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1:55:06

화성 버스 720-3

경기광주 버스 720-3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fa52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광역콜
직행좌석
좌석
일반
5-2조암
5-2동탄
11조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버스
마을 틀:화성시 마을버스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파일:720-3_3966.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화성시 CI_White.svg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72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720-3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단국대차고지) 종점 경기도 화성시 병점동(새봄초등학교)
종점행 첫차 평일 06:10 / 토요일, 공휴일 07:00 기점행 첫차 04:50
막차 23:00 막차 20:00
평일배차 출퇴근 20~40분/평시30~50분 주말배차 토요일 40분 ~60분/공휴일 40~60분
운수업체 화성여객 인가대수 9대[1]
노선 단국대 - 꽃메마을 - 죽전역 - 수지구청 - 성복역 - 상현역 - 수원컨벤션센터 - 합동신학대학원 - KT동수원지사 - 황골마을 - 청명역 - 영통역 - 망포역 - 삼성반도체 - 동탄성심병원 - 한빛마을한화꿈에그린 - 동탄고 - 서동탄역파크자이 - 홈플러스병점점 - 병점초교 - 병점복합타운 - 병점역아이파크캐슬 - 새봄초교
중간 출발 정류장
새봄초등학교 방향 없음.
단국대학교 방향 영통입구 04:50 05:15 05:25 05:35 (평일)

2. 개요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동탄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면서,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07년 2월 1일에 신설했다. 당시 노선은 “동탄신도시 - 신영통 - 황골마을 - 원천홈에버(현 홈플러스 원천점) - 법원사거리 - 아주대병원 - 수원월드컵경기장 - 우만주공3,4단지 - 경기대후문 - 별장마을 - 수지이마트 - 동천동 - 미금역
  • 2007년 4월 경,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가 개교하면서 종점이 단국대학교로 단축되었다. 이와 함께 수원구간(우만 3~4단지 + 경기대후문 미경유, 중소기업센터 경유)과 수지 이후구간(동천동 + 머내 + 미금역미경유, 풍덕천 + 죽전신세계 + 꽃메마을 경유)도 변경되었다.
  • 이때까지만 해도 배차간격이 기존 40분에서 20분으로 조정, 신형차량이 들어오는 등 나름 잘 다녔으나, 2009년 3월 2일에 뜬금없이 경기대를 기준으로 노선이 둘로 쪼개져 기존 노선은 경기대로 단축되었고, '경기대 - 동탄신도시' 구간은 723번으로 신설되었다. 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당시 차량
  • 2009년 4월, 한 달 만에 다시 두 노선이 합쳐졌고, 영통로 대신 봉영로 경유로 바뀌었다. 그 이후로 상황이 더 나빠지기 시작했는데, 동탄에서는 다른 노선에 치이고, 영통에서는 720-1번이, 수지에서는 다른 700번대 시리즈가 미친듯이 다니다보니 지속적으로 감차해, 이 시기에는 배차간격이 40분에서 무려 90분(!!!)으로 벌어졌다.
  • 2012년 4월 30일, 광교신도시 입주와 법원사거리 개량으로 광교를 통해 바로 수지로 가는 도로가 개통되면서 아주대학교병원을 경유하지 않고 이 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기점도 동탄공영차고지에서 단국대학교로 변경되었다.
  • 2012~13년 사이 이 노선에 단국대학교 내부 운행구간이 생겨 교내 이용시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문제는 학교측에서 공식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와 운행경로가 달라 존재감이 제로였다는 것.[2] 이후 2013년 중으로 학교 셔틀버스와 같은 경로를 이용하게 되어 이제는 치과병원 앞에서 평화의광장까지 이동하려는 학생 수요도 많이 늘었다.
  • 화성여객 설립 이후 2016년 2월부터 화성여객과 공동배차를 시작하였다. 단국대 출발 차량은 경기고속이 운행하고, 동탄 출발 차량은 화성여객이 운행했다.
  • 수지로112번길이 폐쇄되면서 2016년 6월 11일부터 상현동 현대홈타운 정류장을 경유해 상현동입구 교차로에서 43번 국도를 이용한다.
  • 2016년 9월 말부터 730번 (현재 폐선), 16번과 함께 단국대 방면의 경우 수지지역난방공사를 가는 관계로 상현동 현대홈타운 정류장에 아예 정차하지 않는다.
  • 경기고속 차량을 빼고 화성여객 차량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화성여객 운행 비중을 서서히 늘려나가다가 2017년 12월 부로 화성여객으로 완전히 이관되었다.
  • 2018년 초부터 서동탄역파크자이로 연장되었다.
  • 2021년 6월 1일 '신창미션힐.송화초교 - 동부출장소.병점초등학교 - 병점아이파크캐슬 - 새봄초교' 구간이 연장되며 동시에 기존 회차 구간인 '우남퍼스트빌 - 서동탄역.신일해피트리 - 모아미래도.우림필유.평생학습관' 구간은 폐지되었다.관련 게시물
  • 2021년 6월 16일부터 '단국대학교' 방향에 한하여 영통입구 중간 출발이 4회 (04:50, 05:15, 05:25, 05:35) 신설된다.
  • 2022년 7월 11일부터 평일한정 2대가 감차되었다.
  • 2022년 9월 15일부터 평일한정 1대가 증차되었다.
  • 2023년 3월 4일부터 모든 요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4. 특징

