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1:37:42

나순자

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623E91 56.2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00A366 67.6px, transparent 45px), linear-gradient(315deg, #E8306D 77.6px, transparent 5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권태홍
제2대
이혁재
제3대
신장식
제4대
권태홍
제5대
권태훈
제6대
박원석
제7대
박종현
제8대
정재민
제9대
나순자
}}}}}}}}}}}}
<colcolor=#000><colbgcolor=#ffed00>
제9대 정의당 사무총장
나순자
羅順子 | Na Soonja
파일:나순자 프로필.jpg
출생 1965년 3월 10일 ([age(1965-03-10)]세)
전라북도[1] 고창군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직업 간호사, 노동운동가, 정치인
학력 전주근영여자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노동복지정책학 / 석사)
소속 정당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현직 이화의료원 간호사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이사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
정의당 사무총장
경력 이화의료원 노동조합 3·4·5대 위원장
병원노조연맹 서울지역본부 본부장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근로자위원
보건의료노조 이화의료원지부 5·6대 지부장
보건의료노조 5대 위원장
보건의료노조 정치위원장
보건의료노조 8대 위원장
일자리위원회 보건특위위원
공공상생연대기금 이사
보건의료노조 9대 위원장
보건복지부 상급종합병원평가협의위원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정계 진출
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5. 평가6.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공공의료를 살립니다, 생명을 지킵니다

돈보다 생명을
보건의료노조 슬로건

대한민국간호사, 보건의료전문가, 노동운동가, 진보정치인.

1989년 이화의료원 의 간호사로 입사한 이후 노동운동가로서 보건의료노조 5·8·9대 위원장을 역임으며 보건의료 및 노동복지정책 전문가로 지내며 일자리위원회, 공공상생연대기금, 보건복지부 상급종합병원평가협의회, 의료기관평가인증원,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등 여러 위원회의 주요 위원 등으로 선임되어 활동했다.

2. 생애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을 졸업한 이후 1989년 이대동대문병원[2]간호사로 입사했다.

이후 이화의료원의 노동조합 위원장을 지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위원장이 된 사연이 있다. 90년대 초 당시에 노조가 만들어지고, 가입해서 주간조/야간조 후 노조 사무실에 자주 시간을 보냈는데 그러다가 덜컥 홍보부장으로 일하게 되었다. 3년 뒤, "의료원의 노동조합 위원장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간호사가 맡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선배들이 불과 결혼 1달 된 신혼집에 쳐들어와(?) 위원장을 맡아줄 것을 하루가 멀다 강력하게 권유했다고. "내가 도와줄테니 해보자"는 남편의 제안을 승낙한 것이, 결혼 1달 만에(...) 위원장이 된 사연이라고 한다.

병원노조연맹의 서울지역본부 본부장, 보건의료노조 지부장 등을 지내다 보건의료노조의 위원장직을 지냈다. 위원장 직만 3선을 이행했는데 위원장직 수행 도중 2004년 산별총파업을 진행해 의료기관 주5일제를 이끌었으며 2009년 보호자 없는 병동 운동으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전면 확대를 주장했다. 2018년에는 태움 반대를 위한 태움방지법 도입을 주장했으며, 보건의료노조 8대 위원장직 수행 당시에는 보건복지부코로나바이러스-19 위기 극복을 위해 9.2 노정합의를 이뤄냈다. 나순자 위원장은 이 당시 의사인력 확충과 전담병원 손실보장, 공공의료 확충 등을 주장했는데 이것이 2023년 윤석열 정부에 들어 이뤄지지 않자, 간병 문제 해결과 환자수 대비 간호사 비율 개선을 주장하며 산별총파업과 단식투쟁을 진행해 공공의료 예산 복원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를 관철했다.# #

이후 2023년 민주노총의 위원장으로 출마하고자 했으나, 의견조율에 실패하면서 출마하지 못했다.

2.1. 정계 진출

2024년, 녹색정의당의 2호 영입인재로 영입되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녹색정의당 미래정책본부 출범에 맞추어 의료돌봄본부장에 임명됐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녹색정의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1번으로 선출됐으나 정의당 득표율이 3%에 미달하여 낙선하였다.

3.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기간 비고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1 - 2012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2 - 2024 탈당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4 입당[3]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024 - 현재 당명 변경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2,198,082 (10.30%) 낙선 (11번)[4]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609,313 (2.14%) 낙선 (1번)

5. 평가

  • 민주노총 차기 위원장으로 거론되었을 만큼 노동계 및 간호·보건의료계에서는 영향력이 큰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공공의료 확충과 태움 반대를 위한 태움방지법 도입,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전면 확대를 이끈 것으로 평가 받는다.

6. 둘러보기 틀

파일: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로고.svg 역대 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b4ca1 0%, #19b26b);"
{{{#fff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제1대
이상춘
제2대
차수련
제3대
윤영규
제4대
홍명옥
제5대
나순자
제6대
유지현
제7대
유지현
제8대
나순자
제9대
나순자
제10대
최희선
}}}}}}}}}}}} ||



[1]전북특별자치도.[2] 2008년 폐원[3] 녹색정의당 인재영입[4] 비례 투표 경선에선 3등으로 이 순서라면 5번이 되어야 하나, 문제의 통진당 특정 세력에서 자기들이 추천하는 인사를 앞 순위에 올리기 위해 1, 3, 5번을 자기 측 인사로 배정했다. 이것에 큰 회의를 느껴 이후 10여년간 정당 활동은 절대 하지 않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