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0:06:13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
,
,
,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선발전
시즌 2 시즌 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1. 개요2. 방식
2.1. LCK (한국) / LPL (중국)
2.1.1. LCK (한국)2.1.2. LPL (중국)
2.2. LEC (EMEA) / LCS (북미)
2.2.1. LEC (EMEA)2.2.2. LCS (북미)
2.3. 마이너 리그
3. 관련 문서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할 팀을 선발하는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별도의 선발전을 치르는 리그는 LCK와 LPL뿐이고, 타 리그는 서머 플레이오프나 별도의 대회가 선발전을 겸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동시에 서술한다.

올해 월즈에 진출하는 팀은 총 20팀으로, 기본적인 시드 배분은 4대 메이저 리그[1]는 각 3장씩, PCSVCS는 각 2장씩, LLACBLOL은 각 1장씩 배분되며, 2024 MSI 성적에 따라 우승 리그인 LCK와 준우승 리그인 LPL이 각각 1장을 추가로 부여받고, 우승팀 젠지는 MSI 우승팀 권한으로 서머 플옵 진출시 최소 시드 결정전 자동 진출권[2][3]을 받게 된다.

2. 방식


2.1. LCK (한국) / LPL (중국)

2.1.1. LCK (한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CK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LPL (중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PL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LEC (EMEA) / LCS (북미)

LEC와 LCS는 별도의 선발전을 진행하지 않고, 결산 대회 성적에 따라 진출권이 부여된다.

2.2.1. LEC (EMEA)

LEC는 윈터, 스프링, 서머 성적을 토대로 포인트를 산출하여 시즌 파이널 겸 선발전을 진행하여 월즈 시드가 결정된다.

2.2.2. LCS (북미)

LCS는 별도의 포인트제 없이, 서머 포스트시즌격 대회인 챔피언십을 치러 그 순위에 따라 월즈 시드를 부여한다.

2.3. 마이너 리그

마이너 리그는 별도의 선발전 없이 서머 우승 팀이 출전하고, VCS와 PCS의 경우 시드권이 2장이기에 예년과 동일하게 서머 우승 팀 및 준우승 팀이 출전할 것으로 보인다. 마이너 리그 팀들은 모두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3. 관련 문서



[1] LCK, LPL, LEC, LCS[2] 라이엇 본사에선 월즈 자동 진출권이라고 했으나, 각 리그가 모두 저마다의 시드 분배 기준이 있기 때문에 아직 시드가 확정되지 않아 시드 결정전 자동 진출권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LCK는 22년 선발전부터 LPL의 방식을 차용하여 1시드는 서머 플옵 우승팀, 2시드는 플레이오프 포인트 최다 보유 팀, 3시드는 3시드 결정전 승리팀, 4시드는 최종 진출 결정전 승리팀이 받기 때문이다.[3] 2024 LCK 규정집에 따르면 젠지가 1-2시드로 진출하거나 서머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해 월즈 진출권이 무효화될 경우, 추가 시드권은 기존 선발전대로 치르고, 젠지가 1-2시드 진출에 실패하지만 서머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경우 21년도 선발전의 T1처럼 젠지가 월즈 진출권을 확보하여 3-4시드 결정전에 대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