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3:23:10

르노 두에 공장

파일:르노그룹 로고.svg파일:르노그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주주
프랑스 정부닛산기타 공영
전/현직 주요 인물
장도미니크 세나르RNMA 회장루카 데 메오르노 그룹 CEO카를로스 곤프랑수아 프로보
계열사 및 사업부
브랜드 르노알핀모빌라이즈다치아진베이화청EV이지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 오픈 이노베이션 랩 파리테크노센터오픈 이노베이션 랩 실리콘 밸리오픈 이노베이션 랩 텔아비브
제조사 바틸리소파사소마카코르메카니카 SA르노 아르헨티나르노코리아르노 두 브라질르노 멕시코르노 인더스트리 벨기에 SA르노메드레보즈르노 남아프리카
부품 제조사 모트리오
마케팅ㆍ커뮤니케이션 르노 클래식라뜰리에 르노 파리
제조 공장 유럽 ACI 메이지외 공장두에 공장바틸리 공장플린스 리팩토리르망 공장알핀 디에프 장 레델레 공장노보 메스토 공장슬로베니아팔렌시아 공장스페인셍 엉드헤 드 류흐 공장상두빌 공장바야돌리드 카로체리아 공장스페인바야돌리드 몬타제 공장스페인부르사 공장튀르키예미오베니 공장(다치아)루마니아
남미 코르도바 공장아르헨티나쿠리티바 공장브라질엔비가도 공장콜롬비아
태평양 부산 공장대한민국카사블랑카 공장모로코오란 공장알제리탕헤르 공장모로코
소매 르노 리테일 그룹
금융 모빌라이즈 파이낸셜 서비스
합자회사 호스JMEV오약 르노르노-파스르노 브릴리언스르노 알제리
}}}}}}}}} ||

르노 두에 공장
Douai Renault Factory
파일:르노 두에 공장.png
<colbgcolor=#000><colcolor=#FFF> 개요
국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위치 노르 노르파드칼레 두에
상세 주소 924J+6C, 59552 Lambres-Lez-Douai, 프랑스
개장 연도 1970년
1975년 (가동 시작 연도)
소유 기업 르노
규모 118 ha
직원 수 2,464명 (2023년 12월 기준)
좌표 북위 50도 21분 49.86초
동경 3도 1분 39.9초
지도

1. 개요2. 역사3. 생산차량4. 단종차량

[clearfix]

1. 개요

프랑스 노르에 노르파드칼레 지역 두에에 위치한 르노의 차량 생산 공장이다. 해당 공장은 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

2. 역사

1968년에 승인이 난 후 착공되기 시작했으며, 당시 두에 지역이 EEC의 산업 중심의 중심 겸 주요 산업, 인구 중심지였고 탄광 자원도 고갈되었던 때문에 최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970년에 완공된 후 초기에는 소형차를 중심으로 생산했는데, 본격적으로 소량의 1975년르노 5가 그 시작이었다.[1] 이후 폭스바겐 골프의 대항마로 르노 14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나, 1976년에 총 325대의 14와 50대의 5 차량이 생산되었다.

개장 초기인 1977년까지는 7,000여 명의 직원들이 근무했고, 급속한 자동화 시대에서 고도로 자동화된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차체 조립 공정에서 패널들의 주요 용접은 4대의 유니메이트(Unimate) 로봇들이 담당했는데 직원들은 이 기계에 테오필(Theophile), 아르신(Arsine), 마르셀(Marcel), 모데스트(Modeste)라는 애칭을 지어주기도 했다. 당시 공장을 방문한 인원들은 추가 확장을 위한 넓은 공장의 공간에 깊은 인상을 받기도 했다는 언급이 나오기도 했다.

1996년부터 메간 세닉과 1세대 르노 메간을 생산하기 시작했는데, 2세대 이후 생산분이 팔렌시아 공장으로 이관되면서 타격을 입게 되었다. 또한 당시에는 메간 CC 카브리올레 사양을 소량으로 생산하기도 했었다. 이후에는 4세대 르노 에스파스르노 탈리스만[2]을 생산하다 2023년 내연기관 사양의 차량들을 모두 단종시킨 후 전기차로 생산을 전환하였다.

ISO 14001, ISO 9001, EAQF 인증을 받은 공장이다.

3. 생산차량

르노의 두에 공장 생산 차량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적용 차량 생산기간
파일:9BC78E85-2A80-476F-ACB7-E2C9ECD72B5B.jpg
<colbgcolor=#fff> 2022년~현재
메간 E-테크 일렉트릭
파일:2024 르노 세닉 E-테크 에스프리 알핀_(1).jpg
2024년~현재
세닉 E-테크
파일:2024 르노 5 E-테크 일렉트릭.jpg
2024년 예정
5 E-테크
}}}}}}}}}}}} ||

4. 단종차량

르노의 두에 공장 과거 생산 차량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적용 차량 생산기간
파일:1972 르노 5.png
<colbgcolor=#fff> 1972년~1985년
5
파일:르노 14.png
1976년~1983년
14
파일:르노 9.png
1981년~1989년
9
파일:르노 11.png
11
파일:르노 19.jpg
1988년~1996년
19
파일:르노 세닉 이니셜 파리.jpg
1996년~2023년[3]
세닉
파일:메간2-4.jpg
1996년~2009년[4]
메간
파일:D587295B-1309-4455-955F-9CF4E795F0C7.jpg
2015년~2023년
탈리스만
파일:espace-ft-1.jpg
2015년~2023년
에스파스
}}}}}}}}}}}} ||


[1] 기존에 생산된 플랭쉬르센에 위치해 있던 공장 생산분이 주력이었다.[2] 유럽을 제외한 한국 생산분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생산되었으니 예외. 이 곳에서는 아직도 생산되고 있다.[3] 1~4세대[4] 1~2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