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6:01:16

강철 타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포켓몬의 타입 이외의 의미에 대한 내용은 속성/금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white>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타입 18종
[[노말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불꽃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물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풀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전기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얼음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격투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독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땅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비행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에스퍼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벌레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바위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고스트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드래곤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악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강철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페어리 타입|{{{#!wiki style="width: calc(100% / 6); max-width: calc(500px / 6);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기타


1. 개요2. 영향3. 상성
3.1. 공격 상성3.2. 방어 상성
3.2.1. 대처
4. 특징5. 역사6. 세대별 포켓몬7. 스토리 공략8. 네임드 트레이너9. 상징10. 기타

1. 개요

파일:강철 타입.svg
강철 타입
はがねタイプ / Steel type
타입 상성
공격 시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12529,#e0e0e0> 강점
반감

방어 시 약점
내성


무효
파일:강철 타입.svg 강철 타입 포켓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세대
[[고지(포켓몬스터)|파일:icon0028_f01_s0.png
고지
]]
[[닥트리오|파일:icon0051_f01_s0.png
닥트리오
]]
[[자포코일|파일:icon0082_f00_s0.png
레어코일
]]
2세대
[[쏘콘|파일:icon0205_f00_s0.png
쏘콘
]]
[[강철톤|파일:icon0208_f00_s0.png
강철톤
]]
[[핫삼|파일:icon0212_f00_s0.png
핫삼
]]
[[무장조|파일:icon0227_f00_s0.png
무장조
]]
3세대
[[입치트|파일:icon0303_f00_s0.png
입치트
]]
[[보스로라|파일:icon0306_f00_s0.png
보스로라
]]
[[메타그로스|파일:icon0376_f00_s0.png
메타그로스
]]
[[레지스틸|파일:icon0379_f00_s0.png
레지스틸
]]
[[지라치|파일:icon0385_f00_s0.png
지라치
]]
4세대
[[엠페르트|파일:icon0395_f00_s0.png
엠페르트
]]
[[바리톱스|파일:icon0411_f00_s0.png
바리톱스
]]
[[도롱마담|파일:icon0413_f02_s0.png
도롱마담
]]
[[동탁군|파일:icon0437_f00_s0.png
동탁군
]]
[[루카리오|파일:icon0448_f00_s0.png
루카리오
]]
[[자포코일|파일:icon0462_f00_s0.png
자포코일
]]
[[대코파스|파일:icon0476_f00_s0.png
대코파스
]]
[[디아루가|파일:icon0483_f00_s0.png
디아루가
]]
[[히드런|파일:icon0485_f00_s0.png
히드런
]]
[[아르세우스|파일:icon0493_f08_s0.png
아르세우스
]]
5세대
[[몰드류|파일:icon0530_f00_s0.png
몰드류
]]
[[슈바르고|파일:icon0589_f00_s0.png
슈바르고
]]
[[너트령|파일:icon0598_f00_s0.png
너트령
]]
[[기기기어르|파일:icon0601_f00_s0.png
기기기어르
]]
[[메더|파일:icon0618_f01_s0.png
메더
]]
[[절각참|파일:icon0625_f00_s0.png
절각참
]]
[[아이앤트|파일:icon0632_f00_s0.png
아이앤트
]]
[[코바르온|파일:icon0638_f00_s0.png
코바르온
]]
[[게노세크트|파일:icon0649_f00_s0.png
게노세크트
]]
6세대
[[킬가르도|파일:icon0681_f00_s0.png
킬가르도
]]
[[미끄래곤|파일:icon0706_f01_s0.png
미끄래곤
]]
[[클레피|파일:icon0707_f00_s0.png
클레피
]]
7세대
[[실버디|파일:icon0773_f00_s0.png
실버디
]]
[[토게데마루|파일:icon0777_f00_s0.png
토게데마루
]]
[[솔가레오|파일:icon0791_f00_s0.png
솔가레오
]]
[[철화구야|파일:icon0797_f00_s0.png
철화구야
]]
[[종이신도|파일:icon0798_f00_s0.png
종이신도
]]
[[네크로즈마|파일:icon0800_f01_s0.png
네크로즈마
]]
[[마기아나|파일:icon0801_f00_s0.png
마기아나
]]
[[차곡차곡|파일:icon0805_f00_s0.png
차곡차곡
]]
8세대
[[아머까오|파일:icon0823_f00_s0.png
아머까오
]]
[[나이킹|파일:icon0863_f00_s0.png
나이킹
]]
[[대왕끼리동|파일:icon0879_f00_s0.png
대왕끼리동
]]
[[두랄루돈|파일:icon0884_f00_s0.png
두랄루돈
]]
[[자시안|파일:icon0888_f01_s0.png
자시안
]]
[[자마젠타|파일:icon0889_f01_s0.png
자마젠타
]]
9세대
[[두드리짱|파일:icon0959_f00_s0.png
두드리짱
]]
[[부르르룸|파일:icon0966_f00_s0.png
부르르룸
]]
[[꿈트렁|파일:icon0968_f00_s0.png
꿈트렁
]]
[[대도각참|파일:icon0983_f00_s0.png
대도각참
]]
[[무쇠바퀴|파일:icon0990_f00_s0.png
무쇠바퀴
]]
[[타부자고|파일:icon1000_f00_s0.png
타부자고
]]
[[브리두라스|파일:icon1018_f00_s0.png
브리두라스
]]
[[무쇠감투|파일:icon1023_f00_s0.png
무쇠감투
]]
세대 불명
[[멜메탈|파일:icon0809_f00_s0.png
멜메탈
]]
세대별 최종 진화형 기준 서술
(진화하며 타입이 없어지는 경우는 제외)
}}}}}}}}}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타입으로, 상징하는 색은 은색청회색.