  • 막차시간이 엄청 빠르다. 새봄초등학교에서 20시 00분에 막차가 출발하며, 단국대에서도 23시에 회차한다.[3] 수요가 많은 노선인데도 이 부분은 아쉬울 따름.
  • 주로 수요가 나오는 구간은 단국대학교~죽전역, 수지지역에서 죽전역 연계, 상현역~광교신도시 수요, 영통지구와 망포역~신영통,동탄신도시 수요이다. 특히 영통지구에서 광교신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유일한 버스노선이라 수요가 많다.[4] 수요는 그럭저럭이지만, 노선이 계속 연장되면서 휴일 배차간격은 최대 2시간 넘게 벌어질 정도로 좋지 않아 불편 민원이 많다.
  • 단국대학교 캠퍼스 안에서 셔틀버스를 겸하기도 한다. 교내에서 이 버스가 왔을시 학교 안을 왔다갔다할 목적이라면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업체와 협의된 사항) 다만 캠퍼스 셔틀 운행을 마친 차량들은 차고지로 들어오므로 캠퍼스 내 재운행을 거부한다.
  • 삼성삼거리-황골 구간을 경유하는 버스 중에 유일하게 '프리미엄아울렛(29204)'정류소를 정차하지 않게 되어있지만 해당 정류소에서 승차할 수 있다. 물론 하차벨을 누르면 하차도 가능하다.
  • 수요는 그럭저럭이지만, 노선이 계속 연장되면서 증차는커녕 기사들이 긴 노선으로 인해 운행을 기피해서[5] 오히려 감차되는 중이고, 거기에 코로나19와 경기도 공공버스로 인해 광역버스로 기사들이 차출돼서 토요일은 물론 평일에도 배차간격이 별로 좋지 않은데, 휴일에는 아예 농어촌버스 수준의 배차를 보여준다. 거기에 노후차량의 폐차말소까지 이루어지면서 더 감차되어 배차가 더더욱 나빠졌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수원시 CI.svg 수원-수지구 간 시내버스 파일:용인시 CI.svg
<colcolor=#0061af> 광교신도시 이외 지역 경유 · · · · · ·
상현역(광교신도시)만 경유 · · · · · · · · · · ·
수원 광교신도시만 경유
1-1광교웰빙타운.열림공원 방면
· · · · · ·

파일:수원시 CI.svg 망포역, 영통역 - 화성시 간 시내버스 파일:화성시 CI.svg
망포역 방향
· · · · · · · · · · · · · · · · · · · ·
영통역 방향
· · · · · · · ·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 · · · ·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 · ·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 · · · · ·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 ·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안성캠퍼스 · ·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 · · · ·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파주캠퍼스 · ·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평택캠퍼스 ·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 · ·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 · · · · · · · · · ·
단일노선 · · · ·
}}}}}}}}} ||


[1] 토요일 6대 / 공휴일 5대 운행[2] 학교측 셔틀버스의 운행경로는 현재 720-3의 노선과 같은 경로인 '복지관(치과병원) → 종합실험동(공학관) → 평화의광장 → (인문관)'이다. (인문관의 경우는 KD가 셔틀버스를 굴리던 시절에는 다녔으나 타 업체로 변경된 이후 가지 않는다.) 하지만 이 당시 운행경로는 '정문 → 인문관 → 평화의광장 → 공학관' 경로였는데, 정차하는 곳은 셔틀버스 정류장 입간판의 맞은편(...)이었다. 즉, 현재의 운행방향과 반대방향이었다. 게다가 배차간격도 이당시까지만 해도 90분에 가까웠던터라 이용률은 상당히 저조했다. 셔틀버스가 없는 시간에는 죽전역에서 학교로 올 때 용인 마을버스 24, 40을 타려는데 얻어걸리지 않는 이상은 타기가 힘들었던 것. (참고로 이당시에는 24번 마을버스는 단국대 내부로 들어오지 않았다.[3] 단, 기점행이 종점행보다 첫차시간이 늦다. 그리고 막차 시간대에는 반대로 종점행이 기점행보다 늦다. 이유는 화성영업소에다 차를 주박하기 때문이다.[4] 다만 광교중앙역을 살짝 비껴가는데다 교통량이 많은 법원사거리를 경유하다보니 적어도 30분의 소요시간은 잡아야한다. 차가 밀리면 1시간까지 늘어지기도 하는데, 문제는 이 노선을 빼면 환승을 하지 않는 이상 대안이 없다.[5] 2023년 지사장이 바뀌기 전에는 화성여객 소속 노선들 모두 저속운행을 했지만 이 노선만 유일하게 예외다.[6] 병점사거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