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6:58:16

동구(인천광역시)/정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구(인천광역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동구·미추홀구 갑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9c1>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남동구/정치|파일:남동구 CI.svg
시청
남동구]]
파일:부평구 CI.svg
부평구
파일:계양구 CI.svg
계양구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서구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


1. 선거구 정보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동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rowcolor=#ffffff> 구분 선거구명 지역
<colbgcolor=#229331><colcolor=#ffffff> 국회의원 동구·미추홀구 갑 동구 전역 + 미추홀구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시의원 동구 동구 전역

1.1. 구의회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인천광역시 동구의회⠀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구청장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3석
재적
7석
}}}}}}}}}

2. 지역 특징

중구, 미추홀구와 같이 인천의 구도심 지역으로 보수 성향이 우세한 지역이다. 국회의원 선거는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중구와 함께 선거구가 묶였으나, 영종하늘도시 인구 증가로 인해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미추홀구와 엮였다. 시의원도 1석만 배정되어 동구 전체가 한 선거구로 묶여 있다.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현행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딱 두 차례만 빼고[1] 줄곧 보수정당 후보가 이 지역에서 당선됐다. 이유는 실향민 후손과 노년층의 비중이 높은 데다, 옹진군, 강화군 등 경상도 못지 않게 보수세력 지지도가 높은 지역과 국회의원을 같이 뽑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시에 남동구와 같이 진보정당세가 강한 지역이기도 한데, 실제로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야권 단일후보인 민주노동당조택상[2] 후보가 구청장으로 당선된 적이 있다. 물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약 8% 차이로 새누리당 이흥수 후보에게 석패해서 다시 보수에게 뺏겼지만, 진보세는 어디가지 않는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정의당으로 당적이 바뀐 조택상 후보가 이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다.[3] 박근혜 탄핵 이후 재보궐선거로 치러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홍준표 후보에 11.37%차로 압승을 거두면서 민주당 역사상 가장 큰 차이로 인천 동구에서 승리를 했다. 인천 보수의 핵이었던 동구가 이웃 중구, 미추홀구와 함께 무너지면서 인천 도시권은 전부 문재인의 손을 들어주는 기현상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도 재개발 지구/구도심 지구의 격차가 급격히 났다. 구도심이지만 몇몇 지구에 한해서 재개발이 이뤄진 만석동의 비치타운, 송현1·2동의 솔빛주공, 송림3·5동과 4동의 주공휴먼시아, 송림6동의 풍림아파트의 힘으로 이들 동네에선 문재인 후보가 40% 가까운 득표율을 올리면서 격차를 10~20% 가까이 벌렸지만, 재개발이 된 구역이 없었던 화평동, 송림1동, 송림2동, 금창동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이기거나 문재인 후보와 1~2% 격차로 따라붙는 결과를 냈다. 결과적으로 단독주택이냐 아파트단지냐에 따라 보수/진보성향이 급격하게 갈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1대 총선에선 마침내 동구·미추홀구 갑에 민주당 후보가 당선됨으로써 10년 만에 동구에 非보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역대 동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중구·동구
13대 [include(틀:민주정의당)] 서정화 재선
14대 [include(틀:민주자유당)] 3선
중구·동구·옹진군
15대 [include(틀:신한국당)] 서정화 4선
16대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서상섭 초선
17대 [include(틀:열린우리당)] 한광원 초선
18대 [include(틀:한나라당)] 박상은 초선
19대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재선[4][5]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20대 [include(틀:무소속)] 안상수 3선
동구·미추홀구 갑
21대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허종식 초선
22대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재선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29331><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역대 동구청장 선거 결과 ||
1995 1998 2002 2006 2010
[include(틀:민주자유당)]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include(틀:한나라당)] [include(틀:민주노동당)]
김창수 이화용 조택상
2014 2018 202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include(틀:국민의힘)]
이흥수 허인환 김찬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창수 39.97%

2위: 박형칠 29.32%
3위: 이성웅 21.49%
1998년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창수 100.00%[6]
2002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화용 51.63%

2위: 김창수 48.36%
2006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화용 56.31%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허인환 15.68%
3위: 윤대영 14.22%
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문성진 13.77%
2010년 1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조택상 41.52%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흥수 38.9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환섭 19.47%
2014년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흥수 47.82%

2위: 조택상 39.8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전용철 12.36%
2018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허인환 60.41%

2위: 이흥수 39.58%
2022년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찬진 48.50%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남궁형 45.05%
}}}}}}}}}

