기 · HeForShe · FPOV
비판 및 논란 · 속어
안티페미니즘 · 페미나치 · 꼴페미 · 여성 우월주의 · 루이스의 법칙 · 남성혐오 · 자국 이성 혐오 · 뷔페미니즘 · 만물여혐설 · 페미니즘은 돈이 된다 · 페미니즘은 지능의 문제 · 쿵쾅이 · 여쭉메워 · 트페미 }}}}}}}}}

1. 개요2. 상세
2.1. 스틸레토 페미니즘(Stiletto feminism)
3. 다른 분파와 차이4. 비판
4.1. 여성의 성적 객체화4.2. 성평등의 왜곡
5. 한국에서 보도6. 해당 인물7. 관련 문서

1. 개요

Lipstick feminism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의 분파로 전통적으로 이어진 시스젠더 남성성, 여성성을 인정하는 대신에 이를 성적으로 재해석하는 분파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생겨났다.

2. 상세

전근대 가부장제가 설정한 성녀/창녀 이분법을 반대하고 여성성이 열등하고 굴종적이라는 기존의 페미니즘적 시각을 재정의하고 있다. 주류 안티페미니즘, 페미니즘, 남성주의 모두 여성성을 한 가지의 의미로만 해석하고 있는데 립스틱 페미니즘은 여성성은 남성을 압도하는 힘으로 해석하고 실제 사례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관점의 저자들은 여성성을 활용해서 남성들을 지배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테면 연애관계에서 여성이 돈을 덜 써도 되는 것, 남자가 여자에게 더 매달리게 되는 것 등이 그 예가 된다. 동물들도 수컷이 짝짓기를 하기 위해 다른 수컷과 싸우고 집을 짓거나 구애 활동을 한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남자일지 몰라도 그 남자를 지배하는 것은 여자라는 말을 충실히 이행하는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세계의 많은 남성들은 차, 시계, 좋은 직업, 업적을 이루려 노력하는데, 그것들의 최종 목표가 여자에게 인정받기 위한 경우가 많다. 역사의 많은 황제들은 여자 하나 때문에 한 나라를 말아먹기도 했다.

대부분의 여성은 남자가 없어도 살아갈 수 있고 임신 능력이 있어 '공급자'의 입장이지만, 반대로 여성혐오 성향이 심하다는 남자들조차 섹스, 연애, 결혼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버리기 힘들다. 자국 여자랑 결혼을 못하면 개발도상국에 가서라도 신부를 데려온다. 영화 <바비>에서, 켄들은 파티에 바비가 없으면 제대로 놀기가 힘든데 여자 바비들은 걸스 파티에서 잘만 논다. 립스틱 페미니스트들은 이것에서 여성성의 장점을 찾아내고, 여성성을 버릴 필요 없다고 얘기한다. 한국의 주류 페미니즘이 성관계는 여자에게 손해인 행위이며, 결혼 등 가부장제를 버리고 머리를 자르고 직장 생활 등지에서 커리어적으로 성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과 반대되는 입장이다. 이렇듯 한국 인터넷에서는 립스틱 페미니즘이 많이 비주류다. 남초에선 된장녀 걸레, 여초에선 흉자 남미새라고 양쪽에서 깐다.

예를 들어 서양 여성중에는 종종 onlyfans를 통해 누드집을 팔아 젊을 때 만질 수 없는 엄청난 돈을 만지고, 슈퍼카와 집을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래디컬 페미니즘은 이를 역겹게 여기지만 립스틱 페미니즘적 관점에선 비난할 일이 아니다. 성을 더럽다고 생각하지 않고,[1] 때로는 이용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서양 가수 중에는 과거 어렵던 시절 스트리퍼로 일했던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고 그런 과거를 당당하게 가사에도 담아낸다. 대표적으로 카디비. 한국에선 이런 과거가 밝혀지면 여초에서 창녀라고 돌을 던지는 것과 비교된다.

