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6:07:58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동해시/정치
, 태백시/정치
, 삼척시/정치
, 정선군/정치
,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춘천·철원·화천·양구 갑 춘천·철원·화천·양구 을 원주 갑 원주 을
허영 한기호 박정하 송기헌
강릉 동해·태백·삼척·정선 속초·인제·고성·양양 홍천·횡성·영월·평창
권성동 이철규 이양수 유상범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정선군
東海市·太白市·三陟市·旌善郡
Donghae–Taebaek–Samcheok–Jeongseon
}}}
파일:국회선거구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96,849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강원특별자치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해시 전역
천곡동, 송정동, 북삼동, 부곡동, 동호동, 발한동, 묵호동, 북평동, 망상동, 삼화동

태백시 전역
황지동, 황연동, 삼수동, 상장동, 문곡소도동, 장성동, 구문소동, 철암동

삼척시 전역
남양동, 성내동, 교동, 정라동 (舊 삼척시)
도계읍, 원덕읍, 근덕면, 하장면, 노곡면, 미로면, 가곡면, 신기면 (舊 삼척군)

정선군 전역
정선읍,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화암면, 남면, 여량면, 북평면, 임계면
신설년도 2020년
이전 선거구 동해시·삼척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철규

1. 개요2. 역대 국회의원 목록3.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rowcolor=#fff>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동해·삼척 (이철규)
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 (염동열)
동해·태백·삼척·정선 (이철규)
홍천·횡성·영월·평창 (유상범)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정선군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선거구이다. 3개의 시가 들어간 선거구는 이 곳이 유일하다.[1] 현재 국회의원은 전직 경찰 출신인 국민의힘 이철규 의원이다.

동해시·삼척시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에서 태백시정선군을 가져와서 구성한 선거구이다. 여담으로 태백시와 정선군 지역의 경우,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에 하나의 선거구로 통합되어 있었던 적이 있다. 이후로도 태백시와 정선군은 쭉 같은 선거구로 엮였다.

동해시를 제외하면 이 선거구 내에 있는 지역에서 KTX는 탈 수 없고 ITX-마음, 무궁화호만 이용 가능하며, 삼척시도 삼척역 등에 KTX가 다닐 예정이다. 또한 정선은 남부 지역만 탈 수 있고 북부 지역은 철도가 정선아리랑열차 밖에 없다. 선거구 내에 특목고는 마이스터고만 있다.

이 선거구에 들어간 4개의 시군이 MBC강원영동 출범 이전 과거 삼척MBC 방송 구역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또한 전국에서 석회석이 가장 많이 산출되면서 그 여파로 석회수 때문에 수질이 비교적 좋지 않은 '석회수 벨트'라는 공통점도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 다른 모든지역은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한번이라도 깃발을 꽂았지만 여기는 보수세가 가장 센 지역답게 민주당계 정당이 단 한번도 깃발을 꽂은 적이 없다. 심지어 춘천에서조차 2020년대에 최초로 민주당 국회의원을 배출할 정도였다는 걸 감안하면 여기가 얼마나 보수적인지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이다.

그나마 민주당 지지세가 있는 정선군을 제외한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나머지 세 곳은 왠만한 부울경을 뛰어넘는 서부경남~TK에 가까운 보수성향이 강할 정도로 민주당 입장에서 사실상 사지에 가깝다고 보면된다. 오죽하면 집권여당인 국민의힘22대 총선에서 정권심판론으로 역대급 참패한 불명예스러운 결과를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구는 여전히 보수정당이 건재함을 과시했다. 현역인 이철규 의원이 강원특별자치도 국민의힘 당선자 중 최고득표율인 61.22% 득표해 36.5%에 그친 더불어민주당 한호연 후보를 싱겁게 누르고 3선에 성공할 정도로 민주당 계열에 난공불락의 요새임을 보여줬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제21대 이철규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4년 5월 30일 ~

