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2:11:40

곽대중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중앙당 지도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CB7); min-height: 31px;"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최고대의기관 (전당대회)
전당대회 의장
<colbgcolor=#fff,#1f2023> 이원욱
전당대회 부의장
<colbgcolor=#fff,#1f2023>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당무심의 · 의결기구 (최고위원회)
당대표 허은아
원내대표 천하람
정책위원회 의장
이주영
최고위원 이기인[수석] · 조대원 · 전성균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당무집행기구 (중앙사무처 · 대표 자문보좌기관)
사무총장 김철근
전략기획부총장
정재준 조직부총장 이경선
홍보부총장 이성진 당무본부장
대외협력본부장
이근구
당대표 비서실장
곽대중
정무특보단장
김두수 수석대변인 김성열
대변인 문성호[선임] · 김민규 · 경민정 · 조용진
부대변인 이혜숙 · 이유원 · 정국진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정책 입안 · 심의기구 (정책위원회)
정책위원회 의장 이주영
정책위원회 부의장 황영헌 · 권상기 · 조동운 · 최현수 · 황세연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독립기구
윤리위원장
당무감사위원장
중앙연수원장
정책연구소장
이준석
예산결산위원장
중앙당
후원회장
김종식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상설위원회
정책위원장 법률위원장
재정위원장 홍보위원장
인재위원장 이준석
허은아
파일:개혁신당심볼투명.png 특별위원회
국민통합위원장
문병호
지방자치특위
신민철
전대준비위원장
김철근
선거관리위원장
이종훈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원내대표 천하람
원내수석부대표
원내부대표
원내대표
비서실장
원내대변인

[수석] 수석최고위원[선임] 선임대변인
}}}}}}}}}}}}}}}
개혁신당 당대표 비서실장
곽대중
郭大中 | Daejoong Kwak
파일:곽대중2.jpg
<colbgcolor=#FF7210><colcolor=#fff> 출생 1974년 10월 8일 ([age(1974-10-08)]세)
전라남도 광주시
(현 광주광역시)
학력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 / 제적)
현직 개혁신당 당대표 비서실장
경력 새로운선택 서울시당 위원장
새로운선택 대변인
개혁신당 대변인
개혁신당 당대표 비서실장
병역 전남지방경찰청 전투경찰순경 수경 만기전역
(1995년 7월 4일 ~ 1997년 8월 28일)
소속 정당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정계 입문 이전2.2. 정치 활동
2.2.1. 2023년2.2.2. 2024년
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작가, 정치인.

2. 생애

2.1. 정계 입문 이전

1974년 10월 8일 전라남도 광주시(현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6살 되던 1989년, 북한 소설 '꽃 파는 처녀'를 읽고, 북한을 추종해 조선로동당 입당을 최대 목표로 삼은 골수 주사파가 되어, 고등학교 1학년 때이던 1990년 NL(민족해방) 계열 지하 조직에 가입해 학생운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이후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했다. 1995년 7월 4일부터 1997년 8월 28일까지 전남지방경찰청에서 전투경찰순경으로 전환복무하였다.

하지만 1997년 황장엽 망명 및 강철서신의 저자 김영환의 전향 등을 보며 뒤따라 전향하여 북한 민주화 운동을 목표로 삼았다. 1999년 전남대학교에선 고등학교 때와 정반대로 반(反) 한총련 계열 제31대 총학생회장을 지냈다.

이후 북한 주민 인권 보호와 북한의 민주화를 창립 정신으로 하는 북한 민주화 네트워크 기관지 'Keys' 편집장, '시대정신' 편집장, 데일리NK 논설실장, 뉴라이트닷컴[1] 칼럼니스트 등을 맡은 바 있다.

