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1:34:43

대표자



ootb & 9700 studio의 예능 프로그램
[ TV 예능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fac51c><tablebordercolor=#fac51c><width=25%>
파일:제로섬게임(예능) 로고(블랙).svg
||<width=25%>
||<width=25%>
||<width=25%>
||
[ 웹예능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fac51c><tablebordercolor=#fac51c><width=25%>
파일:전과자(웹예능) 로고.svg
||<width=25%>
파일:상팔자(웹예능) 로고 (블랙).svg
||<width=25%>
파일:대표자(웹예능) 로고 (블랙).svg
||<width=25%>
파일:전역자(웹예능) 로고 (블랙).svg
||
파일:무이자(웹예능) 로고.svg
파일:최애티처 로고 (블랙).svg
파일:세입자(웹예능) 로고 (블랙).svg
파일:후라이드(웹예능) 로고 (블랙).svg
<rowcolor=#FFF> 노란색: ootb STUDIO 제작 | 초록색: 9700 STUDIO 제작
[ 브랜디드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fac51c><tablebordercolor=#fac51c><width=25%>
파일:승진왕(웹예능) 로고 (블랙).svg
||<width=25%>
||<width=25%>
||<width=25%>
||

<colbgcolor=#03238C><colcolor=#efefef> 대표자
DAEPYOJA / Representatives
파일:대표자시즌2포스터.jpg
장르
웹예능, 토크쇼
채널
유튜브
방송 기간
시즌1 : 2023년 9월 12일~ 2023년 12월 26일(16부작)
시즌2 : 2024년 3월 26일~ 2024년 4월 30일 (6부작)
방영일
매주 화요일 오후 6시
제작사
오오티비
제작
이현숙
연출
고동완, 박요셉[1], 오주은, 박진원, 김지은, 문한나
작가
이민정, 고은비, 이도연
출연
시즌1
나선욱, 오킹, 유희관, 신규진, 강현석, 미르, 홍상표
시즌2
나선욱, 유희관, 신규진, 강현석, 미르, 홍상표, 남호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우승특권
3.1. 시즌 13.2. 시즌 2
4. 티저5. 포스터6. 출연
6.1. 이전 출연진6.2. 게스트
7. 방영목록8. 결과9. PPL
9.1. 시즌 19.2. 시즌 2
10. 이원 생중계 장소11. 여담

[clearfix]

1. 개요

상팔자의 후속으로 방영 중인 오오티비에서 제작한 웹예능 프로그램. 매주 화요일 오후 6시에 공개 되었다.

2. 상세

대한민국 최고의 지역을 가리기 위해
전과자보다 더 전과자 같은 7인이 모였다

살아본 자들만 알 수 있는 지역 꿀팁을 담은
2023 본격 지역 부심 배틀 토크쇼

매 주마다 특정 주제를 놓고 각 지역 대표들이 자기 지역에 낫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는 대결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참가자들이 가장 설득력이 좋았던 지역을 투표하고 가장 높은 득점을 얻은 지역의 대표자가 우승한다. 11화부터는 우승 방식이 바뀌었는데, 최대 3위까지 먼저 투표한 다음, 우승후보 3지역을 구독자가 다시한번 투표한다. 투표는 다음날 오후 3시까지 할 수 있으며, 오후 6시에 결과를 발표한다.[2]

본래 10부작이었으나 반응이 좋아 16부작으로 연장되었다. 그럼에도 회차를 더 늘려주라거나 시즌제로 하자는 반응이 많은 편. 재정비의 시간을 거친 후 2024년 3월 26일에 시즌 2가 방영된다. 참고로 전과자에 이어 시즌제로 방영된 예능이다.

시즌 2부터는 '이원생중계 시스템'을 새롭게 도입하여 시민들의 투표는 물론 인터뷰를 진행한다. 또한, 우승자 선정 방식도 변경되었다. 출연자들의 표 70% + 이원생중계 15% + 제작진의 표 15%로 반영된다.

