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8:30:34

삼일포역

고성역(폐역)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삼일포역
다국어 표기
영어 Samilp'o
한자 三日浦
중국어
일본어 [ruby(三日浦, ruby=サミルポ)]
주소
강원도 고성군 삼일포리
관리역 등급
불명
(함흥철도총국)
운영 기관
금강산청년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동해북부선 1932년 11월 1일
철도거리표
안변 방면
금강산청년
← 8.2 ㎞
금강산청년선
삼일포
제진 방면
감 호
5.6 ㎞ →

三日浦驛 / Samilp'o Station

[clearfix]

1. 개요2. 역 정보3. 둘러보기

1. 개요

금강산청년선철도역. 강원도 고성군 삼일포리(三日浦里)소재.

2. 역 정보

금강산의 명승이며 관동팔경의 하나이기도 한 삼일포에서 유래한다. 삼일포는 신라시대의 전설적인 화랑 신라사선이 3일간 머물렀다는 뜻에서 유래된 호수로 해변의 삼일포해수욕장도 굉장히 유명하다.

1932년 11월 1일에 고성역(高城驛)으로 개업했다. 1933년 8월 1일에 2.2km 서방에 삼일포역이 개업했지만 1944년 6월 15일에 폐지되고 있다.

남북철도연결사업에 의해 2005년 12월 삼일포역으로 재설치되었지만 일제시대 삼일포역이 존재했던 곳이 아니라 고성역이 존재했던 곳에 위치한다.

1996년에 금강산청년선 재개업시에는 일제시대의 장전역(長箭驛)의 위치에 고성역이 재개업했다.

역 근처에는 '단풍관'이라는 휴게소 겸 기념품 판매점이 있다. 남북관계가 경색되기 전 이곳에서는 꼬치구이, 동동주, 도토리묵, 생선구이, 곶감 등 간단한 먹을거리를 팔았다. 이곳에서 일하는 여자 봉사원들은 모두 평양에서 왔으며, 출신성분이 좋은 사람만 가려 뽑는다. 삼일포 한가운데에는 와우도(臥牛島)라는 섬이 보인다. 근처 산에서는 송이버섯이 많이 자라 이를 채집해서 돈벌이에 보태기도 한다.

3. 둘러보기


동해북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건설중지 구간 : - - - - - - -
취소선: 폐역 | 보라색: 현재 역명이 바뀐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