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8:37:44

대한민국 군사정권

<colbgcolor=#000><colcolor=#fff> 대한민국 군사정권
大韓民國 軍事政府 | Military government of South Korea
1961년 5월 16일 ~ 1993년 2월 24일
출범 이전 종식 이후
장면 내각 문민정부
대통령 박정희 ,/ 제5-9대,
최규하 ,/ 제10대,
전두환 ,/ 제11-12대,
노태우 ,/ 제13대,
국무총리 최두선 ,/ 제8대 (1963.12.17.~1964.5.9.),
정일권 ,/ 제9대 (1964.5.10.~1970.12.20.)[외무],
백두진 ,/ 제10대 (1970.12.21.~1971.6.3.),
김종필 ,/ 제11대 (1971.6.4.~1975.12.18.),
최규하 ,/ 제12대 (1976.3.13.~1979.12.12.),
신현확 ,/ 제13대 (1979.12.13.~1980.5.21.),
남덕우 ,/ 제14대 (1980.9.22.~1982.1.3.),
유창순 ,/ 제15대 (1982.1.23.~1982.6.24.),
김상협 ,/ 제16대 (1982.9.21.~1983.10.14.),
진의종 ,/ 제17대 (1983.10.17.~1985.2.18.),
노신영 ,/ 제18대 (1985.5.16.~1987.5.25.),
김정렬 ,/ 제19대 (1987.8.7.~1988.2.24.),
이현재 ,/ 제20대 (1988.3.2.~1988.12.4.),
강영훈 ,/ 제21대 (1988.12.16.~1990.12.26.),
노재봉 ,/ 제22대 (1991.1.23.~1991.5.23.),
정원식 ,/ 제23대 (1991.7.8.~1992.10.7.),
현승종 ,/ 제24대 (1992.10.8.~1993.2.24.),
여당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63.12.17.~1979.10.26.),
,(1981.1.15.~1990.1.22.),
,(1990.1.22.~1992.10.5.),
파일:5대박정희.jpg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박정희 취임 선서
파일:0104201711081752145301145012967.jpg
▲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최규하 취임 선서
파일:unnamed 전두환.jpg
▲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전두환 취임 선서
파일:0104201711091334457753831011653.jpg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 취임 선서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박정희 정부를 기점으로 문민정부 출범 이전까지 약 32년 간[2] 존재했던 군사정권. #

2. 상세

5.16 군사정변 세력은 국회를 해산하고 국가재건최고회의라는 통치기구를 설립하여 국가의 모든 권력을 장악하였다. 박정희1963년 10월 15일에 치러진 제5대 대통령 선거에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된 후 제6·7·8·9대 대통령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었다.

10.26 사건 이후에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이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12.12 군사반란으로 신군부가 군권을 장악하고 뒤이어 정권을 장악하기 위해 5.17 내란까지 일으키자 곧바로 광주에서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는데 이에 저항한 무수히 많은 무고한 광주 시민들이 희생되었다. 그리고 최규하 대통령이 신군부의 압박으로 인해 하야하면서 전두환이 제11-12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전두환 집권 말기에 6월 항쟁이 발발하면서 6.29 선언 발표와 대한민국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실시되었고 대한민국 제6공화국이 출범했지만 전두환의 후계자인 노태우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김대중 후보를 제치고 6공화국 첫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

군사정권은 1993년 비군인 출신인 김영삼이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종식되었다. 김영삼의 하나회 숙청 작업으로 군사정권 세력 주축이 와해되었고 약 30년간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전부 문민 출신으로 당선되었다.

군사정권의 종식이 언제인지는 논란이 있는데 노태우 정부는 군인 출신의 대통령이 구성한 정부이기는 하지만 민주화 이후 직선제를 통해 국민의 손으로 뽑힌 정부로써 독재정권이라 하기에는 힘들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전 군사정권의 입김이 완전히는 없었던 것은 아닌지라 개방적 혼합 체제로 평가되기도 한다.

보통 5.16 군사정변부터 문민정부 이전까지 29년 2개월 기간은 확실히 군사정권으로 간주되며 이 중 유신 정권-6월 항쟁기인 15년동안은 전체주의적 군사독재 기간으로 여겨진다.[3]

3. 관련 문서


[외무] 외무부장관 겸임.[2] 정확히는 31년 9달 8일이다.[3] 이승만 정부-유신 개헌 이전까지는 비자유민주주의에 가까웠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