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6:48:11

기세중

파일:블루스테이지 로고.jpg 블루스테이지 소속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브래드 리틀 마이클 리 윤형렬
배두훈 백형훈 유승엽
전나영 기세중 김환희
최경록 조원석 나하나
박슬기 임정모 오윤서
이정빈 김수아 에디 브라운
유리아 김바울
}}}}}}}}} ||
<colbgcolor=#00324e><colcolor=#fff>
기세중
Ki Se Jung
파일:기버그.jpg
이름 기세중 (奇世中)
출생 1990년 10월 17일 ([age(1990-10-17)]세)
서울특별시
신체 180cm, 68kg
본관 행주 기씨
학력 서울화곡초등학교 (졸업)
신화중학교 (졸업)
광영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연극영화과 / 제적)
데뷔 2013년 뮤지컬 '미스터 온조'
소속 블루스테이지
MBTI ENTP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1]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1. 개요2. 노래, 연기 스타일3. 출연
3.1. 뮤지컬 및 연극3.2. 방송3.3. 기타
4. 여담5. 관련문서6.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 귀여운 외모와는 상반되는 중저음으로 뛰어난 가창력을 선보인다. 저음부터 고음까지 다양한 음역대를 넘나들며 묵직한 울림을 전해주는 배우.
  • 2013년 뮤지컬 <미스터 온조>로 데뷔, 이후 앙상블 등으로 활동하다 2015년에 뮤지컬 <총각네 야채가게>의 지환 역을 맡아 눈에 띄기 시작했으며, 2016년 JTBC에서 방영한 <팬텀싱어>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뮤지컬 배우로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팬텀싱어 이후로 싱어가 아닌 배우로서의 활동에 전념하기로 결심, 연극 <보도지침>의 김정배 역을 맡은 바 있다. 이외에도 뮤지컬 <아폴로니아>의 리차드, <나폴레옹>의 앤톤, <안나 카레니나>의 레빈, <배니싱>의 윤명렬, <뱀파이어 아더>의 아더, 연극 <환상동화>의 전쟁 광대, <그리스>의 두디 역, 뮤지컬 <프리스트>의 마르코 역 등 주연 혹은 무게 있는 조연 등을 맡으며 활발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2. 노래, 연기 스타일

  • 대부분이 테너인 뮤지컬 배우들 사이에서 낮고 깊은 소리를 내는 몇 없는 배우 중 한명이다. 큰 성량+음색+동굴저음이 합쳐져 나는 소리가 매우 매력적이다.
  • 전에 출연한 팬텀싱어에서는 테너라고 언급되었으나 음역대와 음색으로 추정하건대 성종은 바리톤이다 .
  • 음역대가 낮은 편이지만 낮은음부터 높은음까지 고루 소화를 잘한다.
  • 성량이 좋아 마이크가 없는 연극에서도 뒷좌석까지 목소리가 쩌렁쩌렁 울린다. 노래할 때는 어느정도 성량을 조절하면서 하는 것 같은데 진짜 어마무시하게 크다.전설의 '그만하자'
  • 몸을 잘 쓰는 편이다. 체격이 커서 삐걱댈 것 같아 보이지만 의외로(?) 춤을 잘 춘다. 춤선이 굉장히 예쁘다.[2]