2012년 5월, 과거 같이 골수 주사파였던 고교 친구 K씨가 통합진보당에서 활동한다는 소식에 전향을 촉구하는 공개 편지를 띄웠다. #

2019년 1월 14일, 잡플러스TV '강의쇼 청산유수'에 작가로서 출연해 '매일 갑니다, 편의점' 에세이를 해설했다. 영상

2023년 5월 31일, 가물치스튜디오 유튜브에 출연해 주사파 이력, 자영업 현실, 노동 개혁이 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인터뷰했다. #

2.2. 정치 활동

2.2.1. 2023년

  • 2023년 6월 26일,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도하는 신당의 '1호 영입 인사'로, 당 대변인 겸 서울시당 위원장으로 합류했다. 이 시점에 편의점을 운영 중이며, 필명 '봉달호'로 에세이 및 칼럼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 민생특위(민생119) 위원으로도 참여하고 있었는데, 신당 창당 활동과 병행할 뜻을 보였다. #
  • 6월 28일 국민의힘 민생특위(민생119)를 비판하며 사퇴했다. #
  • 6월 29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했다. #
  • 7월 4일 YTN과 인터뷰했다. #
  • 7월 10일 펜앤드마이크의 유튜브 저녁 뉴스쇼 "불타는 이슈 야시장(불이夜)"의 '뜨거운 수요일'에 정기 출연하기 시작했다.
  • 7월 13일 스카이데일리와 인터뷰했다. #
  • 7월 16일 조선일보와 인터뷰했다. #
  • 2023년 11월 6일,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부산 경성대 토크콘서트에서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에게 영어로 '미스터 린턴'이라 호칭한 것에 대해 "너는 우리 국가의 일원으로 인정할 수 없다'라는 뜻의 '헤이트 스피치(혐오 발언)", "이 전 대표는 종종 '선'을 넘는다. 누가 그런 사람과 선뜻 손을 잡으려 하겠는가.", "비정상을 바로잡기 위해 굳이 스스로 비정상이 될 필요는 없는 것" 등이라 비판했다. #
  • 11월 7일 조선일보와 인터뷰했다. #

2.2.2. 2024년

  • 2024년 1월 17일, 매거진동아와 인터뷰했다. '새로운선택' 8개월 창당 과정을 설명하고, 국민의힘에 대해 "보수 외피 쓴, 국회의원 노리는 사람들 모임"이라 말했다. #
  • 3월 8일 도태우 국민의힘 예비후보의 5.18 북한 개입설 과거 이력을 비판했다. #
  • 3월 2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개혁신당 비례대표 4번으로 공천을 받았다.
  • 3월 23일 매거진동아 '여의도 고수'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2023년 말 본인 SNS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강위원과 정의찬이 1990년대 학생운동 시절 치사 사건 논란에 연루됐는데도 총선에 출마하려는 행보에 강한 비판했던 점을 재설명했다. 영상
  • 3월 24일 매거진동아 '여의도 고수'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경기동부연합 출신들이 22대 총선에서 7석이나 차지하게 되리란 분석을 내놨다. 영상
  • 3월 25일 매거진동아 '여의도 고수'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경기동부연합,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 사이의 연결고리를 주장했다. #
  • 3월 26일, 금태섭 전 의원, 곽대중 대변인 등이 선거에서 개혁신당 당명으로 출마했음에도 새로운선택 정당은 해산이나 합당이 되지 않은 점에 대해 논란이 생겼다. 선관위는 기호 확정 시점까지 행정 절차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4월 5일, 오마이뉴스와 인터뷰했다. # 국민의힘 한동훈 위원장의 '운동권 청산' 메세지에 대해서는 "나는 직접 삶의 궤적에서 운동권 출신 정치인들의 모순을 20년 전부터 느끼고 지적해 온 사람이지만, 작금의 시대정신이 운동권 청산이 될 수는 없다. 총선은 민생과 경제로서 국민을 설득하고 평가받는 선거이다."라고 평했다.
  • 4월 26일 개혁신당의 제1차 전당대회에서 선거 운동을 하기 위해 대변인직을 사임했다. 개혁신당 당규에 따르면 당직자는 선거 운동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
  • 4월 29일 허은아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 이후 허은아 후보가 당대표직에 당선되자 당대표 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새로운선택|
파일:새로운선택_white.svg
]]
2023 - 2024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4 탈당[2]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2024 - 현재 입당

4.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7210><rowbgcolor=#FF7210><tablebgcolor=#fff,#191919>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1,025,775 (3.61%) 낙선 (4번)



[1] 현재는 뉴라이트에 대해 '극우로 치닫았다'며 부정적 모습을 보이는 듯하다.[2] 개혁신당 합류를 위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