하지만, 시민과의 토론이 생각보다 반응이 좋지 못한 편이다. 이원 생중계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멤버들의 케미가 줄어드는 건 물론 이원 생중계 장소가 서울에서만 진행하다보니 가장 나은 지역이 아닌 서울에 투표하는 경향이 높다. 이 때문에 제주나 강원도 같이 서울과 멀리 떨어진 지역이 상대적으로 소외된 경향이 있다.[3]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몰라도 3화, 5화에선 시민 인터뷰가 통편집되고 쿠키 영상으로 짤막하게 나왔다.

조회수가 시즌 1보다 떨어진데다가 소재의 한계가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방송이 재개된 지 6주만에 시즌 종영되고 후속작으로 세입자가 방영되었다.#

3. 우승특권

3.1. 시즌 1

우승 특권으로는 차후 자리 선정권[4]과 자신의 대표 지역의 메가MGC커피 할인 행사가 개최된다. 보통 12~17% 정도 일부 음료를 할인한다. 또한 6화부터는 우승하면 우승 상금을 추가로 얻게 된다. 또한 7화부터는 광고 모델이 된다.

할인한 음료는 다음과 같다. 3화를 보면 더 다양한 음료수가 할인하는데,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 메가리카노 - 16%(1화~ 10화)
  • 메가에이드 - 12%(1화~ 10화)
  • 코코넛커피스무디 - 12%(1화~ 10화)
  • 고흥유자하이볼에이드 - 13%(1화~ 6화)
  • 왕할메가커피 - 17%(1화 ~ 6화)
  • 슈크림허니퐁크러쉬 - 12% (1화 ~ 8화)
  • 청송 애플파이 프라페 - 12% (3화 ~ 7화)
  • 초코허니퐁크러쉬 - 12%(3화 ~ 10화)
  • 딸기허니퐁크러쉬 - 12%(6화)
  • 플레인허니퐁크러쉬 - 12%(6화)
  • 바나나허니퐁크러쉬 - 12%(6화)
  • 민트 프라페 - 12%(7화 ~8화)
  • 따끈따끈 간식 꾸러미 - 12%(9화 ~10화)
  • 와앙피자 보름달빵 - 8%(9화~10화)
  • 뚱크림약과쿠키 - 8%(9화~10화)
  • 큐브라떼 - 9%(9화~10화)

6화 한정으로 하니퐁크러쉬 계열들은 3종이 추가로 들어가고 전국 공동 할인 메뉴가 되었다. 9화에선 음료 뿐만 아니라 빵종류도 할인했다.

연장된 11화 부턴 우승 특권이 달라졌는데, 일단 더이상 메가MGC커피 할인 행사가 이뤄지지 않으며[5], 추첨을 통해 상품을 준다. 이 외의 우승 특권은 투표 방식이 달라짐에 따라 사실상 얻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3.2. 시즌 2

시즌2가 돌아오면서 제휴사가 롯데칠성음료, 롯데마트로 변경되면서 우승지역의 롯데마트에서 음료수를 할인하는 행사를 했다. 모든 회차에는 공용 상품이 있으며, 각 해당 회차 PPL 상품을 추가로 할인한다. 다만, 일부 자사 음료는 최대 50%[6] 할인 행사를 한다.

시즌2 할인 품목은 다음과 같다.
  • 공용 할인 상품
    • 칠성사이다 오리지널(500ml) - 33%
    • 밀키스 오리지널(500ml) - 33%
    • 델몬트 오렌지, 포도(400ml) - 33%
  • 당일 PPL 상품
    • 밀키스 제로 딸기&바나나제품(1인 3세트 제한) - 2+2 50% (1화)
    • 칸타타 콘트라베이스 블랙&샷(1인 3세트 제한) (2화)
    • 칠성 사이다 제로(1인 3세트 제한) (3화)
    • 트레비 토닉워너 제로 오리지널 (4화)
    • 탐스제로 파인애플 향 + 칠성사이다 제로 + 펩시 제로슈거(1인 3세트 제한) (5화)
    • 칠성사이다제로 그린플럼(수량 무제한) (6화)