3.1. 지방선거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1.1. 인천광역시장
동구
동구 일원[인천동구]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 박남춘 유정복 문병호 김응호
득표수 17,288 14,655 895 1,175
득표율 50.82% 43.08% 2.63% 3.45%
순위 1위 2위 4위 3위
선거인 수 57,559
투표 수 34,757
무효표 수 744
투표율 60.38%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인천 강화군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박남춘 유정복 문병호 김응호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972
(38.85%)
21,723
(56.37%)
1,080
(2.80%)
757
(1.96%)
-6,751
(▼17.52)
65.74%
강화읍 41.46% 54.83% 2.28% 1.43% ▼13.37 62.16
선원면 39.95% 55.68% 2.71% 1.65% ▼15.73 62.77
불은면 35.27% 59.76% 2.97% 2.0% ▼24.49 59.72
길상면 34.44% 60.93% 2.62% 2.01% ▼26.49 60.51
화도면 34.19% 60.60% 3.06% 2.15% ▼26.41 61.59
양도면 39.49% 55.74% 2.67% 2.10% ▼16.25 60.83
내가면 32.55% 61.70% 3.23% 2.52% ▼29.15 67.38
하점면 32.48% 63.51% 1.93% 2.08% ▼31.03 60.54
양사면 32.85% 60.69% 3.33% 3.13% ▼27.84 65.56
송해면 33.57% 61.17% 2.90% 2.36% ▼27.60 64.60
교동면 34.05% 61.74% 2.32% 1.89% ▼27.69 68.03
삼산면 28.43% 66.69% 2.78% 2.10% ▼38.26 65.60
서도면 20.27% 73.33% 2.67% 3.73% 53.06 71.35
후보 박남춘 유정복 문병호 김응호 격차
거소·선상투표 39.04% 41.71% 8.56% 10.69% 2.67[8]
관외사전투표 52.53% 41.29% 4.08% 2.09% 11.24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8회 지선 동구 개표 결과
인천광역시장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투표율
후보 박남춘 유정복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592
(40.80%)
15,595
(54.90%)
- 4,003
(▼14.09)
28,942
(54.88%)
만석동[A] 42.72% 53.07% ▼10.34 51.24
화수1·화평동[B] 36.43% 58.78% ▼22.35 52.79
화수2동[C] 38.30% 57.60% ▼19.29 52.30
송현1·2동 41.24% 53.72% ▼12.47 56.90
송현3동[D] 35.94% 59.29% ▼23.35 52.23
송림1동 34.05% 63.91% ▼29.86 54.60
송림2동 35.77% 60.82% ▼25.06 56.06
송림3·5동 42.33% 54.04% ▼11.71 51.77
송림4동 46.65% 49.01% ▼2.36 48.90
송림6동 43.07% 53.36% ▼10.29 50.44
금창동[E] 36.46% 59.66% ▼23.20 53.91
후보 박남춘 유정복 격차
거소·선상투표 56.75% 43.24% △13.51
관외사전투표 46.06% 48.65% ▼2.59
국회의원
선거구
박남춘 유정복 격차 투표율
동·미추홀 갑[F][15] 42.10% 54.40% ▼12.30 43.80
동구청장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투표율
후보 남궁형 김찬진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729
(45.05%)
13,705
(48.50%)
- 976
(▼3.45)
28,942
(54.88%)
만석동[A] 45.91% 48.27% ▼2.36 51.22
화수1·화평동[B] 39.38% 52.75% ▼13.37 52.77
화수2동[C] 41.65% 50.55% ▼8.90 52.30
송현1·2동 46.42% 47.24% ▼0.82 56.92
송현3동[D] 41.03% 51.10% ▼10.06 52.23
송림1동 39.58% 53.66% ▼14.08 54.60
송림2동 41.36% 51.08% ▼9.72 56.02
송림3·5동 47.40% 46.31% △1.09 51.77
송림4동 51.84% 43.65% △8.18 48.88
송림6동 46.80% 47.46% ▼0.66 50.44
금창동[E] 40.14% 52.32% ▼12.18 53.91
후보 남궁형 김찬진 격차
거소·선상투표 51.42% 45.71% △5.71
관외사전투표 49.69% 45.72% △3.97

3.2. 대선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

동구
인천 동구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후보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득표수 35,504 22,015 15,378 6,545
득표율 44.62% 27.66% 19.32% 8.22%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90,173
투표 수 81,198
무효표 수 1,630
투표율 90.05%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

