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13:46:34

국제정보통괄관조직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정보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내각
{{{#!wiki style="margin: -16px -10px -16px" 내각정보회의 합동정보회의
}}} ||
내각정보조사실
경찰
경찰청 경비국 경시청 공안부 도부현(道府縣) 경찰본부 경비부
방위성 자위대
방위성 방위정책국 방위성 정보본부 자위대정보보전대
육상막료감부 운용지원/정보부 해상막료감부 지휘통신정보부 항공막료감부 운용지원/정보부
육상자위대 육상총대 중앙정보대 해상자위대 자위함대 정보업무군 항공자위대 항공총대 작전정보대
법무성 외무성 해상보안청
공안조사청 국제정보통괄관조직 경비구난부 경비정보과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일본 외무성
  • 한자(일본어): [ruby(国際情報, ruby=こくさいじょうほう)][ruby(統括官, ruby=とうかつかん)][ruby(組織, ruby=そしき)]
  • 영어: Intelligence and Analysis Service

1. 개요2. 역사3. 특성4. 여담

1. 개요

일본정보기관으로 외무성 산하이다.

2. 역사

1979년(쇼와54년) 외무성 대신관방[1] 조사기획부로 탄생했다. 1984년에는 외무성 정보조사국으로 격상됐다. 1993년에는 정보조사국이 국제정보국으로 바뀌었고 2004년에는 국제정보통괄관[2]1인을 두게 되었고 그 휘하에 조직을 둔다.

3. 특성

조직규모는 80명으로 작다. 정보수집[3]보다는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미국 국무부INR과 성격이 유사하다.

4. 여담



[1] 관방은 비서실, 기획조정실과 가깝다.[2] 통괄관이란 중앙성청의 국장급 분장관으로, 2001년 일본의 중앙성청 개편으로 중앙성청의 내부부국 수가 대규모로 삭감되면서 생겨난 관직이다. 중앙성청의 내부부국에서는 국장급, 중앙성청 산하, 지방지분부국에서는 중앙보다 한 단계 낮은 과장급이 된다. 통괄관은 행정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인원을 조절 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설치됐지만, 국장, 과장급 관직을 늘리기 위해 설치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통괄관은 한국으로 치면 담당관,조정관 등과 비슷한 관직이다.[3] 휴민트도 운영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