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2:30:02

동티모르 센타부

동남아시아의 통화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라오스 킵 캄보디아 리엘 베트남 동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말레이시아 링깃 싱가포르 달러 브루나이 달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인도네시아 루피아 태국 바트 필리핀 페소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연방준비제도 휘장.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미얀마 짯 미국 달러(동티모르 센타부)

Centavo de Timor-Leste (포르투갈어)
Doit Timór-Leste nian (테툼어)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

1. 개요

동티모르의 보조 화폐단위.

2002년 독립한 뒤 2003년부터 UN의 지침에 따라 자국 고유의 화폐를 도입했는데, 독립과 별개로 동티모르가 자체가 워낙에 빈국이다 보니[1] 표면상으론 페그제를 사용하나 실질적으로 미국 달러를 통화로 사용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예방, 버티고 있으며 따라서 ISO 4217 코드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명칭이 "센트"가 아니라 "센타부"로 명명하게 된 이유는, 과거 식민지 시절의 통화 포르투갈령 티모르 에스쿠도의 영향이기도 하거니와, 이 동전 자체가 포르투갈 조폐소(Imprensa Nacional-Casa da Moneda)에서 생산되고 있기 때문.

2. 상세

처음에는 1, 5, 10, 25, 50센타부 5종이었으나 2013년에 100센타부, 2017년에 200센타부가 추가됨으로써 현재는 총 7종.

또 각각 1달러, 2달러의 가치에 해당되는 100, 200센타부화의 경우 빈번하게 쓰여서 낡아 험해진 저액권 달러 지폐의 교체 비용을 줄일 목적으로 발행되었다.

파일:East Timor Centavo.jpg

3. 둘러보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000 20%, #ffc726 10%, #ffc726 30%, #dc241f 15%, #dc241f 8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c241f>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마자파힛 제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
외교 외교 전반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 동티모르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미국 달러(동티모르 센타부)
국방 동티모르군
문화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 · 포르투갈어 · 테툼어
인물 조제 하무스오르타
지리 딜리 · 티모르 섬
}}}}}}}}} ||}}}


[1] 일부 관광지를 제외하고선 50센타부만 하더라도 푼돈이 아니라 확실히 으로 인식하고 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