강철 타입 기술은 해당 문단 참고.

2. 영향

  • 독 상태, 맹독 상태가 되지 않는다.[1]
  • 날씨 모래바람의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 관련 특성
    • 강철술사: 자신의 강철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 증가한다.
    • 강철정신: 아군의 강철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 증가한다.
    • 모래의힘: 모래바람이 불 때 바위, 땅, 강철 타입 기술의 위력이 1.3배 증가한다.
    • 부식: 독 타입, 강철 타입 포켓몬에게 독/맹독을 걸 수 있다.
    • 자력: 강철 타입의 상대가 교체/도주할 수 없다.

3. 상성

3.1. 공격 상성

방어 성능이 뛰어난 것과 대조적으로, 공격기로서의 상성은 매우 나쁜 편이다. 공격기로는 아이언테일, 코멧펀치, 아이언헤드, 러스터캐논 등이 있는데, 다들 효과는 나름 우수한 편이지만 하나같이 위력이나 명중률 중 하나에 문제가 있어서 안정적인 고위력을 투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코멧펀치는 배우는 포켓몬이 너무 적고 아이언테일은 명중률이 너무 치명적이라, 전용기를 제외한 강철 타입 기술은 최대 위력이 겨우 80에 불과하여 전 타입을 통틀어 최하위권에 속한다.[2]

이만큼 위력이 낮으면 고스트 타입처럼 일관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 정상이지만 강철 타입은 일관성이 많이 떨어진다. 공격시 약점 3개, 반감 4개로 무난한 편이나 공격 반감 타입인 불꽃, 전기, 강철, 물 모두 레이팅에서 매우 자주 나오는 타입들이고[3], 2배로 찌르는 타입들 중 페어리를 제외한 얼음, 바위는 강철 말고도 다른 약점들이 많다. 특히 페어리 타입 추가 이전에는 격투 타입이 강철이 약점을 찌르는 얼음, 바위에 더해 강철, 악, 노말을 추가로 찌르기에 강철 타입의 공격 상성상 메리트는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으며, 루카리오 같이 기술폭이 좋고 격투를 겸하는 강철 타입 포켓몬들은 강철 타입 자속기를 아예 빼버리고 그 자리에 다른 견제폭 좋은 기술을 넣는 경우도 많았다.

