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1:32:45

광주 도시철도 3호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경전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AGT
철제 차륜
부산김해경전철 인천 2호선 우이신설선
{{{#!wiki style="margin: -16px -11px"
김포 골드라인 동북선 }}}
대구 4호선 대구 5호선
면목선
고무 차륜
부산 4호선 신림선
부산 5호선 광주 2호선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대구 3호선
LIM
용인 에버라인
노면전차
(트램)
대전 2호선 위례선 수원 1호선
주안송도선 송도트램 영종트램
부평연안부두선 제물포연안부두선 인천 3호선
오륙도선 C-BAY-Park선 울산 1호선
울산 2호선 울산 3호선 울산 4호선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창원 1호선 창원 2호선 창원 3호선
김해 1호선 김해 2호선 김해 3호선
속초 1호선 속초 2호선 속초 3호선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경기도 트램추진 발표 참고(2016년 11월 30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1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건설 중 추진 중
2호선 광주-나주 광역철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 광주 도시철도 3호선
Gwangju Metro Line 3
光州 都市鐵道 三號線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기점 상무역(계획)
종점 광주역(계획)
역 수 미정
구성노선 광주 도시철도 3호선
개업일 미정
소유자 미정
운영기관 광주교통공사
사용차량 미정
노선연장 미정
착공예정 미정
개통일 미정

1. 개요2. 역사3. 재계획
3.1. 추측3.2. 2호선 지선 1 부활

[clearfix]

1. 개요

1호선2호선의 뒤를 이을 광주광역시도시철도 계획. 과거 1~5호선까지 계획되었던 광주의 도시철도 계획은 1호선 하나만 간신히 완공된 후 오랫동안 페이퍼 플랜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다가 대순환선으로 노선을 대대적으로 수정한 2호선이 2020년에 착공하였다. 그리고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용역이 2024년 12월 완료를 목적으로 3호선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2. 역사

당초에 광주광역시에서는 1호선~5호선까지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나 IMF1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이 모두 취소되었다. 그러나 2호선이 수면 위로 떠오르다가 차량형식과 건설방식이 확정되었고, 공사를 시작했기 때문에 이 노선도 떡밥이 자주 언급되었는데, 뉴스 기사에는 아무런 소식도 없다.

노선색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계획대로 건설되었다면 보라색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래철도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황금색으로 표시했고 광주 지하철 미래 계획 노선도에는 진한 분홍색으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이건 전부 추정일 뿐이다. 그나마 가장 유력한 노선 색상이 '보라색'이다. 도시철도 1호선 개통 전 배포한 광주 교통개편 시민 홍보책자에 1, 2, 3호선이 그려진 노선도가 실려있었는데 1호선이 짙은 녹색, 2호선이 연한 파랑색, 3호선이 보라색으로 그려져 있었다. 1호선 색상과 2호선 색상이 녹색과 연파랑색으로 결정되었단 사실이 자료 발굴 결과 공식적으로 확인 되었으니, 별 일 없었으면 무난하게 3호선 색상도 이거 따라 보라색으로 갔을 가능성이 꽤나 높다. 광주지하철 건설 계획도에도 2호선파랑색, 3호선이 보라색으로 나와있다.

현재의 2호선 백운광장역서방사거리역이 구 3호선 계획을 고려한 환승 대비를 전혀 해놓지 않았기 때문에, 설령 옛날의 계획이 실현된다 하더라도 효율상의 문제는 피할 수 없었다. 그리고 1990년대 계획 당시 도심구조가 지금과 차이가 많아져서 선형이 그대로 계승되기도 어렵다.

파일:광주3호선초기계획.png

최초 3호선 노선안, IMF 외환위기로 인해 백지화되었다. 다만 백운광장역-광주역, 양산역-첨단역 구간은 2호선에 편입되면서 부활.

파일:광주3호선현재계획.png

초기 계획에는 금남로4가역을 통과하여 첨단과학산업단지를 잇는 노선이 될 예정이었다. 2017년 착공 2025년 개통 예정이었다.

그 이전 5호선까지 계획이 존재하던 시절의 계획은 장성군 월정리-첨단-유스퀘어-농성-백운광장-남광주-광주역 구간이었다. 여기서 백운광장-광주역 구간은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순환선으로 변경되면서 살아남았다. 참고로 그 당시 2호선 계획이 위 노선도에 표기된 3호선 일부+백운광장~효천 구간인 소순환선이었다. 하지만 현재 대순환선으로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착공에 들어갔기 때문에 이 노선대로 지어질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

3. 재계획

2020년 8월에 12개월 기간으로 2호선의 뒤를 잇는 광주도시철도 신규 노선 및 연장 용역이 들어갔다. 용역 결과는 2021년 중 발표될 계획이었으나, 광주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설계 중 사업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발표를 선뜻 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후 광주온 제안·공감·토론 게시판에 올라온 광역교통과의 답변 첨부파일에 의하면 2024년 12월 완료를 목적으로 3호선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3.1. 추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 도시철도 3호선/추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2호선 지선 1 부활

[navertv(48381094)]
광주광역시, 상무지구~임동 잇는 도시철도 건립 검토
/ KBC 뉴스 2024. 3. 15. 보도

2024년 3월 15일, 광주광역시는 상무역을 출발해 시청역, 기아 광주공장 및 유스퀘어[1]광주신세계가 있는 광천동, 챔피언스시티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2]가 있는 북구 임동, 더현대 광주 예정지역을 거쳐 광주역을 잇는 도시철도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떨어진 2호선 지선1을 거의 부활시킨 것이다. 6천억원을 들여 7∼8㎞ 길이 노선을 확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도시철도의 경우는 60% 국비 지원이 있으므로 60%는 국비로, 나머지는 챔피언스시티광주신세계 개발 과정에서 용지변경의 대가로 받은 공공기여금으로 재원을 마련한다는 방안을 만들었다.

상무역 출발이 아닌 시청역 출발일 경우 지선 1의 부활이기도 하지만, 광주송정역이나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1호선을 타고 유스퀘어나 더현대로 가는 수요를 고려한다면 환승저항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상무역 출발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광주광역시는 비용 대비 편익(B/C)를 충족할 것으로 보고 오는 7월께 국토교통부에 계획안을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여론조사 결과는 62%가 찬성, 반대 29.4%, 잘모름 8.6%로 나타났다.광천 지하철 '찬성 62%'…복합쇼핑몰 기대감 높아[광주의 지도가 바뀐다]


[1] 광주신세계 Art & Culture Park 재개발[2] 광천사거리~광주역 구간은 동운고가, 경신여고 경유가 아닌 챔피언스시티 한복판을 경유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