4. 티저

<colbgcolor=#03238C><colcolor=#efefef>
대표자 티저

5. 포스터

파일:대표자시즌1포스터.png
파일:대표자시즌2포스터.jpg
시즌 1 시즌 2

6. 출연

파일:대표자(웹예능)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울
유희관
경인
(경기, 인천)
남호연
경상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
신규진
충청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나선욱
전라
(광주, 전남, 전북)
미르
강원
강현석
제주
홍상표
}}}}}}}}} ||
  • 남호연 (경인): 논란으로 하차한 오킹 대신 시즌 2에 새로 합류한 경인대표다.[7] 프로 내에선 홍상표 다음으로 최연장자다. 개그맨에다가 B급 청문회 진행을 맡아서 그런지 합류하자 마자 다른 멤버들과 잘 녹아들고 있다. B급 청문회에서도 그러듯 목소리가 가장 크다.[8]
  • 신규진 (경상): 사실상의 메인 MC로 그에 걸맞게 가운데 자리에 주로 앉은 편. [9] 다만, 메인 MC 포지션과는 무색하게도 매 시즌마다 한번 씩은 불참하고 있다. 참고로 시즌 2 내에선 나이 순[10]으로 따지면 네번째로 딱 중간이다. 주로 역사를 빗대어 말하는 경향이 있어 역사 아저씨로 통한다. 또한, 홍상표에겐 가려졌지만 이 쪽도 지역 사랑이 대단하다.
  • 유희관 (서울): 유일한 운동 선수 출신. 특유의 모히칸 헤어스타일이나 공속이 느린다는 등으로 놀림당한다.
  • 나선욱 (충청): 시즌 2에선 기존 막내가 논란으로 하차하게 되면서 새로운 막내가 되었다. 특이하게도 본인 지역인 충청보단 다른 지역을 더 잘 알고 있다. 종종 자기 부캐를 활용하기도 한다. 주로 성심당이나 외형으로 놀림받지만 시즌 2에선 코인으로도 놀림받았다.
  • 미르 (전라): 유일한 아이돌 출신이자 비주얼 멤버. 아이돌 출신임에도 다른 멤버들에게 꿀리지 않는 입담을 과시하고 있다. 매 회차마다 빠짐없이 게장드립과 장어드립을 자주 쳐서 다른 멤버들에게 놀림감을 많이 받았다.
  • 강현석 (강원): 지역과 머리색 때문에 감자로 불리고 있다. 또한, 주로 홍상표와 케미가 좋다.특자도 케미 주로 고기나 해산물을 잘 알고 있고 임연수 어원이나 도루묵의 어원 등 잡다한 지식을 상당히 알고 있다.
  • 홍상표[11] (제주): 프로 내의 최연장자로 주로 오른쪽 끝에 앉고 있다. 제주도가 우리나라 지역 내에선 가장 변방에 위치해 있다보니 다른 멤버들의 고정 먹이감은 물론, 전용 BGM도 있다. 또한, 대표자 출연진 중 지역 사랑이 가장 유별난데, 특유의 인사가 존재한다. 거기다가 텐션이 제일 좋아 혼자쇼 오바하기도 한다.

ootd 웹예능에선 고정 출연진이 가장 많이 출연한 프로다.[12] 1화때 등장 순서는 인구수 순이다. 또한 티저에서 나온 숫자는 각 지역의 지역번호를 의미한다.

6.1. 이전 출연진

  • 오킹 (경인)[13] : 시즌 1의 막내지만, 코인 논란으로 인해 하차했고 남호연으로 대체했다.

