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6:53:33

김민아(아나운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JTBC 기상캐스터 출신 방송인에 대한 내용은 김민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중계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colbgcolor=#000000> 캐스터 김민수 최두영 이승현 조주영 정세현
해설자 민훈기 양상문 이대형 서재응 이성우 이동현
리포터 노윤주 김윤희 김민아 장민지
}}}}}}}}}}}} ||

김민아
金敏娥
<colbgcolor=#000000><colcolor=#fff,#ddd>
파일:806867_article_59_20140326135303.jpg
이름 김민아 (金敏娥)
출생 1983년 3월 31일 ([age(1983-03-31)]세)
대구광역시
학력 정화여자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 / 학사)
소속 SPOTV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1]

1. 개요2. 활동3.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방송인.

파일:/image/241/2011/09/18/htm_20110917153633c000c010-001.jpg

2. 활동

대구광역시 출생으로 중학생 때까지는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했으나 부상으로 접었다고 한다.

2007년 MBC ESPN에서 스포츠 아나운서 활동을 시작했다.

2010년부터는 송지선과 함께 리포터로 활동하였으며 KBS N 스포츠의 '아이 러브 베이스볼' 의 대항마 격인 '베이스볼 투나잇 야!' 를 번갈아 진행하였다. 2011년 2월 즈음에는 송지선과 함께 남성 잡지 맥심 화보를 촬영했다.
파일:attachment/2011012601002128000148711.jpg
'베이스볼 야!' 를 지켜왔던 송지선 아나운서가 함께 할 수 없게 됐습니다. 힘든 시간들이 있었지만 여러분들 이 진실과 진심을 알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11년 5월 24일에 방영한 베이스볼 투나잇 야!에서 송지선을 추모하는 멘트로 방송을 마무리했다.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 억지로 울음을 참는 상황에서 하는 멘트임을 알 수 있다. 문법도 틀리고[2] 이효봉을 이호벙이라고 하는 등 평정심을 잃으려는 것을 붙잡으며 멘트를 이어갔다.

2011년 9월 16일에 방송된 베이스볼 투나잇 야!의 클로징 멘트를 하는데 "프로야구 선수는 야구만 잘하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내일 그것을 조금 더 확실하게 확인할 날이 될 것 같습니다"라는 의미심장한 말을 던졌다. 이는 임태훈이 송지선의 죽음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말을 한 것으로 보이며 해당 멘트가 나가자 김민아는 임태훈 팬들의 공격을 받았다.

2011년 12월 4일 교통사고로 전치 3주 판정을 받았다. 2012년 MBC 총파업으로 인한 인력 부족으로 인해 런던 올림픽 방송에 합류하자 대체 진행자로 김선신이 투입되었다. 런던 올림픽이 끝난 후 에딘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다녀온 이야기를 담은 프로그램에 출연, MBC 계열 케이블 채널에서 방영하였다.

퇴사 후 프리랜서로 SBS Sports의 2014 시즌 베이스볼 S의 새로운 진행자가 되었다. # 옮긴 이유는 골프에 관심이 있는데 MBC SPORTS+는 골프 방송이 거의 없는 반면 SBS Golf 채널이 있어서라고 밝혔다. 베이스볼 S는 2022년까지 진행을 맡았다.[3]

이외 SBS골프 아카데미, olleh tv 올 댓 tv쇼[4]의 진행을 맡고[5], 예능 프로그램에 패널로 출연하는 등 활동 범위를 넓혔다.

2018년 12월 7일 케이블 홈초이스의 <김민아의 무비N시리즈> 진행을 맡았다.[6] #

2020년부터는 자신의 선수 생활 경력을 살려 피겨 중계 캐스터로도 활동했다. 2022년 ISU 국제심판 자격증을 획득해 2023년부터 ISU GRANDPRIX 시리즈에 심판으로 참석한다.

2022년 6월 SBS Sports와 계약을 끝내기로 했다. 이후 2023년 4월 1일, SBS Golf 2 개국 특집 토크쇼에 진행자로 모습을 비췄고, 골프 관련 행사 MC로만 활동하다 SPOTV와 계약하면서 2024년 5월 24일 스포츠 타임 베이스볼로 복귀하여 1세대 야구여신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현역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3. 기타

한때 스포츠 채널 아나운서 중 유일한 정규직이었다. 대부분의 스포츠 채널 아나운서들은 계약직이다.

다른 스포츠 아나운서들에 비해 뛰어난 아나운싱 스킬을 보유해 불확실한 스포츠 아나운서계의 직군 특성상 많은 아나운서들이 진로를 변경하는 가운데에도 여전히 활동하는 점에서 김민아를 높이 평가하는 이들이 있다.

2019년에 1991년생 동명이인의 급부상으로 인지도가 역전됐는데, 아마 2022년부터 2년간 잠시 활동을 중단했던게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서라는 추측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전에 사용했던 인스타그램 계정(minaism331)은 2019년 12월에 폐쇄했으며, 이후 2020년 1월 1991년생 동명이인의 사칭 계정이 주소를 사용하는 바람에 더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2020년 1월 재개설한 인스타그램 계정(minakim0331) 또한 2022년 4월에 폐쇄했다. 2022년 10월 경, 현재의 계정을 새로 개설한 걸로 추정된다.[2] 여러분들에게와 같은 표현.[3] 일본 스프링 캠프 때는 직접 현장에 갔다.[4] 예능, 드라마, 외국 드라마 등 olleh tv에서 볼 수 있는 VOD들을 소개하며 패널들과 이야기하는 프로그램.[5] 이후 1991년생 동명이인도 olleh TV에서 가이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6] 디지털케이블TV 무비N시리즈 월정액에서 서비스되는 2만여 편의 VOD 중 엄선된 작품 2~4편을 스포츠 용어를 곁들여 소개하는 큐레이션 프로그램으로, VOD의 관람 포인트, 감동 지수 등 작품적 가치를 다양한 수치로 환산해 분석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