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3:30:48

김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JinYan.jpg
이름 김염(金焰, 진옌)[1]
본명 김덕린(金德麟)
본관 광산 김씨[2]
국적 파일:조선 국기(1893).svg 조선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중국|]][[틀:국기|]][[틀:국기|]]
민족 조선족
출생 1910년 4월 7일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사망 1983년 12월 27일 (향년 73세)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가족 아버지 김필순, 어머니 연일 정씨
첫째 부인 왕런메이, 둘째 부인 친이
사촌누나 김마리아, 셋째 고모 김순애, 셋째 고모부 김규식

1. 개요2. 생애3. 가족4. 출연작

[clearfix]

1. 개요

한국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활동한 배우, 독립운동가.

2. 생애



1910년[3] 4월 8일 한성부에서 의사이자 독립유공자인 아버지 김필순과 어머니 연일 정씨 사이에서 5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4]

아버지 김필순 지사는 독립운동을 하다가 일본에 의해 수배되자 1912년에 만주로 이주하였다. 이에 그의 국적은 1912년부터 중화민국이었다. 이후 그의 아버지는 독립운동을 하다가 일본 첩자에 의해 살해되었고, 김염은 혼자 남아 고아가 되었다.

1927년에 김염은 상하이로 갔고 영화사에서 기록원으로 일하다가 출연한 게 인연이 되어 배우가 되었다. 하지만 김염이 배우가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어린 시절부터 배우가 되기 위해 밤낮없이 노력해왔던 사람이었다. 배우로 성공한 그는 1930년대에 상하이에서 인기가 있었다. 게다가 외모도 수려하니 더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

그러나 그는 성공한 후 갑작스런 발표를 하게 된다. 유명한 배우로 자신을 스타덤에 오르게 만들어준 멜로 영화를 그만두고, 앞으로 항일 영화만 찍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아버지가 일본 첩자에 의해서 살해당한 어린 시절부터 결심했던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서였다. 사실 배우가 된 이유도, 영화의 사회적인 영향력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결국 그는 항일 영화 출연을 통해 독립운동을 하였고, 그 수는 40편에 이르렀다. 중국을 점령한 일본에 의해 김염은 제국주의 영화 출연을 강요받지만, 그는 그 순간 단호하게 거절한다. 그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
기관총으로 나를 겨눈다고 해도 그런 영화는 찍지 않을 것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서면서 국적도 바뀌었다. 이후에도 순수예술가이기를 고집하며 중국공산당에 가입하지 않았다.

1966년 문화대혁명 기간에는 수용소에서 강제노동을 했다. 1983년 12월 27일에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1930년대 이후엔 영화 활동이 뜸했는데 1950년대 말부터 위 관련 질환에 시달렸다.

3. 가족

아내는 중국의 배우인 친이(秦怡, 1922-2022)이며 2022년 5월 9일 10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친이는 2번째 부인으로, 첫 번째 부인은 역시 같은 배우인 왕런메이이다.

여성 독립운동가김마리아는 그의 사촌 누나이며, 셋째 고모는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부인으로 대한애국부인회 등의 단체에서 활동한 김순애이다. 즉, 집안이 독립운동가 가문인 셈이다.

4. 출연작

  • 연애여의무(戀愛與義務, Love and Duty):1929년작. 아래 사진의 함께 출연한 여배우는 루안링위(阮玲玉, 완령옥, 1910-1935)이다. 중국 영화사를 논할 때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배우로, 1930년대 상하이 영화의 황금기 당시 당대의 최고 인기 여배우였다. 불과 25세의 젊은 나이에 자살로 생을 마감한 비운의 여배우로도 유명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LoveandDuty.jpg
  • 일전매(一剪梅, A Spray of Plum Blossoms): 1931년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A_Spray_of_Plum_Blossoms.jpg
  • 도화읍루기(桃花泣血記, Peach Blossom Weeps Tears of Blood): 1931년작.
  • 삼개마등여성(三個摩登女性, Three Modern Women): 1933년작.
  • 성시지야(城市之夜, Night in the City): 1933년작.
  • 대로(大路, The Big Road): 1934년작.


[1] 예명이다.[2] 문숙공파-판도판서공파 35세 현(鉉) 항렬. 족보명은 김인현(金麟鉉).[3] 광산김씨평장대보 36권 문숙공후 판도판서공파 365쪽에는 1907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4] 본인 포함 7남매이며 여동생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