6세대 이후로도 강철 타입 기술은 페어리 타입을 견제하려는 경우나, 노말 타입과 마찬가지로 자속 보정을 받는 포켓몬이 아니라면 별로 채용되지 않는다. 또한 특방 쪽이 부실한 특징과 비슷하게, 강철 타입 특수기 또한 위력이 고만고만한 것이 문제. 지라치파멸의소원과 같은 경우 2턴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4], 결국 위력 80짜리인 러스터캐논이 최고 위력 특수기다. 이는 특수기가 매우 부실한 바위 타입과 상황이 비슷하다. 그나마 바위 타입에 비하면 킬가르도, 자포코일, 히드런 등, 고화력 특수 어태커들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은 다행. 8세대에서는 위력이 140인 철제광선이 강철 타입이면 모두 배울 수 있는 가르침 기술로 추가되었으나 전체 HP의 절반을 소모하는 막대한 리스크 때문에[5] 러스터캐논의 입지를 완전히 빼앗지는 못했다.

이러한 공격 쪽의 부실함 때문에 신규 강철 타입 포켓몬은 메테오드라이브, 더블펀처, 거수참, 골드러시, 거대해머, 타키온커터 등 구려터진 범용 기술을 대체할 강력한 강철 타입 전용기를 들고 나오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3.2. 방어 상성

단단함의 대명사로 통하는 강철을 이미지화한 타입답게, 무려 11개[6]나 되는 독보적으로 많은 종류의 공격 타입을 반감 이하로 받고 독, 맹독 상태에 면역이라는 대단히 우수한 방어상성을 갖췄다. 5세대 이전에는 드래곤 타입을 반감 이하로 받는 유일한 타입이기도 했다.

전 타입 중 방어 종족치 평균이 1위라는 점과도 맞물려, 강철 타입 포켓몬은 뛰어난 방어 성능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보조 타입에 따라서 내성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다분하다. 풀+강철 조합의 너트령, 종이신도와 벌레/강철 조합의 핫삼, 슈바르고가 대표적인 예. 모든 포켓몬스터 복합 타입의 방어상성 순위를 나열하면 단일 강철을 포함하여 TOP 10위 중 8개 타입에 강철 타입이 포함되어 있다. 공격에 땅 타입이 있다면 방어에는 강철이 있는 셈.

불꽃, 격투, 땅 타입 기술의 서브 웨폰 채용률이 높은 것도, 다타입 견제 능력과 높은 범용성을 가졌다는 이유도 있지만 강철 타입의 약점을 찌른다는 점이 크다. 물, 전기, 악, 고스트 타입의 강점에는 강철 타입에 반감되지 않는 것도 포함된다.

특히 방어적으로 매우 우수한 페어리 타입과 조합되면 매우 악랄한 방어상성을 자랑하는데, 페어리의 약점인 독, 강철을 모두 강철 타입이 커버해주고 강철 타입의 약점 중 격투를 페어리가 상쇄하여 약점이 불꽃, 땅밖에 남지 않으며, 11가지의 타입을 반감 이하로 받아낸다. 게다가 페어리 자체가 원체 사기라 공격 쪽에서도 일관성을 챙길 수 있다.

유사한 논리로 과거에는 에스퍼 타입과의 궁합이 뛰어났다. 에스퍼의 약점 전체를 강철이 상쇄하고 강철의 격투 약점은 에스퍼가 커버하여 약점니 불꽃, 땅 2개만 남기 때문이다. 특히 동탁군은 이 환장할만한 상성에 더해 특성까지 더해 약점을 1개로 줄이고 심리전까지 거는 막강한 상성을 자랑했다. 6세대 이후에는 강철 타입의 반감 대상에서 고스트, 악 타입이 제외되며 약점이 4개로 늘고 강철/고스트, 강철/페어리가 풀리며 약간 미묘해졌다.

최악의 타입이라 평가받는 벌레 타입조차 강철 타입과 묶이면 꽤나 강력한 방어 상성을 갖게 된다. 불꽃을 제외한 각 타입의 약점을 모두 상쇄하여 4배인 불꽃 하나만 어떻게든 대비하면 된다. 대신 이 조합의 경우 공격 상성이 압도적으로 나빠지는 것이 문제가 된다.

