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5:57:31

개구리 중사 케로로 신작 애니메이션(가제)

[[개구리 중사 케로로
파일:개구리 중사 케로로 한국판 로고 선.png
]] |
개구리 중사 케로로 신작 애니메이션(가제) (미정)
ケロロ軍曹 新作アニメ(仮)
파일:개구리 중사 케로로 20주년 신작 애니메이션 공개 전 티저 포스터.webp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개그, 일상, 판타지, SF, 로봇
기획 반다이 남코 픽처스
애니메이션 제작
원작 요시자키 미네
총감독 ○○
감수
감독 ○○
시리즈 구성 ○○
캐릭터 디자인 ○○
작화감수
총 작화감독 ○○
미술 감수 ○○
미술 감독 ○○
색채 설계 ○○
촬영 감수 ○○
촬영 감독 ○○
편집 ○○
음향 감독 ○○
음악 ○○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스튜디오 바인드
제작 (제작위원회 이름)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2○. ○○. ~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편당 러닝타임 ○○분
화수 ○○화
시청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등장인물4. 설정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평가
7.1. 방영 전7.2. 방영 후
8. 기타

[clearfix]

1. 개요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신작 애니메이션.

구 TVA 첫 방영 20주년이자 종영 후 13년만에, 플래시 외전작 10년만에 공개되는 케로로 애니메이션이다.

2. 공개 정보

2024년 4월 1일 오전 0시 3분 경에 공식 X 계정을 통해 제작이 발표됐다.

2.1. PV

티저 PV

2.2. 키 비주얼

파일:개구리 중사 케로로 20주년 신작 애니메이션 공개 전 티저 포스터.webp
티저 비주얼[2]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구리 중사 케로로/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구리 중사 케로로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

5.1. OP

OP
원제목
번역명
번안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6fbd69,#6fbd69><colcolor=#fff>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fbd69,#6fbd69><colcolor=#fff>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5.2. ED

ED
원제목
번역명
번안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6fbd69,#6fbd69><colcolor=#fff>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fbd69,#6fbd69><colcolor=#fff>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6. 회차 목록

<rowcolor=#fff> 회차 제목[3]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日: 미정

7. 평가

7.1. 방영 전

이전 케로로 TVA가 358화라는 초 장기 방영을 했었고 그만큼 축적된 팬들도 많은 만큼 이번 신작 제작 소식에 고무적인 소식이 많다. 여기다 제작 협력에 무직전생 시리즈, 오빠는 끝!에서 높은 작화를 선보여 화제를 모았던 스튜디오 바인드가 투입되면서 작화 퀄리티에 대한 기대도 높아졌다.

하지만 반다이 남코 픽처스스튜디오 바인드야마모토 유스케(山本裕介)를 빼면 케로로의 연출 스태프들과 큰 연결 고리가 없으므로[4] 연출과 작품 분위기가 크게 달라질 우려가 있다. 신작 애니메이션 발표 PV를 감독한 것은 후루타 조지인데 본편도 후루타가 이어서 하게 될 경우 그렇게 평이 좋은 감독이 아니라서 큰 기대를 하기 힘들다.[5] 하지만 후루타도 전작에서 제작진행 업무를 하고 콘티를 그린 적이 있어서 케로로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있는 감독이고 전작도 콘도 노부히로 감독이 만든 부분은 실망스럽다는 말도 많았기 때문에 오히려 쇄신이 되어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7.2. 방영 후

8. 기타

  • 작화는 기존 애니메이션과 동일하나, 색채가 전반적으로 밝아졌다.
  • 만약 이어지는 후속작이라면 스토리는 357화[7]와 이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퍼렁별에 총 공격을 퍼붓기 위해 찾아온 케론군 최고사령관이 케로로히나타 후유키의 우정을 보고 케로로에게 퍼렁별 침략은 앞으로도 케로로 소대가 맡아서 해달라는 말을 했기 때문이다. 거기다 전작 마지막회인 358화[8] 역시 케로로 소대가 지구에서 철수하는 장면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 지구에 남아있는 모습으로 끝났기 때문에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 다만 기존 애니메이션이 완결되고 13년이라는 시간이 지나 나오는 작품이기에, 본작은 국내판 기준 8기가 아닌 케로로팝에 이은 2차 리부트 작품이 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기존의 작화 스타일이 그대로 유지되었고 다른 애니메이션 시리즈 또한 10년 전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스토리가 이어지는 작품이 제작된 사례가 많기에[9] 두고 봐야 할 일이다.
  • 2000년대 초중반의 대한민국을 휩쓸었던 작품이니만큼 한국에서 방영을 하게 되면 투니버스에서 거하게 홍보를 치른 다음 기존 성우진을 유지한 채로 방영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투니버스의 입장에서는 과거 케로로를 즐겨보던 현재의 MZ 세대 시청자들을 유입시킴과 동시에 전성기 시절의 역량과 센스를 거리낌없이 다시 발휘할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에 방영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위에 서술했다시피 걱정거리도 있는데 한국에서 내레이터를 담당했던 성우인 이인성이 건강 관련 추정으로 2023년 9월 이후로 담당한 애니메이션을 하차하거나 더빙 출현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을 어떤 성우로 대체할 지 우려섞인 반응이 많다.[11]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2] 미국 crunchyroll에서는 이 비주얼을 티저 비주얼로 취급하고 있으나 프리미어 이벤트 공개 직전 20주년 기념으로 만든 비주얼인지라 공개 후 그래픽이 아닌 구작 그래픽이므로 티저 비주얼이라 부르기에 애매하다.[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4] 2024년 기준 사토 준이치 (트윈 엔진), 콘도 노부히로 (브리지), 야마구치 스스무 (신에이 동화) 이렇게 흩어졌다. 야마모토 유스케(山本裕介) (8-Bit)의 경우 8-Bit가 2024년 4월 1일 부로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의 자회사가 되었으므로 야마모토가 계속 8-Bit에서 활동한다면 본작에서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5] 후루타는 감독작 모두 만듦새 자체는 하자가 없지만 작품을 계속 몰입하게 만드는 결정력 부분에서 치명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6] 티저 PV 공개 트윗에 '진짜'라는 해시태그가 달린 건 덤. #[7] 한국판 7기 38화[8] 한국판 7기 39화[9] 대표적인 예시로 알바 뛰는 마왕님!!,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리부트 작 제외), 반요 야샤히메가 있다.[10] 참고로 나레이션의 경우 국내 더빙판 성우였던 이인성이 개인 사정으로 활동을 중단해서 국내 더빙판 쪽도 교체될 가능성이 높다.[11] 이인성의 하차 이후 브룩, 뚱이를 이어받은 엄상현이 담당하거나 아예 다른 성우로 교체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