3. 선거 이력

3.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동해시 일원[동해], 태백시 일원[태백],
삼척시 일원[삼척], 정선군 일원[정선]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동완(金東完) 57,527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3.06% 낙선
2 이철규(李喆圭) 71,604 1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53.60% 당선
7 이도호(李道鎬) 1,151 5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86% 낙선
8 동다은(董多恩) 1,90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2% 낙선
9 장승호(張升豪) 1,404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5% 낙선
선거인 수 205,756 투표율
65.72%
투표 수 135,230
무효표 수 1,644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order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 21대 총선 강원 동해시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동완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20,493
(41.85%)
26,690
(54.51%)
- 6,197
(▼12.66)
49,535
(64.71%)
천곡동 42.60% 54.09% ▼11.49 62.68
송정동 39.08% 57.36% ▼18.28 63.02
북삼동 47.45% 49.50% ▼2.05 63.93
부곡동 37.33% 59.17% ▼21.84 62.24
동호동 34.65% 60.78% ▼26.13 62.46
발한동 31.22% 65.58% ▼34.36 61.55
묵호동 31.02% 65.35% ▼34.33 58.52
북평동 43.71% 53.59% ▼9.88 63.43
망상동 34.99% 60.47% ▼25.48 60.71
삼화동[6] 33.90% 63.09% ▼29.20 64.98
후보 김동완 이철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44.15% 42.33% △1.82
관외사전투표 51.66% 43.12% △8.54
재외투표 68.18% 31.81% △36.37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order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 21대 총선 강원 태백시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동완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10,029
(41.98%)
13,082
(54.77%)
- 3,053
(▼12.79)
24,171
(64.09%)
황지동 45.24% 51.64% ▼6.40 66.98
황연동 34.70% 62.26% ▼27.56 62.69
삼수동 41.80% 55.28% ▼13.48 56.49
상장동 47.02% 49.78% ▼2.76 59.12
문곡소도동 36.84% 60.13% ▼23.29 60.90
장성동 39.16% 58.65% ▼19.49 69.48
구문소동 32.84% 63.07% ▼30.23 66.14
철암동 30.47% 66.11% ▼35.64 65.02
후보 김동완 이철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39.28% 55.35% ▼16.07
관외사전투표 56.03% 38.51% △17.52
재외투표 80.00% 20.00% △60.00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order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 21대 총선 강원 삼척시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동완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17,373
(44.22%)
20,685
(52.66%)
- 3,312
(▼8.44)
39,729
(68.18%)
남양동 39.01% 58.21% ▼19.21 67.50
성내동 48.44% 48.71% ▼0.27 70.86
교동 54.25% 42.93% △11.31 68.09
정라동 42.40% 54.58% ▼12.18 58.13
도계읍 37.41% 60.51% ▼23.10 60.57
원덕읍 34.11% 63 01% ▼28.90 65.26
근덕면 35.62% 60.99% ▼25.37 68.87
하장면 39.68% 52.50% ▼12.82 67.86
노곡면 37.33% 59.82% ▼22.49 74.40
미로면 40.94% 55.66% ▼14.72 71.08
가곡면 34.45% 61.26% ▼26.80 71.11
신기면 55.46% 42.82% △12.63 74.60
후보 김동완 이철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36.28% 58.94% ▼22.66
관외사전투표 57.16% 37.43% △19.73
재외투표 85.00% 13.86% △71.32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order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 21대 총선 강원 정선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동완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9,632
(44.87%)
11,147
(51.93%)
- 1,515
(▼7.06)
21,795
(65.58%)
정선읍 47.72% 48.74% ▼1.02 64.73
고한읍 47.38% 49.88% ▼2.50 55.85
사북읍 43.83% 53.78% ▼9.95 61.12
신동읍 41.03% 55.84% ▼14.81 63.24
화암면 45.63% 52.59% ▼6.96 65.45
남면 44.96% 52.57% ▼7.61 64.54
여량면 38.59% 58.09% ▼19.50 70.29
북평면 41.94% 54.34% ▼12.39 65.62
임계면 35.14% 62.03% ▼26.88 66.64
후보 김동완 이철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40.00% 52.22% ▼12.22
관외사전투표 56.24% 38.57% △17.67
재외투표 61.53% 38.46% △23.08
김동완 전 검찰공무원과 이철규 대결로 펼치게 되어 예상대로 이철규 후보가 10.54%p 차이로 낙승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오묘하게도 자신의 고향에선 둘 다 최고 득표율을 받지 못하고 한끗 차이로 득표율 2위를 기록했다.