6.2. 게스트

  • 시즌1 5화 박영진 (경상) : 원래 경상도 대표자였던 신규진은 스케줄 문제로 불참했다.[14] 추가로 신규진은 경남인데 반해, 박영진은 경북이다.
  • 시즌1 12화 딕헌터 (충청) : 원래 충청도 대표자였던 나선욱의 스케줄 문제로 불참했다. 딕헌터도 마찬가지로 충청남도 출신이다.
  • 시즌2 3화 이선민 (경상) : 원래 경상도 대표자였던 신규진의 스케줄 문제로 불참. 이선민 역시 경북이다. 신규진이 하필이면 메인 MC라서 가운데 자리를 앉은 건 물론 출연하자마자 졸지에 프로를 진행을 맡게 되었다. 추가로 게스트 중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7. 방영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표자/방영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결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표자/결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PPL

9.1. 시즌 1

회차 제품 퀴즈 모델
3화 GS 25 하피볼 촬영장 내에 가까운 GS25의 거리가 몇 m인지 근사치 맞추기 신규진
4화 맨즈에이지 올인원 에센스 섬나라 피지의 인구는 몇 만인지 근사치 맞추기 나선욱
5화 메가 MCG 커피 강현석과 인스타 팔로워의 차이 근사치 맞추기 미르
6화 닥터비움 글루타치카 프레시 쿨가글액
고흥유자하이볼 에이드
구취 측정해서 가장 수치가 높은 사람과 수치 근사치 맞추기 유희관
홍상표
7화 스모어 블랙쿠키 프라페 - 오킹
8화 스노우 샹그리아 에이드 나선욱을 제외한 모든 멤버[15]
9화 간식 꾸러미 나선욱
10화 푸름웰니스 아르시닌 5000
스모어 카라멜쿠키 프라페
1분 정력 테스트 홍상표
강현석
11화 굽네 싱글세트 대표자 띠부띠부실 보물찾기 유희관
12화 삼대오백 야채정제 3종 세트 방귀의자뺏기 홍상표
13화 4세대 신상 맥주 KRUSH KRUSH 병 커팅면을 통해 앞에 있는 글자 많이 맞추기
14화 세븐나이츠 키우기 세븐나이츠 캐릭터 맞추기[16] 유희관
15화 노모어 피자 피자의 북한말은 뭔지?[17] 오킹
16화 리얼베리어 익스트림 크림 - 모든 멤버

* 3화부터는 시작 전 1분 PPL 광고 따는 퀴즈를 하기도 한다. 매 정해진 게임에 따라 모델을 정한다. 다만, 마지막 회차는 게임없이 모든 멤버들이 모델이 되었다.
  • 정답을 맞춘 사람에게 또다른 특권으로 광고비를 2배로 받는다.
  • 처음엔 평범한 퀴즈였으나, 입냄새 수치 맞추기, 수건뺏기, 보물찾기 등 보다 다양해진다.
  • 7~9화는 별도의 광고 퀴즈가 없다. 6화부터 10화까지는 우승자가 메가 커피에서 선정한 오늘의 음료 광고를 찍는다.
  • 유일하게 강현석은 시즌 1에선 혼자 PPL 광고를 못했지만[18] 시즌 2 3화에 가서야 처음으로 단독 PPL 광고를 찍게 되었다.

9.2. 시즌 2

회차 제품 모델
1화 밀키스 제로 딸기&바나나 나선욱
2화 칸타타 콘트라베이스 블랙&샷 신규진
3화 칠성 사이다 제로 강현석[19]
4화 트레비 토닉워너 제로 오리지널 유희관
5화 탐스제로 파인애플 향 + 칠성사이다 제로 + 펩시 제로슈거 미르
6화 칠성사이다제로 그린플럼 남호연&홍상표
  • 시즌 1과 달리 시즌 2에선 돌아가면서 모델을 맡는 것으로 보인다.
  • 2화를 제외하곤 제로 음료다.

10. 이원 생중계 장소

회차 장소
1화 신촌
2화 강남
3화 홍대 입구
4화 건대입구역
5화 숭실대학교

* 6화에는 통편집된건지 아예 나오지도 않았다.

