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2:54:21

광역급행버스 M641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광역급행버스 심볼.svg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B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역
권역
시/군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 노선


2 남양주
M2316[공]
M2323[공]
M2341[공]
M2352[공]
M2353[공]
4 성남
M4102[공]
용인
M4101[공]
M4455[예]
화성
M4108[공]
M4130[공]
M4137[공]
M4403[공]
M4434[공]
5 수원
M5107[공]
M5115[공]
M5121[공]
M5342광주
M5422[공]
M5443[공]
안양
M5333[공]
M5556[공]
오산
M5532[예]수원
평택
M5438[공]
6 김포
M6427[공]

중구
연수구
남동구
M6410시흥
서구
7 고양
M7119[예]김포
M7412광주
M7731[예]
파주
M7111[공]
M7154[예]
대전권 세종
준공영제 노선[공]
준공영제 예정 노선[예]
[[아웃 ○○ 노선|{{{#00BFFF
운행하는 지역의 면허가 아닌 노선}}}]]실제 면허지
}}}}}}}}} ||
파일:경원M6410번_뉴프리.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논란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41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역급행 M6410 노선도.png
기점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사리울중학교)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서초현대타워앞)
종점행 첫차 05:50 기점행 첫차 06:50
막차 23:30 막차 00:30
평일배차 15~30분 주말배차 30~60분
운수사명 경원여객 인가대수 13대[1]
경유 정류소
(상): 상행 정차 정류소 / (하): 하행 정차 정류소
인천(논현) 서울(강남역)
사리울중학교 선바위역1번출구(상)
선바위역2번출구(하)
에코메트로7단지
원동초등학교 서초역1번출구(상)
청능로사거리 교대역(상)
논현11단지단풍마을A정문(상)
논현10단지별빛마을웰카운티A정문(하)
강남역서초현대타워앞(회차)
논현13단지푸르네마을 양재역9번출구(하)
소래포구입구.논현푸르지오A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하)
풍림아파트상가

2. 개요

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04.7km이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과거 인천 논현2지구와 소래·논현구역(한화지구)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해 서울로 나가려면 인근 연수지구나 송도국제도시 쪽으로 이동하여 지하철이나 1300번, M6405번, 9900번[2] 등의 광역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수도권 전철 수인선은 공사 중이긴 했지만 언제 개통될지 모르는 상황이었기에 기다리다 지친 논현/한화지구 주민들은 생업을 포기하면서까지 각 세대에 돌아다니며 서명을 받는 동시에, 수요 등에 대한 자료를 모아 국토해양부에 제출했다. 이후 국토해양부가 이를 수용하면서 2010년 6월 14일 발표된 10개의 광역급행버스 추가 노선에 '인천(논현지구) - 강남역' 노선이 포함되었다. #
  • 2010년 10월 26일에 경기도 안산시의 업체인 경원여객이 운송사업자로 선정되었다. # 인천시 업체 중에서는 용현운수삼화고속이 나서기는 했으나 수익성 문제로 포기[3], 결국 연선지역의 미래를 내다본 경원여객이 가산점을 받아 인천 땅에 무혈입성하는 쾌거를 이룬다.
  • 2011년 1월 31일에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
  • 2011년 3월 4일부터 미추홀외고 미정차, 월곶 풍림아이원1단지 정차로 변경되면서 아웃 경기 노선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최초로 시흥시에 정차하는 광역급행버스가 되었다.[4] 관련 기사
  • 2011년 7월 6일부터 미추홀외고 재정차로 변경되었다.
  • 2012년 5월 7일부터 선바위역과 양재시민의숲·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에 추가 정차한다.[5]
  • 2014년 8월 1일부터 논현13단지(푸르네마을)에 추가 정차한다.
  • 일자미상으로 인가대수가 15대에서 14대로 1대 감차되었다.
  • 2020년 3월 5일부터 미추홀외고에서 사리울중학교로 연장되고, 논현푸르지오A에 추가 정차한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12월 23일부터 미추홀외고 미정차, 에코메트로7단지 정차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0월 31일부터 평일 출근시간에 강남행 편도로 전세버스 3대가 투입된다. 관련 안내문
  • 2023년 4월 10일부터 전세버스 운영사와 투입 시간이 변경되었다. 관련 안내문

4. 특징

  • 서울과 소래포구를 가장 빨리 이어주는 노선이지만 이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 구간 완주 시 강남역 방면은 약 1시간 25분, 인천 방면은 약 1시간 15분~1시간 20분이 소요된다.
  • 수인선과 분당선이 직결되면서 논현지구와 월곶지구에서 선바위역, 교대역, 강남역까지 전철로만 이동하는 게 훨씬 수월해졌다. 다만, 전철 배차시간과 소요시간을 고려해 보면[6] 강남권 접근에는 여전히 이 노선이 최선이다.
  • 최초의 안산시 면허 광역급행버스였으며[7], 이후 인면허기관이 안산시에서 시흥시로 변경됨에 따라 최초의 시흥시 면허 광역급행버스가 되었다.
  • 경기버스정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소래포구입구.논현푸르지오A' 정류소의 명칭이 '소래포구입구.논현프루지오A'로 잘못 표기돼있다. 카카오, 네이버 앱에선 정상 표기돼있다.
  • BIS 정보와는 다르게 인천 방향 선바위역 정류소에서는 인천 광역버스가 정차하는 곳[8]에 정차한다.
  • 평일 전세버스는 강남역 도착 직후 운행을 종료하기 때문에 하행(인천) 방면으론 운행하지 않는다.

4.1.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역급행버스 M6410/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시간표

평일 및 토요일/공휴일 시간표(2023년 7월 24일 기준)
  • 기·종점 출발시각은 차량, 기사 사정 및 서울 시내 교통정체로 인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수 있어 경기버스정보 앱이나 카카오, 네이버 앱 등을 통해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시간표 변경이 상당히 잦기 때문에 운송업체 홈페이지에서 수시로 확인 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ed6c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시흥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광역콜
직행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마을
}}}}}}}}} ||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f72f0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
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f72f08><colcolor=#fff> 광역
급행
서울역
강남역
양재역 회차
기타
강화-당산
(당산역)
7700[A]
(화곡역)
영흥직행[A]
(영흥도)
[A] 별도의 운임 체계를 적용하는 노선
[B] 인천광역시 면허가 아닌 노선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간 버스
인천시 면허
시흥시 면허
시외/공항버스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 - 강남역간 버스
광역급행 M6405 M6410 M6439 M6450
M6457 M6458
광역 9100 9200 9201 9300
9500 9501 9802


[1] 평일 출근시간대는 전세버스 3대를 포함하여 최대 14대로 운행한다.[2]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시외버스였기 때문에 기본요금도 비쌌다.[3] 겁만 줬을뿐, 실제로 입찰은 안 했을수도 있다.[4] 하지만 월곶지구 정차 과정에서 잡음이 심했다. 자세한 건 하단의 '논란' 문단 참고.[5] 인강여객 노선들과 달리 서초아트자이아파트 정류소와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정류소에는 정차하지 않지만, 이로 인해 인천-강남 간 모든 노선이 시민의숲 정류소에 정차하게 되었다.[6] 수인분당선은 선형상 안산, 화성, 수원, 용인, 성남까지 돌아간다. 또한 강남역을 가지 않기 때문에 정자역에서 환승이 필요하다.[7] M5609번은 이보다 한 달 늦은 2월 21일에 개통했다.[8] 정류장 ID 66001[9] 청능로사거리 정류소 하차 후 도보 약 400m.[10]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정류소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