동구
인천 동구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후보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득표수 26,045 17,906 13,269 4,828
득표율 41.08% 28.24% 20.93% 7.61%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78,445
투표 수 64,421
무효표 수 1,026
투표율 82.12%
옹진군
옹진군 일원[A]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후보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득표수 6,546 1,748 2,180 504
득표율 58.43% 15.60% 19.45% 4.49%
순위 1위 3위 2위 4위
선거인 수 14,096
투표 수 11,529
무효표 수 326
투표율 81.79%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

동구
인천 동구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
득표수 19,746 18,516 13,119
득표율 37.37% 35.04% 24.83%
순위 1위 2위 3위
선거인 수 67,366
투표 수 53,747
무효표 수 917
투표율 79.78%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

동구
인천 동구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이회창 노무현 권영길
득표수 18,300 17,552 2,191
득표율 47.70% 45.75% 5.71%
순위 1위 2위 3위
선거인 수 56,412
투표 수 38,745
무효표 수 385
투표율 68.68%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

동구
인천 동구 일원
정당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후보 정동영 이명박 권영길 문국현 이회창
득표수 8,265 17,655 1,597 2,497 6,343
득표율 22.40% 47.86% 4.32% 6.76% 17.19%
순위 2위 1위 5위 4위 3위
선거인 수 59,570
투표 수 37,098
무효표 수 213
투표율 62.28%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

동구
인천 동구 일원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25,911 20,584
득표율 55.50% 44.09%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62,787
투표 수 46,837
무효표 수 157
투표율 74.60%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

동구
인천 동구 일원[인천동구]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16,501 11,446 10,479 2,484 3,296
득표율 37.10% 25.73% 23.56% 5.58% 7.41%
순위 1위 2위 3위 5위 4위
선거인 수 59,362
투표 수 44,672
무효표 수 197
투표율 75.25%
19대 대선 인천 동구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501
(37.10%)
11,446
(25.73%)
10,479
(23.56%)
2,484
(5.58%)
3,296
(7.41%)
+5,055
(△11.37)
75.25%
만석동 36.38% 24.16% 25.71% 5.08% 8.06% △10.67 73.16
화수1·화평동 32.84% 30.90% 23.16% 5.17% 7.61% △1.94 70.79
화수2동 34.07% 27.71% 24.22% 5.66% 7.75% △6.36 74.25
송현1·2동 39.87% 23.79% 22.0% 6.16% 7.75% 16.08 77.79
송현3동 33.64% 27.03% 26.06% 5.84% 6.70% △6.61 71.78
송림1동 31.72% 32.91% 22.38% 6.12% 5.49% ▼1.19 69.56
송림2동 30.66% 33.95% 25.08% 3.91% 5.67% 3.29 69.65
송림3·5동 37.82% 25.30% 24.0% 5.17% 7.02% △12.52 72.84
송림4동 38.74% 23.34% 24.24% 6.20% 6.61% △14.50 75.56
송림6동 39.70% 23.91% 23.0% 5.50% 7.47% △15.79 74.43
금창동 32.64% 33.71% 22.94% 4.14% 5.89% ▼1.07 70.0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 35.54% 18.34% 31.45% 6.35% 3.53% △4.09
관외사전투표 41.38% 21.0% 21.27% 7.45% 8.28% △20.11
재외투표 62.33% 8.47% 13.49% 3.81% 10.98% 48.84
국회의원 선거구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투표율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23][24] 35.32% 29.40% 22.45% 5.70% 6.44% △5.92 74.23%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

20대 대선 동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9,195
(47.30%)
19,661
(48.45%)
- 466
(▼1.15)
40,918
(75.90%)
만석동[A] 49.42% 46.14% △3.29 72.65
화수1·화평동[B] 45.62% 50.58% ▼4.96 73.33
화수2동[C] 44.95% 50.65% ▼5.70 71.78
송현1·2동 48.26% 47.46% △0.80 78.73
송현3동[D] 44.76% 51.03% ▼6.27 72.63
송림1동 42.05% 54.87% ▼12.82 74.00
송림2동 41.71% 54.66% ▼12.95 72.34
송림3·5동 47.38% 48.42% ▼1.04 72.37
송림4동 51.81% 44.05% △7.76 75.29
송림6동 48.15% 47.49% △0.66 74.26
금창동[E] 42.76% 52.93% ▼10.17 71.15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거소·선상투표 48.48% 45.45% △3.03
관외사전투표 49.32% 45.83% △3.49
재외투표 65.89% 28.68% △37.21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동·미추홀 갑[F][31] 47.52% 48.21% ▼0.68 69.54