2.1. 스틸레토 페미니즘(Stiletto feminism)

여성성,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를 긍정하고 이에 대한 언행강령을 제시하는 페미니즘을 의미한다. 립스틱 페미니즘이 아직 철학적 논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스틸레토 페미니즘은 구체적 언행 사항이 있다. 한국에서는 립스틱 페미니즘으로 알려져있다.

3. 다른 분파와 차이

3.1. 성긍정 페미니즘과 차이

성긍정 페미니즘과 립스틱 페미니즘이 둘 다 성해방을 옹호하지만 전자는 사회 정의, 정치적 올바름을 준수하는 성 긍정을 내세우지만 후자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내세운다. 문화적 마르크스주의 음모론자들은 정치적 올바름이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나왔다는 이론을 내세우지만 사실이 아니다. 정치적 올바름은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 시작된 민권 운동의 산물이다. 과학전쟁의 여파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아주 피상적인 이해가 대중들에게 많이 퍼졌는데, 이것이 인터넷을 통해 신우파적 이념과 결합되면서 '우파는 과학이지만 좌파, 페미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사이비이다.' 같은 식의 프레임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성긍정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자유로운 성교를 옹호했지만 플레이보이바니걸이 성적 대상화의 사례로 현실적으로 그녀들이 성노예같은 처지로 전락했다고 생각해 이를 비판한다. 반면에 립스틱 페미니즘은 바니걸은 굴욕적으로 보여도 남성의 성욕을 이용해 우위로 서기 위해 바니걸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3.2. 보수주의 페미니즘과 차이

보수주의 페미니즘과 립스틱 페미니즘이 여성성을 긍정적으로 간주하지만 전자는 모델, 매춘부, 포르노 배우를 반대하지만 후자는 긍정한다.

립스틱 페미니스트들은 매춘부가 항상 무례하고 불결한 존재가 아니며 성녀성과 창녀성이 함께 존재할 수 있고 신전 매춘 사례로 어떤 시대에는 성매매가 신성한 직업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2]

3.3. 문화적 페미니즘과 차이

둘 다 여성성을 재평가하는 것은 같지만 문화적 페미니즘은 처녀성이 있는 여성을 옹호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적 페미니즘은 성노동자는 남성성때문에 격하된 존재라고 폄하하지만 립스틱 페미니즘은 성노동자는 남성성을 이용하는 여성으로 해석하고 있다.

3.4. 안티포르노 페미니즘과 차이

안티포르노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의 성욕을 혐오하고 그래서 모델, 매춘부, 포르노 배우를 남성의 여성 비하 수단이라고 간주하지만 립스틱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의 성욕은 여성에게 쉽게 이용당하고 코르셋은 남성의 성욕을 이용하는 여성의 수단으로 간주하고 있다.

안티포르노 페미니스트들이 내세우는 강간 문화, 성적 대상화라는 단어에 대해 립스틱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의 성욕에 대한 몰이해서 유래되었고 여성이 코르셋을 하는 이유는 여성 스스로를 비하하기 위해서가 아닌 코르셋을 한 여성이 남성을 더 쉽게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4. 비판

일부 비평가들은 립스틱 페미니즘이 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여성들이 외모를 꾸미지 않는 선택도 존중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접근이 자칫 소비주의와 연결되어 여성의 성적 객체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4.1. 여성의 성적 객체화

