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4:19:45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d3e4f><colcolor=#fff>기본 모드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전설의 전당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 골든 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 럼자오자레
기타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미디어 믹스 · 감시단의 비상 · 이스터 에그}}}}}}}}}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
배경 룬테라 타임라인 종족
지역 세력 코믹스 등장인물
스토리 멀티버스 영상 음악

1. 개요2. 상세3. 챔피언 스토리4. 종족5. 지역 및 국가6. 등장인물 및 세력 7. 챔피언 관계8. 타임라인9. 코믹스10. 게임11. 애니메이션12. 소설13. 음악 및 영상14. 구 설정15. 멀티버스16. 여담
16.1. 유니버스 설립 과정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관의 공식 명칭이다. 주 배경은 룬테라(Runeterra). 국가 출신들의 챔피언들이 존재하고 그 챔피언들 간의 연결되는 스토리로 세계관이 이어진다. 예외로 아우렐리온 솔이나 바드, 공허 태생 등은 룬테라 출신이 아니지만, 그들 역시 주무대는 룬테라이다.

2. 상세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에는 필멸자들이 있는 물질 세계, 요들과 정령 등의 고향인 영혼 세계로 구성된 룬테라와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천상의 존재들이 있는 천상계, 다른 차원에서 온 공허태생이 있는 공허가 있다.

룬테라는 룬 마법으로 태어난 땅이라서 지역 곳곳에 마력이 만연하다. 그리하여 특이한 마법 생물들이 살고 있으며, 마법과 마법사들이 존재한다. 보통 선천적으로 마력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들이 마법사가 된다.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여 마법을 사용하거나, 순수하게 마법을 연구하고 수련해서 마법사가 되는 경우도 있다. 마법에 재능이 없어도 자본이 있으면 필트오버의 마법공학을 이용해 마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이오니아는 다른 지역보다 마력이 더욱 많이 존재하여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형태의 마법과 생물군이 존재한다. 마법을 접목한 무술과 병기술도 여럿 있는데, 닌자인 제드는 그림자 마법을 사용하고, 리븐이나 야스오가 사용하는 바람의 검술은 바람 원소 마법이 담긴 검술이다.

다만 챔피언들 중 마법 사용자들의 비율과 달리 룬테라에서 마법은 상당히 희귀한 재능이다. 사일러스의 혁명 당시 나온 마법사가 잘쳐야 수백 명인데, 마력척결관의 철저한 조사에도 불구하고 전체 마법사 중 1할만이 체포되었다고 넉넉하게 가정해도 데마시아 내의 마법사는 수천 명에 불과하다. 비옥한 토지로 인해 인구가 수백만, 수천만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데마시아에서 선천적 마법사는 고작 그 정도 뿐이며, 녹서스에선 마법을 가지고만 있다면 곧바로 출세할 수 있을정도로 마법을 높게 쳐주는데도 그 수가 부족하여 국경 밖에서까지 마법사를 찾을 정도이다.

3. 챔피언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스토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단 리그 오브 레전드의 세계관은 챔피언들의 스토리로 진행이 된다. 챔피언 스토리는 챔피언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각 챔피언의 문서에 들어가서 직접 일일이 찾아보는 수 밖에 없다. 또한 지역 및 국가 특성에 맞춰서 챔피언 스토리가 결정되기 때문에 세계관에서 특정 지역과 국가의 성향을 대충이라도 알아야 이해가 가능하다.