11. 여담

  • 한 명의 출연자에 다양한 곳에 가서 체험하는 버라이어티형으로 구성된 ootbSTUDIO의 타 작품들과는 달리 대표자는 여러 출연자가 한 곳의 장소에서 토론하는 토크쇼 형식을 띄고 있다.
  • ootbSTUDIO의 타 작품들은 모두 한 화 촬영 후 다음 날 촬영하지만, 대표자는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진행되는 토론쇼라서, 한 화 촬영 후 다음 촬영을 이어간다. 다만, 시즌 2에선 한화만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5화 촬영일이 첫 화가 나온 다음날에 방영했다고 언급한 것을 보아 한 달 차이가 난다.
  • 프로그램 이름은 대표자지만 종종 대표자들이라고 착각하기도 한다. 강현석의 인스타 Q&A에 밝힌 바로는 출연진들도 종종 착각한다고 한다. 신규진도 종종 "신규진의 대표자들"이라고 언급한다.
  • 대표자의 발언을 다른 사람들이 믿지 못하거나 본인도 잘 모르는 내용을 알고 싶을때 팩트체크를 할때 전화 찬스를 사용한다. 미르는 누나인 고은아와 아버지, 홍상표는 어머니, 나선욱은 친형, 유희관은 중앙대학교 동문이자 친구 송가인[20]에게 전화를 걸었다.
  • 홍상표는 6화까지 고정 자리[21]가 존재한다. 하필 가장 끝 자리라서 테이블을 떼서 섬으로 표현했다. 당연하겠지만 본인도 옮기고 싶어도 우승을 실패해 단 한번도 옮기지 못했지만 6화에서 우승한 덕에 우승자 특권으로 중앙 자리에 앉게 된다. 10화에서는 기존 자리의 정반대 자리에 앉게 되었다. 또한 신규진 역시 중반부부터는 메인 MC 포지션을 맡은지라 한가운데가 거의 고정 자리가 되었다.
  • 토론 중간에 대표자 본인과 관련된 특징이나 에피소드가 종종 언급되기도 한다. 파인애플과 야자수가 떠오르는 머리스타일의 유희관, 뚱종원과 99대장 캐릭터가 소환되는 나선욱, 봉오동 전투의 홍상표 등. 시즌 1 멤버인 오킹의 경우, 임금체불 이야기가 나오자 당황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그마저도 나중가서는 개그 소재로 써먹었다.
  • 신규진은 1화에서 우승한 후 어떤 경품이든 스타트를 끊어주는 경향이 있다. 이후 1분 PPL 광고 따는 퀴즈에서도 처음으로 우승했고 변경된 규칙이 적용된 첫 회차인 11화에서도 경인, 전라도를 제치고 우승했다.
  • 아무래도 지역대표지만 사람인지라 모든 것을 알 수는 없고, 지역을 대표하는 것을 출연자들이 종종 빼먹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본 지역도민들이 과한 비판을 할 때가 있다. 대표적으로 경남 창원 출신 경상 대표 신규진이 경북에 유명한 것을 빼먹자 경북 출신인 사람들이 경상도 대표는 경북에 대한 것을 잘 모르고 사실상 경남 대표가 아니냐는 댓글을 본 적이 있다. 전라 대표 미르 역시 목포를 방문했는데 한 목포시민이 목포에 대해서는 언급하는 것이 왜 없냐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강원 출신인 강현석은 드립은 잘 치지만 어필이 부족하고 영동 지역에 대해 좀 모르는 것 같다는 지적이 있고[22] 충남 논산 출신인 충청대표 나선욱의 경우, 타 지역과 본인 고향과 가까운 충남이나 대전은 잘 알면서 정작 본인 담당 지역, 특히 충북 지역에 대해 잘 모른다는 지적이 있었다.[23] 그나마 서울이나 제주는 지역의 폭이 좁고 비교적 고참이라 그런지 다른 대표들보다 인생을 오래 살아서 다른 사람들보다 본인 지역에 대해 아는 것이 많아 큰 불만이 많이 없는 편.
    • 다만, 홍상표 채널에서 신규진이 합류했을 때 미뤄 보면, 이야기를 했지만 주변의 반응, 시간 등의 이유로 멤버들의 이야기 중 일부가 통편집된 경우가 많다고 한다. 게다가 이원 생중계를 도입 이후론 분량이 양분화되면서 멤버들의 분량 어느정도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
  • 종영 후 일부 멤버들(신규진, 미르, 나선욱)이 찹찹 채널의 꽃밭변동에 동반 출연했다.# 홍상표, 나선욱, 강현석은 무이자에 두번째 참가자로 합류했다. 또한, 신규진과 나선욱은 유희관이 진행하는 유튜브에 출연하여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야기했다.
  • 시즌 휴식기 도중 오킹, 나선욱이 2024년 발생한 논란에 연관되면서 차기 시즌에 비상에 걸렸다. 이 중 오킹은 위너즈 코인 의혹에 인정되면서 하차했고 경인지역 대표를 남호연으로 교체되었다. 그에 반해, 나선욱은 개인 유튜브에 위너즈 코인 의혹에 대해 부정했다. 이후 평소처럼 활동하는지라 문제없이 시즌 2에 합류한다. 그리고 코인을 자학개그 소재로 쓰고 있다.