3. 출연

3.1. 뮤지컬 및 연극

연도 제목 배역 기간 장소
2013 미스터 온조 허담 2013.12.06 ~ 2013.12.31 올림픽공원 K 아트홀
2014 빛골 아리랑 - 광주 앙상블 2014.05.23 ~ 2014.05.25 광주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광주)
2015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앙상블 2015.01.08 ~ 2015.02.15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데스노트 앙상블 2015.06.20 ~ 2015.08.15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총각네 야채가게 지환 2015.11.13 ~ 2015.12.31 한전아트센터
2016 아폴로니아 리차드 2016.10.30 ~ 2017.01.15 충무아트센터 소극장 블루
2017 보도지침 김정배 2017.04.21 ~ 2017.06.11 대학로 티오엠 2관
2017.05.19 ~ 2017.05.20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홀
나폴레옹 앤톤 2017.07.13 ~ 2017.10.22 샤롯데씨어터
배니싱 명렬 2017.11.04 ~ 2017.12.10 DCF 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
2018 안나 카레니나 레빈 2018.01.10 ~ 2018.02.25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2018.03.10 ~ 2018.03.11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전주)
2018.03.23 ~ 2018.03.25 센텀시티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부산)
2018.04.05 ~ 2018.04.08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성남)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애슐리 윌크스 2018.05.18 ~ 2018.07.29 샤롯데씨어터
배니싱 명렬 2018.09.08 ~ 2018.11.25 아트원씨어터 1관
뱀파이어 아더 아더 2018.11.30 ~ 2019.02.10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2019 보도지침 김정배 2019.04.26 ~ 2019.07.07 대학로 티오엠 2관
그리스 두디 2019.04.30 ~ 2019.08.11 디큐브아트센터
알 앤 제이 학생1 2019.06.28 ~ 2019.09.29 동국대 이해랑예술극장
이선동 클린센터 이선동 2019.10.04 ~ 2019.11.09 SH아트홀
그리스 두디 2019.11.26 ~ 2020.02.02 디큐브아트센터
환상동화 전쟁광대 2019.12.21 ~ 2020.03.01 동덕여대 코튼홀
2020 프리스트 마르코 2020.03.24 ~ 2020.06.07 서경대 공연예술센터 스콘 2관
베어 더 뮤지컬 피터 2020.05.29 ~ 2020.08.23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시데레우스 케플러 2020.08.12 ~ 2020.10.25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1관
2020.10.31 ~ 2020.11.29 예스24 스테이지 1관
작은 아씨들 로리 2020.11.24 ~ 2020.12.20 04[3]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환상동화 전쟁광대 2020.12.20 ~ 2021.03.01[4] 동덕여대 코튼홀
2021 알 앤 제이 학생1 2021.02.05 ~ 2021.05.02 동국대 이해랑예술극장
데스트랩 클리포드 앤더슨 2021.03.30 ~ 2021.06.20 플러스씨어터
메리셸리 퍼시 셸리 2021.08.07 ~ 2021.10.31 KT&G 상상마당 대치아트홀
뱀파이어 아더 아더 2021.11.09 ~ 2022.02.06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2022 난쟁이들 찰리 2022.01.25 ~ 2022.04.10 플러스씨어터
차미 김고대 2022.04.22 ~ 2022.07.10 플러스씨어터
시데레우스 케플러 2022.07.26 ~ 2022.10.16 플러스씨어터
사나이 와타나베 만춘 2022.10.25 ~ 2023.01.15 플러스씨어터
종의 기원 한유진 2022.12.18 ~ 2023.03.05 드림아트센터 1관
2023 일라이 리온 2023.02.10 ~ 2023.04.30 링크아트센터 페이코홀
와일드 그레이 로버트 로스 2023.06.08~2023.09.03 아트원씨어터 1관
구텐버그 버드 대븐포트 2023.08.02 ~2023.10.22 플러스씨어터
난쟁이들 찰리 2023.11.01 ~ 2024.01.21 플러스씨어터
메리셸리 퍼시셸리 2023.12.25 ~ 2024.03.17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코튼홀
2024 파가니니(뮤지컬) 콜랭 보네르 2024.04.06 ~ 2024.06.02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이블데드 애쉬 2024.06.20 ~ 2024.09.01 유니플렉스 1관
시데레우스 케플러 2024.07.24 ~ 2024.10.13 플러스씨어터

3.2. 방송

  • JTBC 팬텀싱어 (2016)
  • KBS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347회, 348회, 354회, 356회)

3.3. 기타

  • 2017.02.06, 22 최은석 콘서트
  • 2017.04.08 뮤지컬 갈라콘서트
  • 2017.04.15~17 히즈 피아노 온 브로드웨이
  • 2017.05.01 더 보이스 오브 듀오 콘서트
  • 2017.07.28~30 MUSIC OF THE NIGHT 2017:THE GREATEST MUSICALS
  • 2017.12.22 롯데엔터테인먼트 윈터프로젝트 - 펠리스나비다 (Feliz Navidad)
  • 2018.03.03 DCF FACTORY op.03 - 너의 성대를 먹고싶어 <백형훈, 기세중>
  • 2018.05.02 앤드류 로이드 웨버 기념 콘서트 (A Celebration of Andrew Lloyd Webber in Korea)
  • 2018.09.26 SCENT OF AUTUMN (MUSICAL DINNER CONCERT)
  • 2018.12.21~22 UNSUNG콘서트
  • 2019.01.18 팝업콘서트 in TOM <유승현, 이용규, 기세중>
  • 2021.05.08 나눔 토크쇼 with 기세중
  • 2022.11.28 이범재 : 범피뮤직 콘서트 : 온기종기
  • 2023.05.27 베르테르 콘서트
  • 2023.06.16~17 기세중 10주년 기념콘서트 <정진, 정진, 정진!>
  • 2024.04.02 뮤지컬<파가니니> 가든 콘서트
  • 2024.05.12 WONDERLAND PICNIC 2024