다만, 강철 타입과 붙어도 방어적으로 썩 좋지 않는 평가를 받는 타입이 있는데, 약점 상당수가 겹치는 바위 타입하고 얼음 타입이다.[7] 얼음/강철 조합은 알로라 고지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갸우뚱거릴 수 있지만, 불꽃과 격투에 4배, 땅 타입에 2배의 대미지를 받아서 상당히 위험하다. 보스로라, 대코파스, 바리톱스, 차곡차곡과 같은 바위/강철 조합은 땅, 격투에 4배, 물에 2배의 대미지를 받기 때문에 좋지 않다. 단 다른 강철 타입과 비교하여 그렇다는거지, 강철 특유의 수많은 반감은 그대로라서 컨트롤 여하에 따라 공격 상성을 살리는 등 무난하게 써먹기도 한다.

거꾸로 배틀에서는 오히려 저 좋은 방어상성이 역전되어서 심각하게 안 좋은 방어상성으로 바뀌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무효화하는 타입도 2배로 들어가고, 0.25배는 오히려 4배를 쳐맞기 때문에 나오기만 하면 온갖 약점에 털리는 샌드백이 되어버린다.

3.2.1. 대처

반감 개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강철 타입을 견제할 불꽃 타입, 격투 타입, 땅 타입 공격기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 파티에 넣어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이 3가지 약점 중 일부라도 혼자서 상쇄할 수 있는 강철 타입 포켓몬은 눈에 보이는 약점, 반감 수 이상으로 성가시다는 평가를 받는다. 격투를 아예 무효로 받는 강철/고스트, 땅을 받지 않는 강철/비행이 대표적이며 강철/풀, 강철/벌레, 강철/페어리 등 방어 상성이 특히 강력한 강철 타입은 3가지 약점 중 하나 이상을 상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강철/에스퍼 또는 강철/페어리는 격투를 1배로 받고, 페어리 기술 채용률이 높은 강철/페어리는 오히려 격투를 찌른다. 특히 강철/페어리는 불꽃, 땅 이외의 약점이 전혀 없다.
  • 강철/고스트는 격투를 0배로 받는다. 고스트의 약점을 배제하고 보자면 반드시 불꽃이나 땅으로 찔러야 한다.
  • 강철/벌레는 격투와 땅을 1배로 받는다. 불꽃에는 4배이지만 신경써야 할 약점이 1개밖에 없어 사이클로 상쇄하기 쉽다.
  • 강철/풀은 불꽃 4배, 격투 2배, 땅 1배로 땅을 덜 아프게 맞으며 오히려 자속 풀 기술로 땅 타입을 찌른다. 추가로 원래 강철에게 1배로 들어가야 할 물 타입, 전기 타입을 반감으로 받아 일반적으로 강철이 커버 불가능한 범위까지 한꺼번에 차단한다.
  • 강철/비행은 전기 약점이 새로 생기지만 격투에 1배이고 땅에 0배이기에 위의 3약점 중 불꽃 하나만이 남는다.
  • 강철/드래곤은 대체로 강철 타입이 저항하기 힘든 불꽃 타입을 1배로 받으며, 드래곤 타입의 약점은 모두 상쇄되어 약점이 격투와 땅 2개만 남는다.
  • 히드런은 강철/불꽃이지만 특성 타오르는불꽃으로 불꽃 타입을 0배로 받아버린다. 불꽃 타입을 0배로 받는 유일한 강철 타입 포켓몬이며, 이 녀석 하나 때문에 불꽃 하나만 가지고 1배 화력으로 억지로 모든 강철을 뚫는 플레이가 차단된다.

즉 강철 타입 메이저 포켓몬을 모두 제대로 뚫어내기 위해서는 이상의 3약점 중 2개 이상을 준비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이클을 돌리거나 적은 수의 약점으로 압박해오는 강철 타입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
  • 격투 준비하면 0배: 강철/고스트, 1배: 강철/에스퍼, 강철/페어리, 강철/벌레, 강철/비행
  • 준비하면 0배: 강철/비행, 1배: 강철/벌레, 강철/풀
  • 불꽃 준비하면 0배: 히드런, 1배: 강철/드래곤, 강철/바위, 강철/물

가능한 조합들을 보자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격투 + 땅의 경우, 여전히 강철/벌레에게 1배밖에 못 낸다는 문제가 남는다. 히드런과 강철/풀은 격투에 의해 2배. 강철/바위도 격투에 의해 4배.
  • 불꽃 + 격투의 경우, 불꽃이 격투가 1배 이하인 강철/고스트, 강철/에스퍼, 강철/페어리에 2배, 강철/벌레에 4배이며, 격투가 불의 1배 이하인 히드런과 강철/드래곤에게 2배, 강철/바위에 4배다.
  • 불꽃 + 땅의 경우, 불이 땅이 1배 이하인 강철/비행에 2배, 강철/벌레와 강철/풀에게 4배이며, 땅이 불꽃이 1배 이하인 강철/드래곤에게 2배, 히드런과 강철/바위에 4배다.