3.3. 총선

3.3.1. 중구·동구

3.3.2. 중구·동구·옹진군

3.3.3.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3.3.4. 동구·미추홀구 갑

21대 총선 동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구·미추홀구 갑)[a]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정의당 격차 투표율
후보 허종식 전희경 문영미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063
(47.52%)
15,767
(43.91%)
2,687
(7.48%)
+ 1,296
(△3.61)
36,365
(65.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만석동[A] 50.68% 41.88% 6.38% △8.80 62.68
화수1·화평동[B] 44.03% 47.20% 7.55% ▼3.17 63.14
화수2동[C] 45.02% 46.60% 7.40% ▼1.58 62.33
송현1·2동 49.34% 41.92% 7.86% △7.41 67.17
송현3동[D] 42.61% 48.84% 7.53% ▼6.23 61.73
송림1동 41.62% 51.69% 5.91% ▼10.08 62.57
송림2동 41.98% 51.43% 5.04% ▼9.45 63.33
송림3·5동 48.35% 43.19% 7.56% △5.16 62.85
송림4동 48.52% 41.72% 8.78% △6.79 64.46
송림6동 48.17% 42.52% 8.40% △5.65 62.39
금창동[E] 43.74% 48.68% 6.22% ▼4.94 63.08
후보 허종식 전희경 문영미 격차
거소·선상투표 42.50% 45.00% 6.25% ▼2.50
관외사전투표 56.08% 33.15% 9.00% △22.93
재외투표 81.08% 18.91% 0 △45.80
}}}}}} ||

3.3.5. 비례대표

3.3.5.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2,185
(35.40%)
11,091
(32.23%)
4,528
(13.15%)
1,747
(5.07%)
1,419
(4.12%)
+ 1,094
(△3.18)
36,367
(65.1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만석동[A] 32.67% 34.48% 12.51% 4.93% 4.29% ▼1.81 62.66
화수1·화평동[B] 38.14% 30.37% 12.12% 4.79% 3.90% △7.77 63.16
화수2동[C] 38.90% 30.44% 13.31% 4.43% 3.27% △8.46 62.35
송현1·2동 33.74% 33.35% 14.38% 5.17% 4.59% △0.39 67.17
송현3동[D] 39.32% 27.93% 12.63% 5.48% 4.07% △11.38 61.73
송림1동 42.03% 26.80% 10.65% 4.12% 5.26% △15.23 62.57
송림2동 43.40% 29.78% 9.84% 3.70% 2.97% △13.62 63.36
송림3·5동 33.77% 33.32% 12.72% 5.80% 4.31% △0.45 62.86
송림4동 33.87% 32.63% 15.38% 5.36% 3.73% △1.25 64.49
송림6동 34.41% 34.74% 13.23% 5.47% 3.87% ▼0.34 62.39
금창동[E] 39.64% 29.44% 12.31% 4.16% 2.81% △10.21 63.08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거소·선상투표 38.23% 22.05% 13.12% 4.41% 1.47% △16.17
관외사전투표 26.26% 34.81% 15.10% 6.06% 7.21% ▼5.94
재외투표 10.81% 54.05% 13.51% 2.70% 13.51% ▼40.54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당시 탄핵 정국의 여파로 열린우리당 한광원 후보가 당선됐다.[2]더불어민주당 중구·강화군·옹진군 당협위원장[3] 옆동네인 중구에선 2위로 선전했지만, 강화군에서 안상수 몰표가 쏟아져서 3위로 낙선했다.[4] 15.12.24. 의원직 상실 (정치자금법 위반).[5]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6]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인천동구] [8]5표 차였다.[A] 동일방직이 있는 동네[B] 법정동 화수동(일부) + 화평동[C] HD현대인프라코어 본사가 있는 동네[D] 현대제철, 동국제강 인천공장이 있는 동네[E] 곡동 + 영동[F] 동구 전역 +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15] 지역구 국회의원 :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초선)[A] [B] [C] [D] [E] [A] [인천동구] [23]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안상수[24] 관할 동 : 중구 전체, 동구 전체, 강화군 전체, 옹진군 전체[A] [B] [C] [D] [E] [F] [31] 지역구 국회의원 :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초선)[a] 미추홀구 일부와 선거구가 같이 묶인 관계로, 해당 지역 내에서의 표만 계산함[A] [B] [C] [D] [E] [A] [B] [C] [D]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