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02:16:41

경북선/역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선
1. 본선2. 지선3. 폐지된 구간 및 역
3.1. 1944년 이전의 예천-안동 구간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1. 본선

  • 관할 지역본부
¶ 대구본부: 김천~김천기점 13.700km
¶ 경북본부: 김천기점 13.700km~영주
무궁화호 정차 (M) 화물취급역 (F)
<rowcolor=#ffffff> 역명 운행계통 등급 환승 노선 소재지
<rowcolor=#000> ▲ 경부선과 직결 (구미 방면)
0.0 <colbgcolor=#f55839> 김천 堤川 M 경부선 김천시 경상북도
20.0 옥산 玉山 M 상주시
27.1 청리 靑里 M
36.0 상주 尙州 M
44.4 백원 白元
55.8 함창 咸昌 M
60.0 점촌 店村 M 문경시
문경선 분기 (문경 방면)
66.9 용궁 龍宮 M 예천군
73.3 개포 開浦 M
85.0 예천 醴泉 M
101.4 어등 魚登 F
115.0 영주 榮州 MF 중앙선 영주시
<rowcolor=#000> ▼ 중앙선 분기 (풍기 방면) 영동선 분기 (봉화 방면)

2. 지선

3. 폐지된 구간 및 역

3.1. 1944년 이전의 예천-안동 구간 역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rowcolor=#ffffff>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예 천 醴 泉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4.1 고 평 高 坪
9.5 호 명 虎 鳴 호명면
15.5 경북풍산 慶北豊山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23.0 명 동 鳴 洞 서후면
32.6 경북안동 慶北安東 중앙선 운흥동
1944년경 일제의 선로 공출로 점촌-안동간 노선이 철거되고 중앙선과 연결된 안동역을 제외한 모든 역사가 폐역되었다. 이후 1966년에 점촌-영주로 노선을 새로 깔때 점촌-예천 구간은 기존 노반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현재와 노선이 다른 것은 예천-안동 구간 뿐. 선로가 갈라지는 곳은 예천역을 지나서 28번 국도34번 국도가 갈라지는 동예천 교차로 근처로, 안동 방면 선로는 34번 국도 옆으로 따라갔다. 고평역도 당시에는 동예천교차로와 내성천의 거의 중간지점에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62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