3.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동해시 일원[동해], 태백시 일원[태백],
삼척시 일원[삼척], 정선군 일원[정선]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한호연(韓皓淵) 46,674 2위

파일:zsdkl3gasdg.svg
36.48% 낙선
2 이철규(李喆圭) 78,325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1.22% 당선
7 류성호(柳成昊) 2,932 3위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2.29% 낙선
선거인 수 196,849 투표율
65.81%
투표 수 129,564
무효표 수 1,633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 22대 총선 강원 동해시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한호연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18,496
(38.76%)
28,152
(59.00%)
-9,656
(▼20.24)
48,400
(63.43%)
천곡동 38.21% 59.65% ▼21.44 60.65
송정동 32.80% 64.69% ▼31.89 61.81
북삼동 42.76% 55.20% ▼12.44 59.68
부곡동 35.97% 61.77% ▼25.80 64.00
동호동 34.41% 63.82% ▼29.41 62.62
발한동 28.79% 69.26% ▼40.47 65.43
묵호동 29.85% 68.73% ▼38.88 60.16
북평동 39.20% 58.54% ▼19.34 61.32
망상동 32.52% 65.91% ▼33.39 61.31
삼화동[11] 30.21% 68.39% ▼38.18 68.29
후보 한호연 이철규 격차
거소투표 43.12% 48.43% ▼5.31
관외사전투표 54.03% 42.54% △11.49
재외투표 61.43% 35.71% △25.72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 22대 총선 강원 태백시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한호연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7,884
(35.43%)
13,546
(60.88%)
-5,662
(▼25.45)
22,473
(66.31)
황지동 37.23% 58.79% ▼21.56 64.52
황연동 29.21% 67.08% ▼37.87 68.55
삼수동 34.52% 61.71% ▼27.19 59.65
상장동 40.91% 55.41% ▼14.50 59.75
문곡소도동 32.61% 64.31% ▼31.70 65.14
장성동 30.49% 66.58% ▼36.09 71.73
구문소동 27.27% 69.99% ▼42.72 69.07
철암동 24.49% 71.95% ▼47.46 68.59
후보 한호연 이철규 격차
거소투표 36.08% 60.83% ▼24.75
관외사전투표 48.16% 46.71% △1.45
재외투표 78.79% 12.12% △66.67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 22대 총선 강원 삼척시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한호연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12,739
(34.28%)
23,703
(63.79%)
-10,964
(▼29.51)
37,631
(67.57%)
남양동 28.71% 69.66% ▼40.95 67.42
성내동 37.83% 60.40% ▼22.57 70.65
교동[12] 43.00% 54.81% ▼11.81 63.40
정라동 32.50% 65.75% ▼33.25 54.93
도계읍[13] 27.47% 70.84% ▼43.37 62.34
원덕읍 26.75% 71.30% ▼44.55 67.87
근덕면 26.50% 71.98% ▼45.48 69.94
하장면 23.61% 74.80% ▼51.19 71.79
노곡면 27.67% 70.70% ▼43.03 76.36
미로면 26.75% 71.08% ▼44.33 68.94
가곡면 23.80% 75.33% ▼51.53 77.20
신기면 32.73% 66.14% ▼33.41 73.52
후보 한호연 이철규 격차
거소투표 31.39% 67.15% ▼35.76
관외사전투표 49.14% 47.86% △1.28
재외투표 70.73% 21.95% △48.78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 22대 총선 강원 정선군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한호연 이철규
득표수
(득표율)
7,555
(36.30%)
12,924
(62.09%)
-5,369
(▼25.79)
21,060
(68.00%)
정선읍 37.44% 60.77% ▼23.33 66.82
고한읍[14] 38.33% 60.51% ▼22.18 60.10
사북읍[15] 33.99% 64.99% ▼31.00 61.45
신동읍 35.87% 62.52% ▼26.65 69.49
화암면 32.89% 65.77% ▼32.88 68.17
남면 34.98% 63.16% ▼28.18 62.88
여량면 27.62% 71.39% ▼43.77 74.59
북평면 34.17% 63.90% ▼29.73 68.15
임계면 28.64% 70.67% ▼42.03 68.31
후보 한호연 이철규 격차
거소투표 35.80% 60.49% ▼24.69
관외사전투표 52.78% 44.04% △8.74
재외투표 80.00% 12.00% △68.00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colbgcolor=#eee,#353535> 후보 한호연 이철규 격차
전체 40.2% 56.5% 16.3%p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 국민의힘 이철규 후보 56.5% vs 민주당 한호연 후보 40.2%로 나왔지만 오히려 출구조사를 훨씬 뛰어넘어 이철규 의원이 61.22%라는 압도적 득표율로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3선에 성공한 골수 친윤인 이철규 의원이 자신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유권자들에게 낙인이 찍혔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득표수와 득표율을 지난 총선에 비해 모두 싱겁게 올리며 낙승했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16] 아무래도 지역구 관리를 착실하게 한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는데, 청량리발 동해행 KTX 열차를 평일 왕복 2회분 증차시키고[17], 청량리발 동해행 ITX 마음 열차를 청량리역에서 원주역까지 무정차로 운행시켜 태백역까지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해서 지역민들에게 호감을 샀다.[18]