다만 강철 타입의 그 존재감 때문에, 실전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플레이어가 강철 타입을 의식하고 그에 대한 대처를 조금씩은 한다는 게 문제다. 좋은 방어 상성을 가진 건 분명 사실이지만, 그만큼 상대도 강철 타입을 대비할 불꽃, 격투, 땅 타입 공격기나 포켓몬을 적어도 하나 이상은 준비하고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 중에서도 굳이 꼽아보자면, 강철 타입 기술을 반감함과 동시에 강철 타입 포켓몬의 우수한 방어 스탯에 영향받지 않는 고위력 특수기가 많이 쓰이는 불꽃 타입이 강철의 가장 큰 천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더불어 강철 타입의 경우 대체로 방어 스탯은 높으나 특방 스탯이 낮은 경우가 많아, 1배이지만 특수형이 많은 물/전기 타입 어태커 역시 강철 타입의 난적 중 하나.[8] 때문에 무작정 상성만 믿고 내지른다면 오히려 상대의 심리전에 말려들어 허무하게 쓰러질 수 있으므로, 강철 타입은 순전히 사기 타입이라기보다는 눈치 싸움이 뒷받침되어야 그 위력을 발휘하는 타입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강철 복합 타입을 대처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광범위하고 4배 타점이 많은 조합은 불꽃 타입 공격과 땅 타입 공격의 조합이다. 그렇다고 해서 뭐 폭타 같은 포켓몬을 들고 갈 필요는 없으며, 강철 타입 포켓몬 견제를 고려할 때 파티 내에 저 두 타입의 기술들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면 좋다. 물론 너트령 앞에 불꽃 타입 포켓몬을 내 놓는 식으로 상대에게 자속 4배를 날리겠다는 광고(...)를 하면 상대도 어지간해서는 교체하니 상당한 심리전이 필요하다.

4. 특징

바위 타입보다도 더욱 무겁고 단단한 이미지 때문에 방어 종족값이 높은 포켓몬이 매우 많이 포진되어 있다. 유리내구 분배라 하더라도 특방이 낮지 방어가 낮은 포켓몬은 알로라 닥트리오, 루카리오 정도로 극소수. 높은 방어력에 대한 대가로 특수방어나 스피드 중 하나가 떨어지는 포켓몬이 많다.

반감이 많고 약점이 적지만 그 적은 약점이 모두 메이저하다. 그러나 상술했듯이 불꽃, 격투, 땅이 공격적으로 메이저한 이유 중 하나가 강철의 약점을 찌르기 때문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강철의 강력함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단일 타입이 많은 노말 타입과는 대조적으로, 다른 타입과의 조합이 매우 많으며, 단일 강철 타입은 소수다. 강철 타입이 처음 등장한 2세대에는 단일 강철 타입이 없었고, 3세대의 입치트[9]레지스틸이 최초의 단일 강철 타입이었다. 타입이 변할 수 있는 아르세우스실버디를 제외하면, 레지스틸, 기기기어르, 메가보스로라, 멜메탈, 나이킹, 대왕끼리동, 꿈트렁으로 끝.

클레피, 입치트처럼 체구 자체가 작거나, 두랄루돈처럼 키에 견주어 몸무게는 가벼운 이례적인 경우를 빼면 최종 진화형 기준으로 몸무게가 무거운 포켓몬이 대다수이다. 이는 모래바람 파티 동료들인 바위, 땅 타입 포켓몬과의 공통점이다.

9세대 기준으로 강철 타입과 조합되지 않은 타입은 노말 타입뿐이다.