4. 여담

  • 고양이 2마리를 키우는 집사다. 알아주는 애묘가이다. 이름은 '마쵸'와 '쫄보'.[5]
  • 본인 말로는 보기와는 다르게 힘이 세고 체력이 좋은 편이라고 한다. 일명 힘세중 [6][7]
  • 어렸을 때의 꿈은 천문학자. 우주가 머리로 이해하기는 힘든 광활한 공간이어서 좋아했다고.. 그렇게 시데레우스를 하며 꿈을 이루게 되는데...
  • 고등학교 2학년 때 물리, 지구과학 반을 만든다는 핑계로 친한 친구들을 모아서 교장선생님께 찾아가 반을 새로 만들어버렸다. [8]
  • 지금은 매력이지만 데뷔 전에는 귀여운 이미지와 상반되는 중저음이 콤플렉스였고, 그것 때문에 캐스팅이 잘 안 돼서 많이 힘들었다고 한다.
  •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플러스씨어터에서 올리는 모든 공연에 참여한 덕분에 플러스기어터라는 별명이 붙었다.
  • 시력이 0.8이라고 한다.
  • 프로필상 몸무게가 68Kg 이지만 친하게 지내는 랑 컴퍼니의 제작사,PD들도 그 몸무게의 기세중을 본 적이 없다고 한다. (그렇다고 거짓말은 아니라고 함. 실제로는 더 말랐었음.)
  • 2023 혜공 인 더 파크 어워즈에서 배우 부문 최고 배우상(남), 최고 인기상(남) 을 수상하였다. 해적 룰렛도 당첨되어 MR거의제거 라이브로 축하공연도 함
  • 주로 오토바이 타는 것을 즐기고 거의 매일 오토바이를 타고 출퇴근 하는데, 팬들이 안 좋아하는 걸 아니까 언급을 잘 안한다고 한다.
  • 같은 이유로 골프도 아주 잘 치고 있고 여전히 좋아하지만 언급을 적게 하는 편이라고 한다.
  • 글 읽는 것을 어려워함. 대본 외우는 것도 다른 배우들이 연습할 때 말하는 것을 보고 외운다고. 실제로 대본을 쥐어주고 읽으라고 하면 더듬으면서 말하는 모습을 자주 보임. (큐카드 읽기를 포기하고 "그냥 말할게요"하면서 무대인사를 진행하기도 함.) 같은 이유로 책을 안좋아하고 잘 읽지 않음.
  • 외모와 다르게 술을 잘 못먹고 조금만 마셔도 얼굴이 빨개진다고 한다.

5. 관련문서

6. 둘러보기 틀

<rowcolor=#A99D9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45382F> 연도 갈릴레오 케플러 마리아
2019 고영빈, 정민, 박민성 신성민, 정욱진, 신주협 김보정, 나하나
2020 임병근, 이창용, 박민성 정욱진, 정휘, 기세중 임찬민, 홍지희
2022 정상윤, 박민성, 이창용 기세중, 배나라, 신주협 조윤영, 박새힘
{{{#!wiki style="margin:0px 0px 5px" }}}}}}}}}



[1] 반려묘 마쵸, 쫄보 계정.[2] 입시 준비 때에는 노래에 자신이 없어 춤으로 대학을 들어갔다.[3] 코로나로 인해 조기폐막[4] 코로나로 인해 개막 잠정연기, 사실상 취소[5] 이마까지 치즈 무늬가 있는 아이가 마쵸, 이마와 콧잔등이 전부 하얀 아이가 쫄보다.[6] 팔씨름도 엄청 잘한다고 한다 (서울시 청소년 팔씨름 대회에서도 입상했었다고)[7]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에 참가한 신가은 배우의 증언에 의하면 베어 더 뮤지컬에서 다이앤이 피터의 엉덩이를 때리는 장면에서 때리는 사람의 손이 아프니 엉덩이에 힘 주지 말아달라고 부탁한 적이 있다고 한다[8] 하지만 정작 반을 만든 당사자는 고3부터 연기학원을 다니느라 오전수업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