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2:09:16

대원시내버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기도 성남시 및 용인시(공공)의 시내버스 운행업체에 대한 내용은 대원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tablebordercolor=#e8340b><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center><colbgcolor=#e8340b><colcolor=#fff>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버스 회사
시내​버스대원시내버스 · 대진운수 · 대창운수 · 동화운수 · 라정시내버스 · 삼아교통 · 삼원운수 · 세영운수 · 을로운수 · 현대교통
마을​버스광남고속관광 · 광산버스 · 나라교통 · 석봉운수

동광고속 계열사
동광고속 동광담양고속 대원시내버스 라정시내버스

1. 개요2. 상세3. 면허 체계4. 운행 노선
4.1. 급행간선버스4.2. 급행좌석4.3. 간선버스4.4. 지선버스
5. 보유 차량6. 둘러보기


隊員市內

1. 개요

광주광역시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 주 사무소는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공영차고지에 위치한다. 2004년 을로운수[1]에서 약 60대의 차량을 양도받아 설립되었다. 동광고속라정시내버스의 자회사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중 역사가 가장 짧다.

2. 상세

이름에 대원이 들어가지만 KD 운송그룹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회사이다. 여담으로 KD는 저속운행을 하지만 여기는 고속주행을 좀 하는 편이다. 시내에서 밟아봤자 거기서 거기지만.

KD 운송그룹과 관련이 없지만 이 회사도 한때 자일대우버스가 많았다. 신차는 대형버스는 현대자동차, 중형버스는 대부분 자일대우버스를 뽑으며 가끔 현대자동차도 들여온다. 자회사인 라정시내버스가 현대차를 많이 출고한 영향이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광주'가 들어간 것도 우연이라 하면 우연이라 할 수 있겠다?[2]

회사 설립 초기에는 송암공단에 차고지가 있었으나 2006년경 광천동 버스종점으로 이전했고, 도로공사로 인해 광천동 종점이 폐쇄 예정에 있으면서 2차고지로 사용하던 세하공영차고지로 옮겨졌다. 덕분에 순환01번은 광주급행버스들 중 유일하게 공차회송을 할 필요가 없는 노선이 되었다. 기종점 모두 본사에 있으니까.[3]

2015년 12월엔 광주광역시 최초로 현대 블루시티를 출고하였다.

2016년 들어 현대차를 주로 뽑다가 10월 뜬금없이 NEW BS090 2대를 출고하기도 했고, 각각 송암68번[4], 1187번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2017년 1월 진월177번에 대원시내버스 최초로 그린시티가 들어와서 대원시내버스도 현대로 가려나... 했지만 2017년 5월에 다시 NEW BS090을 출고했다. 이 NEW BS090은 수완49번에 투입되었다.

2017년에 예비차 08년식 BS106 F/L 대차분으로 17년식 현대 NSAC 저상버스를 출고했는데 자동변속기가 무려 앨리슨이다.[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회사들 중 유일하게 간선 노선을 1개만 보유한 회사다.(금호36번) 근데 그 마저도 대창운수와 공동배차다... [6]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최후로 개선형을 도입한 회사이다.[7] 2019년 5월 개선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과 개선형 그린시티 1대를 출고하여 각각 순환01번진월177번에 투입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에서 2번째로 뉴 카운티, 최초로 카운티 뉴 브리즈를 2대 출고해 송정97번에 투입되었다.[8]

3. 면허 체계

  • 광주 77 바 52##

4. 운행 노선

4.1. 급행간선버스

4.2. 급행좌석

4.3. 간선버스

4.4. 지선버스

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

5.1.1. 현대자동차

5.1.2. 자일대우버스

5.2. 과거 보유차량

5.2.1. 자일대우버스

5.2.2. 현대자동차

5.2.3. 기아

6. 둘러보기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의 공영차고지
용산지구 월남동 증심사
매월동 세하동 첨단
장등동 일곡(살레시오)



[1] 당시 삼양시내버스[2] 대원버스 일부 노선이 경기도 광주시에 들어가며, 해당 업체의 연고지인 성남시는 광주시(군)의 일부였다. 송정이라는 지명도 그렇고 두 광주끼리 우연히 겹치는 게 은근히 많다 심지어 버스 차량면허도 '경기77바'와 '광주77바'로 겹친다.[3] 참고로 간선은 존재하지 않고 지선은 두암81번이 존재한다.[4] 현재는 상무62번에서 운행중이다.[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저상버스를 출고할 때는 대부분 ZF의 자동변속기를 달아서 출고한다. 물론 예외도 있다. 바로 지원25번에서 운행했던 동화운수BC211M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준저상버스. 현재는 차령 만료로 대차됐으며 이튼의 자동변속기를 사용했다.[6] 다만 대형버스를 적게 운행하지는 않는다. 순환01번에 24대나 운행 중이기 때문. 대형 차량은 현재 예비차를 포함해 43대가 운행 중이다.[7] 마을버스에는 대우차만 운행하는 석봉운수와 대우와 현대를 혼용하는 광산버스가 현대 개선형 차량이 없는 회사다.[8]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최초 뉴 카운티는 동화운수지원52번이고, 대원시내버스의 뉴 카운티는 현재 진월177번에서 운행한다.[9] 와산마을은 일부 시간대에만 경유[10] 삼양시내버스에서 넘겨받았으며 몇 대는 사고로 전면부를 개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