5. 역사

악 타입과 함께 2세대에서 추가되었다. 기존 포켓몬에 추가된 사례가 없는 악 타입과는 달리, 코일 계열을 강철 타입으로 편입하였다. 이후 리전폼을 통해 1세대에서도 강철 타입이 추가되었는데, 알로라 폼 고지, 알로라 폼 닥트리오, 가라르 폼 나옹에게 강철 타입이 추가되었다.

5세대까지는 악, 고스트 타입 공격에도 내성이 있었으나, 6세대에서 방어 상성이 변경되어 페어리 타입에 약점을 찌르게 한 대신 악, 고스트 타입 공격을 더 이상 반감할 수 없게 하향되었다.[10] 아무래도 6세대에 새로 추가된 페어리 타입에 내성이 있음과 동시에 약점을 찌를 수 있게 되어서 하향하지 않으면 안 그래도 오밸 논란이 있는 타입에 날개를 달아주는 꼴이 되기 때문인 듯. 거기다 메타그로스동탁군이 강철/에스퍼 조합으로 대전환경에서 엄청난 강캐로 군림했기 때문에, 약점을 늘리는 차원에서 취한 조치로 보여진다.[11]

9세대 기준으로도 페어리 타입이 강철 타입의 약점을 찌르는 타입과의 조합을 가지고 있는 포켓몬은 무쇠무인 하나뿐으로, 강철 타입은 페어리를 견제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6. 세대별 포켓몬

  • 새로운 세대에서 폼 체인지나 리전 폼을 얻은 포켓몬은 그 세대로 편입한다.
  • 8세대 포켓몬은 가라르, 히스이 지방을 모두 포함한다.
  • 새로 추가된 타입(강철, 악, 페어리)의 포켓몬은 그 타입이 추가되기 전의 세대로 편입한다.
  • 폼체인지 및 리전폼의 경우, 폼체인지 전후 타입이나 리전폼-원종 타입이 같으면 1마리, 다르면 별개의 개체로 간주한다.
1세대
(2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081_f00_s0.png
코일
파일:icon0082_f00_s0.png
레어코일
}}}}}}}}}
2세대
(4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205_f00_s0.png
쏘콘
파일:icon0208_f00_s0.png
강철톤
파일:icon0212_f00_s0.png
핫삼
파일:icon0227_f00_s0.png
무장조
}}}}}}}}}
3세대
(9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303_f00_s0.png
입치트
파일:icon0304_f00_s0.png
가보리
파일:icon0305_f00_s0.png
갱도라
파일:icon0306_f00_s0.png
보스로라
파일:icon0374_f00_s0.png
메탕
파일:icon0375_f00_s0.png
메탕구
파일:icon0376_f00_s0.png
메타그로스
파일:icon0379_f00_s0.png
레지스틸
파일:icon0385_f00_s0.png
지라치
}}}}}}}}}
4세대
(12종)[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395_f00_s0.png
엠페르트
파일:icon0410_f00_s0.png
방패톱스
파일:icon0411_f00_s0.png
바리톱스
파일:icon0413_f02_s0.png
도롱마담(슈레도롱)
파일:icon0436_f00_s0.png
동미러
파일:icon0437_f00_s0.png
동탁군
파일:icon0448_f00_s0.png
루카리오
파일:icon0462_f00_s0.png
자포코일
파일:icon0476_f00_s0.png
대코파스
파일:icon0483_f00_s0.png
디아루가
파일:icon0485_f00_s0.png
히드런
파일:icon0493_f16_s0.png
아르세우스
}}}}}}}}}
5세대
(12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530_f00_s0.png
몰드류
파일:icon0589_f00_s0.png
슈바르고
파일:icon0597_f00_s0.png
철시드
파일:icon0598_f00_s0.png
너트령
파일:icon0599_f00_s0.png
기어르
파일:icon0600_f00_s0.png
기기어르
파일:icon0601_f00_s0.png
기기기어르
파일:icon0624_f00_s0.png
자망칼
파일:icon0625_f00_s0.png
절각참
파일:icon0632_f00_s0.png
아이앤트
파일:icon0638_f00_s0.png
코바르온
파일:icon0649_f00_s0.png
게노세크트
}}}}}}}}}
6세대
(4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679_f00_s0.png
단칼빙
파일:icon0680_f00_s0.png
쌍검킬
파일:icon0681_f00_s0.png
킬가르도
파일:icon0707_f00_s0.png
클레피
}}}}}}}}}
7세대
(14종)[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027_f01_s0.png
모래두지
(알로라 리전 폼)
파일:icon0028_f01_s0.png
고지
(알로라 리전 폼)
파일:icon0050_f01_s0.png
디그다
(알로라 리전 폼)
파일:icon0051_f01_s0.png
닥트리오
(알로라 리전 폼)
파일:icon0773_f00_s0.png
실버디
파일:icon0777_f00_s0.png
토게데마루
파일:icon0791_f00_s0.png
솔가레오
파일:icon0797_f00_s0.png
철화구야
파일:icon0798_f00_s0.png
종이신도
파일:icon0800_f01_s0.png
네크로즈마
(황혼의 갈기)
파일:icon0801_f00_s0.png
마기아나
파일:icon0805_f00_s0.png
차곡차곡
파일:icon0808_f00_s0.png
멜탄
파일:icon0809_f00_s0.png
멜메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052_f02_s0.png
나옹
(가라르 리전 폼)
파일:icon0618_f01_s0.png
메더
(가라르 리전 폼)
파일:icon0823_f00_s0.png
아머까오
파일:icon0863_f00_s0.png
나이킹
파일:icon0878_f00_s0.png
끼리동
파일:icon0879_f00_s0.png
대왕끼리동
파일:icon0884_f00_s0.png
두랄루돈
파일:icon0888_f01_s0.png
자시안
(검왕)
파일:icon0889_f01_s0.png
자마젠타
(방패왕)
파일:icon0705_f01_s0.png
미끄네일
(히스이 리전 폼)
파일:icon0706_f01_s0.png
미끄래곤
(히스이 리전 폼)
}}}}}}}}}
9세대
(11종)[1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icon0957_f00_s0.png
어리짱
파일:icon0958_f00_s0.png
벼리짱
파일:icon0959_f00_s0.png
두드리짱
파일:icon0965_f00_s0.png
부르롱
파일:icon0966_f00_s0.png
부르르룸
파일:icon0968_f00_s0.png
꿈트렁
파일:icon0983_f00_s0.png
대도각참
파일:icon0990_f00_s0.png
무쇠바퀴
파일:icon1000_f00_s0.png
타부자고
파일:icon1018_f00_s0.png
브리두라스
파일:icon1023_f00_s0.png
무쇠감투
}}}}}}}}}
총합
79종