[1] 고동완 후임으로 워크맨을 맡은 적이 있다. 고동완 PD가 전과자나 무이자 쪽으로 집중하고 있기에 사실상 본 프로그램 메인 PD 역을 맡고 있다.[2] 다만 우승 결과를 보기 위해선 다음날까지 기다리는 건 물론 우승했을 때 출연진을 못보는 단점이 있다.[3] 실제로 3화까지 우승한 지역들을 보면 대체적으로 인구 수가 많은 지역들이 우승하였다.[4] 본래 정해진 규칙은 아니지만, 대체로 다들 이렇게 하고 있다. 하지만 이후 6화에서 자리선정권을 특권으로 선정했다. 아마 그동안 편집된듯.[5] 정황상 메가 커피와의 계약은 10화까지 계약된 것으로 보인다.[6] 50%는 2+2행사 때만[7] 다만, 시즌 2가 6화 만에 종영하다 보니 말그대로 맛만 보고 끝났다.[8] 덕분에 옆에 앉아 있는 미르만 귀아파서 고생한다.[9] 본래 별도의 메인 MC가 없었지만 시즌 1 11화부터는 가운데 자리로 고정되면서 신규진이 메인 MC 역할을 맡고 있다.[10] 홍상표-남호연-유희관-신규진-미르-강현석-나선욱.[11] 영화 봉오동 전투에서 제주 출신 독립군 재수 역을 맡았다.[12] 무이자 역시 출연진이 많으나, 잠시 출연한 수준에 불과하다.[13] 경기도와 인천을 의미한다. 경기도와 인천이 가깝기도 하고 인천에서 태어나고 경기도 수원에서 자랐기 때문에 두 지역을 대표한다.[14] 다만, 같은 날에 녹화한 6화에는 참여했다.[15] 나선욱이 우승했지만 다른 카페 모델이라서 못 찍게 되자 나머지 멤버들이 찍었다.[16] 정답은 실비아다.[17] 정답은 종합지딤이다.[18] 즉, 강현석은 퀴즈를 맞춘 적이 없다는 뜻이다. 대표자는 아니지만 무이자에 가서야 단독 PPL를 찍었다.[19] 대표자 내에서는 이게 첫 단독 PPL 광고다.[20] 다만, 송가인이 전라도 출신인지라 전화한 후 어느 정도의 짧은 대화를 가진 후 전라도 대표인 미르에게 넘겼다.[21] 중앙으로부터 좌측 끝자리[22] 첫 우승할 때의 소감을 보면 맘고생이 꽤나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부심 주제로 방송이 나갔을 때 산부심이면 강원도 우승하라고 만든 주제인데 왜 말을 못하냐는(...) 비판적인 댓글이 꽤 존재했었다.[23] 나선욱의 경우 맛집 찾는 것을 좋아하고 타지역으로 많이 놀러다니다보니 그 지역 현지인만 알 법한 곳도 많이 알고 있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