립스틱 페미니즘은 여성의 성적 매력과 외모 가꾸기를 강조함으로써, 여성의 성적 객체화를 촉진할 위험이 있다. 이는 여성을 성적 매력으로만 평가하는 사회적 경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여성들이 성적 객체로 취급받는 상황을 정당화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여성의 성적 표현이 본인의 자아 실현을 위한 것이 아니라, 타인의 시선을 만족시키기 위한 도구로 변질될 수 있다. 립스틱 페미니즘이 외모 가꾸기와 성적 매력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사회적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성들은 '자유로운 선택'이라는 명목 하에 외모를 가꾸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을 느끼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여성들 사이의 경쟁과 비교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외모와 성적 매력에 대한 사회적 기준은 여전히 특정한 미적 기준을 따르며, 이는 다양한 여성들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인정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립스틱 페미니즘이 주장하는 자유로운 성적 표현과 외모 꾸미기는 여성의 자율성을 강조하지만, 이는 여성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사회와 미디어가 설정한 기준과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여성들이 외모를 꾸미게 되면, 이는 여성들의 진정한 자율성을 훼손할 수 있다. 즉, 자유로운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압력에 의해 강요된 선택일 수 있다. 립스틱 페미니즘은 외모와 성적 매력을 중시하는 반면, 여성의 내면의 가치와 능력을 상대적으로 저평가할 위험이 있다. 여성들이 외모에 집중해 여성이 외모에 의해서만 평가받는 사회적 분위기를 강화할 수 있으며, 진정한 의미의 성평등을 이루는 데 장애물이 될 수 있다.

4.2. 성평등의 왜곡

페미니즘의 핵심 목표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권리와 기회를 갖는 것이다. 립스틱 페미니즘은 여성의 외모와 성적 매력을 강조함으로써, 성평등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다. 이는 여전히 여성들이 외모와 성적 매력으로 평가받아야 한다는 사회적 기준을 유지시키며, 성평등의 진정한 의미를 퇴색시킬 위험이 있다. 전통적인 페미니즘은 여성의 성적 객체화를 비판하고, 여성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립스틱 페미니즘은 여전히 여성의 성적 매력을 강조하며, 이는 여성을 성적 객체로 보는 시각을 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여성이 성적 매력 외에도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존재라는 본질을 간과하는 것이다. 페미니즘은 여성의 내면적 가치와 능력을 인정하고, 이를 통해 여성들이 사회에서 동등하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립스틱 페미니즘은 외모와 성적 매력을 중시하는 반면, 여성의 지적 능력, 창의성, 직업적 성취 등 내면적 가치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의 다양한 능력과 기여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페미니즘은 사회 구조와 제도를 변화시켜 성평등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립스틱 페미니즘은 개인의 성적 매력과 외모에 중점을 두어,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간과할 수 있다. 이는 여성들이 직면한 근본적인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미니즘의 본질을 바탕으로 볼 때, 립스틱 페미니즘은 성평등의 진정한 목표를 왜곡하고, 여성의 성적 객체화를 지속시키며, 내면적 가치를 저평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여성의 자율성을 제한하고, 사회적 변화를 저해할 수 있다.

5. 한국에서 보도

한국에서는 성긍정 페미니즘보다도 비주류이지만 메갈리아가 생겨나기 전인 2015년 이전에 간간이 한국 언론에 간간히 보도된 적이 있었다.

6. 해당 인물

  • 마광수 -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자처한 적이 있었고 그가 옹호하는 여성상을 분석하면 립스틱 페미니스트의 주장과 유사하다.
  • 마이너 리뷰 갤러리 - 페미니즘에 대해 다룬 5부작 영상 시리즈에서 본인이 립스틱 페미니스트임을 밝혔다. 2015년 당시 페미니스트들과 키보드 배틀을 벌이다 그들이 페미니즘을 공부하고 오라는 말에 열불이 뻗쳐 진짜로 공부하고 온 것이 페미니스트가 된 계기라고 설명했다.

7. 관련 문서


[1] 보노보 암컷은 일평생 수백수천번의 짝짓기를 한다. 그런데 인간 여성의 성은 지켜야 하는 것인가? 성보수주의 페미니즘의 입장은 오히려 남성중심적인 사고방식과 다를 바 없다.[2] 슬럿워크 당시 립스틱 페미니스트들은 slut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정의하려고 했다.[3] 해당 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