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01:14:41

라파엘레 팔라디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4890> 파일:세리에 A 로고.svg세리에 A
구단별 감독 (2024-2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안토니오
콘테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마르코
바로니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루카
고티

파일:US 레체 로고.svg
다니엘레
데 로시

파일:AS 로마 로고.svg
알레산드로
네스타

파일:AC 몬차 로고.svg
파울루
폰세카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올로
자네티

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
빈첸초
이탈리아노

파일:볼로냐 FC 1909 엠블럼.svg
세스크
파브레가스

파일:코모 1907 로고.svg
파비오
페키아

파일:파르마 FC 로고.svg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다비데
니콜라

파일:엠폴리 FC 로고.svg
파비오
칸나바로

파일:우디네세 칼초 엠블럼.svg
티아고
모타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시모네
인자기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알베르토
질라르디노

파일:제노아 CFC 엠블럼 (2023).svg
공석
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
파올로
바놀리

파일:토리노 FC 엠블럼.svg
에우세비오
디 프란체스코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
라파엘레
팔라디노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세리에 B 구단별 감독 ▶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라파엘레 팔라디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77대
}}} ||
ACF 피오렌티나
ACF Fiorentina S.p.A.
파일:Pa4l.jpg
<colbgcolor=#5A318C> 이름 라파엘레 팔라디노
Raffaele Palladino
출생 <colbgcolor=#fff,#191919>1984년 4월 17일 ([age(1984-04-17)]세)
이탈리아 캄파니아나폴리
국적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2cm / 체중 68kg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1]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5A318C,#191919> 선수 베네벤토 칼초 (1996~2002 / 유스)
유벤투스 FC (2002~2004 / 유스)
베네벤토 칼초 (2001~2002)
유벤투스 FC (2004~2008)
US 살레르니타나 1919 (2004~2005 / 임대)
AS 리보르노 칼초 (2005~2006 / 임대)
제노아 CFC (2008~2011)
파르마 칼초 1913 (2011~2015)
FC 크로토네 (2015~2017)
제노아 CFC (2017~2018)
스페치아 칼초 (2018)
AC 몬차 (2019)
감독 AC 몬차 U15 (2020~2021)
AC 몬차 U19 (2021~2022)
AC 몬차 (2022~2024)
ACF 피오렌티나 (2024~ )
국가대표 3경기 0골 (이탈리아 / 2007~2009)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감독 경력5. 전술6. 여담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클럽 경력

캄파니아에서 태어나 고향팀 베네벤토에서 17세에 데뷔했고, 그의 재능을 눈여겨본 유벤투스가 그를 영입하나 기회를 받지 못하며 계속해서 21세 이하 팀에만 머무르다 살레르니타나와 리보르노 임대를 거친 뒤에야 유벤투스로 복귀한다. 이 해 유벤투스는 칼치오폴리 스캔들로 인해 2부리그로 강등된 상태였고, 오히려 팔라디노는 그 덕에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리그 데뷔전에서의 멀티골을 비롯해 트리에스티나를 상대로는 해트트릭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유벤투스의 최전방에는 이미 알레산드로 델피에로를 비롯해 다비드 트레제게가 버티고 있었고 유벤투스가 세리에 A로 승격한 이후에는 빈첸초 이아퀸타도 유벤투스로 이적하여 여러 국가대표급 공격수들이 즐비하였던 바람에 승격 이후에는 공격수로는 거의 뛰지 못하고 주로 파벨 네드베드의 백업 윙어로만 뛰며 많은 기회를 얻지 못했고, 2008년 7월 공동소유 형식으로 제노아로 이적한다. 제노아에서 08/09시즌 30경기 3골 7어시스트, 09/10시즌 30경기 4골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자신의 이름을 알린다. 2011년 겨울 이적시장에서 파르마로 이적했으나 첫해부터 무릎 부상으로 시즌 아웃을 당했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부상에 신음하며 하락세를 탔다.[2] 2015년 파르마가 파산하며 자유계약으로 풀린 뒤에는 크로토네와 계약했으며, 두 시즌 간 41경기 6득점을 기록했다. 2017년 제노아와 2018년 스페치아를 거쳤고 10개월을 무적 상태로 지내다 2019년 여름 이적시장에서 몬차로 이적했으나 부상 문제로 인해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10월 29일 몬차와 계약 해지 뒤 은퇴를 선언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연령별 대표팀을 차례로 거치며 2003년 19세 이하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의 주역이 되기도 했고, 유벤투스에서 뛰던 2007년에는 A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어 페로 제도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4. 감독 경력

2020-21 시즌에는 현역 시절 마지막 팀인 AC 몬차의 U-15 팀을 맡았고 2021-22 시즌부터 U-19 팀을 맡았다.

4.1. AC 몬차

조반니 스트로파 감독이 2022-23 시즌 시작 후 6전 1무 5패를 기록하여 팀이 최하위에 머물게 되자 2022년 9월 12일에 감독을 경질하고 후임 감독으로 AC 몬차에 취임했다. 나중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구단이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감독을 영입하지 못해 내부 승진을 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5일 뒤 AC 몬차 부임 첫 경기에서 유벤투스 FC를 잡으며 팀에게 110년 만에 1부 리그 첫승을 안겨줬다. 이후 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4월 이달의 감독으로도 선정되었다. 2023년 6월 2일, 1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 6월 1일, ACF 피오렌티나의 새로운 감독 부임설이 돌고 있다.

4.2. ACF 피오렌티나

2024년 6월 4일, ACF 피오렌티나의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계약 기간은 2+1년.

5. 전술

6. 여담


[1] 윙어, 세컨드 스트라이커, 이외에 최전방 스트라이커도 소화할 수 있다.[2] 여담으로 파르마로 이적할 때는 제노아가 팔라디노의 소유권을 파르마에게 넘겨 유벤투스와 파르마의 공동소유 방식으로 이적한 것인데 안토니오 콘테가 2011년 여름에 유벤투스 감독으로 부임할 때 팔라디노의 유벤투스 복귀설이 돌기도 했었으나 블라인드 옵션에서 파르마가 더 많은 이적료를 내며 완전한 파르마의 선수가 되며 결국 유벤투스 복귀는 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