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9:07:44

공경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울릉군의회의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대 의회 제2대 의회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상인 최수일 이중철 정규화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최수일 황중구 신봉석 이용진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병수 최병호 이철우 정성환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정성환 최경환 공경식
}}}}}}}}} ||

<colbgcolor=#404a9e><colcolor=#fff> 제9대 전반기 울릉군의회 의장
공경식
孔慶植
파일:공경식프로필.jpg
출생 1969년 3월 22일 ([age(1969-03-22)]세)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
거주지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
재임기간 제8대 전반기 울릉군의회 부의장
2018년 7월 1일 ~ 2020년 6월 30일
제9대 전반기 울릉군의회 의장
2022년 7월 1일 ~ 현직
현직 제9대 울릉군의회의원
제9대 전반기 울릉군의회의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울릉군협의회 감사
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04a9e><colcolor=#fff> 학력 현포국민학교[1] (졸업)
우산중학교[2] (졸업)
경북체육고등학교 (졸업)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학사)
병역 해군 제1함대 상병 복무만료[3]
(1989년 8월 7일 ~ 1991년 1월 16일)[4]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지역구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군가선거구 (울릉읍)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7, 8, 9
소속 위원회 무소속[5]
약력 제7-9대 울릉군의회의원 (울릉가 / 무소속)
제8대 전반기 울릉군의회부의장
제9대 전반기 울릉군의회의장
울릉청년단 감사
울릉군 생활체육회 헬스연합회장
울릉 의용소방대 대원
울릉군 국립공원반대추진위원회 홍보위원
울릉중학교 운영위원
울릉고등학교 운영위원
울릉군 산림조합 조합원
울릉군 농업협동조합 조합원
경북복싱협회 심판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울릉군협의회 감사
경상북도 의정봉사대상
지방의정 봉사상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의장 표창
중등학교 체육과 2급 정교사
생활체육 3급 지도자
}}}}}}}}}

1. 개요2. 생애
2.1. 정치 활동
3. 여담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으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제7대 울릉군의회의원으로 당선된 후 7, 8, 9대 울릉군의원을 역임한 3선 기초의회의원이다. 현재 제9대 울릉군의회 전반기 의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2. 생애

1969년 3월 22일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에서 울릉군 토박이로 태어났다. 현포국민학교, 우산중학교, 경북체육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 진학했다. 1989년 8월 7일 해군 방위병으로 입대하여 제1함대 사령부에서 수병으로 복무했고, 1991년 1월 16일 상병으로 소집해제되었다.

경남대학교를 졸업한 후, 중등학교 체육과 2급 정교사와 생활체육지도자 3급 자격증을 취득하여 생활체육지도자로 활동하였다. 그 과정에서 생활체육회 헬스연합회장, 울릉중학교 방과후 체육교실 강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울릉군 산림조합농업협동조합에 가입하여 조합원으로 활동하고 울릉중학교와 울릉고등학교의 운영위원, 울릉 의용소방대원, 울릉청년단 감사 등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2.1. 정치 활동

울릉군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공경식은 2011년 10월, 궐위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가 선거구 보궐선거에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게 된다. 슬로건은 청정 울릉도, 청렴 일꾼. 본업인 생활체육지도자로서 쌓은 인지도와 시민 사회에서의 활동 경력을 바탕으로, 26.99%(1,300표)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무소속 최경환 후보에 995표(20.66%p) 차이로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6]

다음 선거였던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다시 한 번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가 선거구에 출마하였고, 이번에도 새누리당 최경환 후보에 이어 23.02%(1,142표)로 득표율 2위를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차이점이라면, 지방선거는 중선거구제라 2위도 당선이라는 점.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가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한국당 최경환 후보, 자유한국당 이재만 후보에 이어 3위로 당선되었다. 임기 동안에 제8대 울릉군의회 전반기 부의장을 지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도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가 선거구에 출마해, 무소속 정인식 후보에 이어 2위로 당선되며 3선 고지에 등극하였다. 초선 시절 보여준 좋은 업무 능력과 추진력으로 무난하게 주민들에게 인지도를 쌓아 다선이 되었다는 평. 경북 의정봉사대상과 지방의정봉사상까지 표창받으며 그 능력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제9대 울릉군의회에서는 전반기 의장차지하며 확실한 울릉군의 거물 정치인 중 하나로 올라섰다.

3. 여담

  • 선거 때마다 강조하는 일하는 의원, 의회다운 의회, 의원다운 의원의 모습을 착실히 실천하는 의원으로, 이런저런 예산안 등에 관련해서 관계 기관에게 철저한 확인 작업을 거친다. 울릉군청 등 피감 기관에 대한 날카로운 질의가 일품이라는 평을 듣는다.
  • 정당색이 전혀 없는 무소속 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한 이래 어느 정당에도 입당하지 않아 진정한 지방의회의원이라 불린다[7]. 이러한 지역 친화적 행보와 착실한 의정 활동이 공 의원이 무소속임에도 내리 3선을 하고 군의회의장직까지 차지한 핵심 원동력으로 꼽힌다.

4.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1 - 현재 정계 입문

5.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1 하반기 재보궐선거
(기초의회의원)
경북 울릉 가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00 (26.99%) 낙선(2위) [8]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142 (23.02%) 당선(2위) 초선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920 (18.56%) 당선(3위) 재선
202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968 (21.46%) 당선(2위) 3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공경식2011년재보궐.png
파일:공경식6회지선.png
2011년 하반기 재보선 (경북 울릉군 가선거구) 6회 지선 (경북 울릉군 가선거구)
파일:공경식7회지선.png
파일:공경식8회지선.png
7회 지선 (경북 울릉군 가선거구) 8회 지선 (경북 울릉군 가선거구)
}}}}}} ||

6. 둘러보기


[1] 1994년 9월 1일 천부초등학교 현포분교로 격하되었다가, 2024년 폐교되었다.[2] 2020년 울릉중학교로 통합되었다.[3] 소집해제[4]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5] 울릉군의회는 전국에서 의원 재적수가 가장 적은 기초의회로, 별도의 상임위원회를 운영하지 않는다.[6] 여타 지방선거처럼 중선거구제였다면 당선이었겠지만, 궐위된 1석만을 선출하는 재보궐선거였기에 당선되지 못했다.[7] 남한권 현 울릉군수, 남진복 현 울릉군선거구 경상북도의원, 이상식, 정인식, 최병호, 최경환 동료 울릉군의원들까지 울릉 지역의 정치인들은 대부분 보수 정당 공천에서 탈락해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가 당선되면 복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울릉군의원들 중 보수 정당의 당적을 가진 이력이 없는 울릉군의원은 9대 울릉군의원 중 공경식 의원뿐일 정도..[8] 전임자 배상용 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