챔피언 스토리 목록을 보고싶다면 챔피언 스토리 참조

4. 종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종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지역 및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룬테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의 주배경이되는 곳은 룬테라다. 자세한 내용은 지역 및 국가 참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1d3e4f><tablebgcolor=#1d3e4f> 파일:Runeterra_Crest_icon.png룬테라
Runeterra
}}}'''
'''{{{#!wiki style="margin:0 -10px -6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파일:룬테라지도.png
룬테라 지도#
파일:롤-그림자군도-엠블럼.png 파일:롤-녹서스-엠블럼.png 파일:롤-데마시아-엠블럼.png 파일:롤-밴들시티-엠블럼.png
그림자 군도 녹서스 데마시아 밴들 시티
파일:롤-빌지워터-엠블럼.png 파일:롤-슈리마-엠블럼.png 파일:롤-아이오니아-엠블럼.png 파일:롤-이쉬탈-엠블럼.png
빌지워터 슈리마 아이오니아 이쉬탈
파일:롤-자운-엠블럼.png 파일:롤-타곤-엠블럼.png 파일:롤-프렐요드-엠블럼.png 파일:롤-필트오버-엠블럼.png
자운 타곤 프렐요드 필트오버
파일:롤-공허-엠블럼.png 파일:Runeterra_Crest_icon.png
공허 }}}}}}}}}'''

6. 등장인물 및 세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등장인물 및 세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리그 오브 레전드는 등장인물이 수많은데 그중 챔피언은 가장 스토리에 영향을 많이끼치며 주변인물들이 있다.

7. 챔피언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각 챔피언의 스토리에 따라 챔피언 간의 스토리도 서로 연관을 맺게 된다.

8. 타임라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타임라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코믹스

10. 게임


파일:riotforgebl.png파일:riotforgewh.png


11. 애니메이션

12. 소설

  • 가렌: 첫 번째 방패 - 자르반 3세 죽음 이후를 다룬 가렌과 데마시아의 상황을 담고있다. 앤서니 레이놀즈가 집필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첫 중편소설이다.
  • 대몰락 - 비에고의 군 장성 칼리스타가 독이 퍼진 여왕 이졸데를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고대 마법에 다다를 수 있는 전설의 왕국을 찾아나서는 이야기를 담고있다. 앤서니 레이놀즈가 집필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첫 장편소설이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공식 스토리북 - 룬테라의 세계 - 11개의 지역의 배경과 설정을 담은 공식 설정집.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는 설정 충돌이나 오류를 고려한 것인지 중요한 사건들을 제외하면 자세한 내용을 생략하고 각 지역의 특징들 위주로 담았다.

13. 음악 및 영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영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구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세계관/유니버스 이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해당 문서에서는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가 창설되기 이전, 소환사 설정이 존재했을 때의 세계관을 다룬다.

15. 멀티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스킨 세계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리그 오브 레전드에는 룬테라가 배경이 되는 세계 이외에 각 스킨 시리즈가 가지고 있는 평행 세계관도 있다.

16. 여담

16.1. 유니버스 설립 과정

초창기 세계관은 소환사가 챔피언을 '정의의 전장'에 소환하여 리그에 출전시켜 국제분쟁을 해결한다는 인게임과 스토리 장벽을 허문 신박한 설정으로 당시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당시 설정과 스토리 자체도 1980년대 미국 코믹스에 가까운데다가[1], 신규 챔피언 추가는 계속되면서 챔피언들이 리그에 출전해야 하는 동기는 계속해서 필요했고 여기에 무리하게 스토리를 입히다 보니 설정 충돌이 생기고 개연성이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서 스토리가 점점 수습이 불가해진다.

그렇게 라이엇은 첫 번째 개편을 시작하게 된다. 설정 오류의 주범이자 현대인이 보기에 너무 유치하고, 허무맹랑했던 정의의 저널, 리그의 심판, 소환사 설정 등을 폐기하고 기존 스토리를 디테일하게 보강하게 되는데 문제는 배경마다 스토리가 너무 제각각이었으며 고쳐야할 점이 너무 많았다.

이에 라이엇은 두 번째 개편을 시작하게 된다. 스토리를 보다 간결하고 통일성 있게 개편하기 시작한다. 문제는 거듭해서 스토리가 변경되는 것도 유저 입장에선 별로 달갑지않는 일인데 이 마저도 챔피언의 스토리를 완전히 변경해버려서 챔피언의 정체성을 파괴해버렸다. 게다가 이맘때쯤 라이엇은 챔피언의 스토리를 기존 세계관에 통합하는 과정을 거치기 시작했는데 즉, 신규 챔피언이 출시할 때마다 이에 맞춰 기존 스토리를 수정, 변경해왔던 것. 심지어 한 챔피언은 관계가 있는 챔피언이 출시될 때마다 스토리가 4번이나 변경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이렇게 거듭해서 변경되는 스토리, 설정 오류, 근본 없는 배경 등으로 대부분의 유저들은 롤 스토리에 흥미를 잃기 시작했다.

