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3:39:38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파일:라트비아 국장.svg
라트비아 국방장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e3039, #9e3039 20%, #9e3039 80%, #9e3039);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라트비아 제1공화국
라트비아 안보장관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야니스 잘리티스 다비츠 시만손 카를리스 울마니스 에리크 마르틴스 펠드마니스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야니스 골드마니스 구스타브스 젬갈스 야니스 두켄스
라트비아 전쟁장관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프리시스 비르켄슈테이니스 율리이스 아라이스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야니스 골드마니스
<rowcolor=#fff> 제5대 제3대 제5대 제6대
에두아르츠 칼니우스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에두아르츠 칼니우스 안톤 오졸스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7대 제9대
에두아르츠 라이미우스 마르티우스 바스에티스 에두아르츠 라이미우스 야니스 발로디스
<rowcolor=#fff> 제10대 제11대
크리스야니스 베르키스 로베르트스 담비티스
<rowcolor=#fff> 라트비아 제2공화국
라트비아 국방장관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권한대행
탈라브 윤지스 발디스 파블로브스키스 야니스 아르베드 트라판스 마리스 가일리스
<rowcolor=#fff> 권한대행 권한대행 초대 제4대
안드레이스 크라스틴스 진타르스 라스나츠스 탈라브 윤지스 안드레이스 크라스틴스
<rowcolor=#fff> 권한대행 초대 권한대행 제5대
진타르스 라스나츠스 탈라브 윤지스 군타르스 크라스트스 기르츠 발디스 크리스토프스키스
<rowcolor=#fff> 제6대 제7대 권한대행 제5대
아티스 슬라크테리스 에이나르 레프셰 솔비타 클로베르 아르투르스 크리스야니스 카리우스
<rowcolor=#fff>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린다 마손 아티스 슬라크테리스 비네트 벨드레 이만트스 리에기스
<rowcolor=#fff>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2대
아르트스 파브리크스 라이몬드스 베요니스 라이몬드스 베르그마니스 아르티스 파브리크스
<rowcolor=#fff> 제15대 제16대
이나라 무르니에체 안드리스 스프루드스 }}}}}}}}}
<colbgcolor=#9e3039><colcolor=#fff> 제3대 라트비아 전쟁장관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Rūdolfs Bangerskis
파일:Rūdolfs_Bangerskis.jpg
출생 1878년 7월 21일
러시아 제국 리보니아현 리가
사망 1958년 2월 25일 (향년 79세)
독일 올덴부르크
국적
[[라트비아|]][[틀:국기|]][[틀:국기|]]
학력 블라디미르 군사학교
니콜라예프 참모학교
직업 군인
최종 계급 대장
경력 라트비아 전쟁장관
1924년 12월 19일 ~ 1925년 12월 23일
1926년 12월 19일 ~ 1928년 1월 23일
라트비아 국가위원회 의장
1945년 2월 20일 ~ 9월
참전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2. 초기 행적3. 제1차 세계 대전4. 러시아 내전5. 라트비아군6. 제2차 세계 대전7. 전후 행적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라트비아의 군인이다.

2. 초기 행적

러시아 제국 라트비아 지역에서 태어난 방게르스키스는 부모가 루터파 기독교의 라트비아인이었다. 1895년 10월부터 1899년 7월까지 리가 하사관 훈련대대에 지원한 방게르스키스는 1901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사관학교를 졸업해 제93보병연대에 편입되어 1904년 러일전쟁에 참전했다.

3.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에 니콜라예프 참모학교 장교과정을 수료한 방게르스키스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31군단 참모부의 장교, 제1 우스티 드비나 라튀시대대장으로 종군하며 1918년 3월까지 제17시베리아소총연대장을 지냈다.

4. 러시아 내전

러시아 내전 시기 알렉산드르 콜차크러시아국군에 합류한 방게르스키스는 1919년에 소장으로 진급해 1919년 3월부터 제8우핌군단장, 제6우핌군단장, 우핌집단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러나 적군에 밀려 퇴각한 그는 1920년 3월에 제3시베리아군단의 우핌소총사단장으로 있었지만 부대가 적군에게 격파당하자 몽골을 경유하여 하얼빈으로 달아났다. 그 후 블라디보스토크, 일본, 조선을 경유하여 상하이에 머무른 방게르스키스는 1921년에 일본의 기선인 야마토마루호를 타고 라트비아에 귀국했다.

5. 라트비아군

방게르스키스는 독립한 라트비아군에 입대해 1924년 2월부터 제1크루제메사단장, 1924년 12월부터 1925년까지, 그리고 1928년 1월부터 3월까지 라트비아 전쟁장관을 지냈으며 이후 1937년 퇴역하기 전까지 여러 사단을 전전했다.

6. 제2차 세계 대전

퇴역 후 타일제조회사에서 일한 방게르스키스는 라트비아가 소련에 합병되자 나치 독일로 달아나 나치에 협력했다.
파일:방겔스키스2.jpg
라트비아 의용군단 총감 방게르스키스
1943년 3월부터 친위대 소장으로 SS 라트비아 의용군단 총감으로 취임한 방게르스키스는 라트비아의 유대인 학살에 관여하기도 했다. 1945년 2월 20일부터 6월 1일까지 그는 포츠담에서 라트비아 국가위원회의 위원장을 지냈는데 6월 21일 영국군에게 체포되었다.

7. 전후 행적

여러 수용소를 전전하며 억류되었던 방게르스키스는 1945년 11월 20일에 라트비아인 포로수용소에 수용되었다가 12월 25일에 석방되었다. 풀려난 방게르스키스는 소련에 인도되지 않아 그는 서독에 거주했는데 1958년에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였다. 사후인 1995년 3월 16일에서야 방게르스키스의 유해는 조국인 라트비아 수도 리가에 이장되었다.

8.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