[1] 그만큼 세 도시의 규모가 영세하기 때문이다. 이 중 동해시를 제외하고는 과거 탄광 산업으로 흥했다가 폐광하면서 몰락했다는 공통점이 있다.[동해] 천곡동, 송정동, 북삼동, 부곡동, 동호동, 발한동, 묵호동, 북평동, 망상동, 삼화동[태백] 황지동, 황연동, 삼수동, 상장동, 문곡소도동, 장성동, 구문소동, 철암동[삼척] 남양동, 성내동, 교동, 정라동 (舊 삼척시)
도계읍, 원덕읍, 근덕면, 하장면, 노곡면, 미로면, 가곡면, 신기면 (舊 삼척군)
[정선] 정선읍,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화암면, 남면, 여량면, 북평면, 임계면[6] 이철규 후보의 고향[동해] 천곡동, 송정동, 북삼동, 부곡동, 동호동, 발한동, 묵호동, 북평동, 망상동, 삼화동[태백] 황지동, 황연동, 삼수동, 상장동, 문곡소도동, 장성동, 구문소동, 철암동[삼척] 남양동, 성내동, 교동, 정라동 (舊 삼척시)
도계읍, 원덕읍, 근덕면, 하장면, 노곡면, 미로면, 가곡면, 신기면 (舊 삼척군)
[정선] 정선읍,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화암면, 남면, 여량면, 북평면, 임계면[11] 이철규 후보의 고향[12]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가 있는 동네[13]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가 있는 동네[14] 하이원리조트가 있는 동네[15] 강원랜드가 있는 동네[16] 실제로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가 국민의힘 대표 시절에 징계 이후로 기자회견에서 윤핵관으로 언급할 정도로 증오했다. 하지만 제3지대 후보로 출마해서 경기 화성시 을에 당선 이변을 일으킨 이준석 입장에서는 어쨌든 22대 국회에 같이 일하게 되었으니 상당히 불쾌해질 수 있다.[17] 동해에서 청량리로 가는 KTX 첫 열차가 7시 15분이며, 청량리에서 동해로 가는 KTX 마지막 열차가 22시 25분으로 왕복 2회 증편되어 편의성이 증대되었다.[18] 실제로 한때 이철규 의원을 컷오프한다는 소문이 돌았을 때 지역지 쪽에서는 반발하는 여론이 있을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