이에 마지막으로 라이엇은 세 번째 개편을 시작하게 된다. MOBA 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의 장르적 한계에 부딪힌 라이엇은 세계관을 풀어내는 방식이 반드시 게임과 연결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해 이후, 소설, 코믹스, 시네마틱 등 미디어믹스로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관을 확장시키겠다는 뜻을 전하게된다.

그렇게 2014년 경부터 작가들을 대거 영입하고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를 설립해서 마블 코믹스와 협력 하는 등 몇년을 걸쳐서 최근까지 대대적으로 다 뜯어고쳤다. 그 결과 유니버스 출범 이후 전보다 짜임새와 통일성이 갖추어진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관은 풍부한 세계관으로 거듭나게 되었고, 제각각이었던 챔피언들의 관계 역시 지역 소속이나 출신으로 나뉘어 서로 은원관계가 연관되게 만들었다. 그 덕분에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관의 많은 설정들이 전보다 훨씬 입체적이고 확실한 개성을 갖게 되었으며, 챔피언의 정체성도 개연성을 갖게 되었다. 또한 세계관이 점점 정립되고 구체화되면서 이제는 살에 뼈를 넣는 게 아닌 뼈에 살을 붙이는, 업데이트 형식 스토리 전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를 기반으로 하는 신규 게임들도 출시하면서 어느 정도 정립이 이루어졌다.

2023년 기준 유니버스 세계관 설정이 어느 정도 정립이 되었다고는 하나 모두 정립이 된 것은 아니고 설정 변경도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 남아있던 잔재물(소환사 설정 등)들을 폐기하거나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니버스 도입 이후에도 별다른 업데이트가 없는 사실상 방치된 챔피언들의 설정 변경 및 업데이트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2023년 10월 13일 챔피언과 세계관 등 | 개발 업데이트 - 리그 오브 레전드 영상에서 롤 유니버스 IP 크리에이티브 총괄인 'Poisonpixxi'가 당일 기점으로 나오는 신작 게임, 아케인, 곧 나올 누누의 노래 등 모든 롤 스토리 관련 콘텐츠는 모두 정사임을 발표했다. 그간 업데이트를 진행하면서 마법공학의 발명 과정이나 빛의 감시자 동안 사라진 요릭[2] 등 스토리 내 발생한 설정 모순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고 있으며 문제점을 아예 뜯어고치기 보다는 원활한 수정을 거쳐 편입될 예정임을 전했다. 전체적인 스토리 진행이나 내막을 밝히기 위한 추가 단편 소설은 2022년 6월 이후부터 유니버스 페이지에 더이상 올라오지 않았는데, 단편 소설은 대부분 특정 인원들에게만 한정된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앞으로 이야기 매체로서 지양하는 대신에 캐릭터와 챔피언의 생동력 높이는 다른 매체가 주가 되어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2024년 기준 단편 소설과 라이엇 포지가 완전 중단되었고 레전드 오브 룬테라에서도 추가 스토리가 점점 끊기면서 신규 챔피언의 추가 설정을 제외하면 스토리적으로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다만 내부에서 스토리 개발 자체는 계속해서 하고있는데 모든 스토리텔링이 롤 유니버스를 기반으로 한 신작 게임에 총동원 되어 신작을 준비하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1] 이때만해도 라이엇은 설정을 짜맞추는데에만 급급했지 스토리에 그러한 큰 신경을 안썼을 뿐더러 세계관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잘짜여진 세계관은 아니였다.[2] 요릭은 자신의 조국인 축복의 빛 군도를 대몰락의 저주로부터 구원하겠다는 챔피언인데, 요릭의 동기와 상당수 일치하는 감시단의 비상 이벤트 기간 동안 등장하지 않아서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