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0:15:36

대전성실전문대학

폐교된 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종합대학 파일:광주예술대학교 엠블럼.png광주예술대학교, 파일:서남대학교 UI.svg서남대학교, 파일:한려대학교 엠블럼.svg한려대학교, 파일:건동대학교 로고.svg건동대학교, 파일:경북외국어대학교 심볼.svg 경북외국어대학교, 파일:대구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대구외국어대학교, 파일:명신대학교 심볼.svg명신대학교, 선교청대학교, 파일:아시아대학교 심볼.svg아시아대학교,
파일:한국국제대학교 심볼.svg한국국제대학교 ,파일:한중대학교 심볼.svg 한중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강원관광대학교 UI.svg강원관광대학교, 파일:국립세무대학 로고.svg국립세무대학, 파일:동부산대학교 엠블럼.svg동부산대학교, 파일:대구미래대학교 엠블럼.svg대구미래대학교, 대전성실전문대학, 파일:벽성대학 로고.svg 벽성대학, 파일:서해대학 UI.svg 서해대학, 파일:성화대학 로고.svg성화대학
학사학력 인정 각종학교 개혁신학교, 한민학교
사관학교 군사영어학교, 공군제2사관학교, 해군제2사관학교,
대학원대학교 파일:계신대 UI.jpg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서울제일대학원대학교, 인제대학원대학교,
외국교육기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물류대학 광양캠퍼스, 파일:독일 국기.svg 프리드리히-알렉산더대학교 부산캠퍼스외국
사내대학 파일:KDB금융대학교 엠블럼.svg KDB금융대학교, 현대중공업공과대학
사내대학은 고등교육기관이 아닌 평생교육기관이지만 학력인정 교육기관이고 폐교된 평생교육기관이 미비한 관계로 같이 서술한다.
국:국공립 학교, †:개신교계 학교, 외국:외국공립 학교 이:이홍하 계열 학교
}}}}}}}}}
대전성실전문대학
大田聖實專門大學
Daejeon Sungsil College
<colbgcolor=#000000><colcolor=#ff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전문대학
개교 1981년 3월
폐교 1981년 8월 24일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충전학원[1]
주소 대전광역시

1. 개요2. 비리3. 학과4. 후일담

[clearfix]

1. 개요

충청남도 대전시(현 대전광역시)에 있었던 사립 전문대학이자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강제 폐교된 고등교육기관.

2. 비리

1981년 3월에 개교하여 입학식까지 다 했으나 학교설립과정에서 공무원에게 420만원[2] 상당의 뇌물을 주었다는 부정행위가 발각되어 개교 6개월만인 1981년 8월 24일에 설립인가를 취소해서 강제폐교되었다.[3]

해당 학교가 소재했던 곳은 원래 1967년부터 1989년까지 있었던 충전실업고등기술학교가 있던 곳이다. 1980년 공무원에게 뇌물을 먹여 전문대학으로 전환하려고 했다가 비리가 걸리면서 강제폐교를 당한 후 별 수 없이 1989년까지 고등기술학교로 운영된 것이다. 이후 성복고등학교로 교명이 바뀐 후에도 여전한 파행 및 비리 운영으로 관선이사를 파견당했다가 결국 2000년, 새로운 법인이 들어온 후에야 학교가 정상화되었다. 교명도 성복고등학교에서 현재의 대전한빛고등학교로 교명이 바뀌었다.

3. 학과

  • 경영과
  • 응용미술과
  • 행정과
  • 무역과
  • 세무회계과
  • 식품영양과
  • 유아교육과

4. 후일담

  • 시설도 상당히 엉성하였는데, 학교 건물이라고는 엉성한 건물 한 동만이 있었고 화장실조차도 1981년 기준으로도 한참 뒤쳐진 재래식 화장실이었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1970년대 이후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수세식 화장실을 갖추어야 건축 허가가 났었고, 학교들도 당시 4년제 대학이나 전문대학은 당연하고, 중/고등학교나 심지어 국민학교 조차도 신설학교는 수세식 화장실을 갖추어야 합법적으로 설립 인가가 나던 시절이었는데, 그보다도 한참 후인 1981년에 정말 기본적로 요구되었던 수세식 화장실 조차도 갖추지도 않은 상태에서 전문대학 인가를 받았다는 점에서 봐도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서 인가를 받은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 폐교 당시 재학생(1학년 760명)들은 대전실업전문대학(우송정보대학), 대전보건전문대학(대전보건대학교)로 특별편입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고등교육기관 특별편입 사례였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인 건 수십 년 후에 강제폐교된 아시아대학교와는 달리 재학생의 학적부를 폐기하는 막장 행각은 하지 않았던 것인지 상당수의 재학생들이 원활하게 특별편입한 것으로 보인다.


[1] 법인 산하에 고등기술학교가 있었는데, 이 학교는 1989년 일반고등학교로 전환 후 지금의 대전한빛고등학교가 되었다.[2] 현재 가치 약 1,590만원.[3] 역대 폐교된 학교들 중 군사영어학교는 비록 연결고리가 끊겼지만 육군사관학교의 실질적 전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고, 한국대학은 문교부에 의해 국제대학으로 재개교하며 사실상 폐교가 취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