7. 스토리 공략

스토리에서도 좋은 방어 상성 덕분에 많이 쓰이는 타입이다. 역시 페어리와 마찬가지로 안 쓰이는 포켓몬을 나열하는 것이 빠를 정도. 다만, 생각보다 지역도감에서 많이 안 나오는 타입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5세대까지는 격투 타입과 타점이 겹쳐서 강철 타입 포켓몬의 설 자리가 별로 없었다.

기술 측면에서는 소드/실드 이전까지 러스터캐논 외에는 강철 타입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낮았다. 물리형 포켓몬들에게는 가르침 기술이 없는 소프트일 경우 강철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나빴으며, 러스터캐논도 BW2나 XY처럼 엔딩 이후에나 배울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다 보니 기술 폭이 넓은 강철 타입 포켓몬(엠페르트, 루카리오, 몰드류 등)은 상황에 따라 강철 타입 기술을 빼고 진행할 정도였다. 물론 강철 타입 자체도 정배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다보니[16] 자속 보정을 살리는 경우도 없지 않다. 노말, 에스퍼와 비슷한 케이스.

스토리에 유용하다고 손꼽히는 포켓몬은 다음과 같다.

8. 네임드 트레이너

파일:강철 타입.svg 강철 타입 네임드 트레이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규리(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성호(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동관(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간피|{{{#!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멀레인|{{{#!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로즈(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피오니|{{{#!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뽀삐(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네리네(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 ||


강철 타입도 드래곤 타입과 마찬가지로 네임드 트레이너들은 후반부에 주로 등장한다.

강철 타입 네임드는 여성인 규리가 첫 시작을 끊었지만 이후 등장인물들은 전원 성인 남성이었다가 9세대에서 여성 네임드 뽀삐가 등장했다. 시작은 남자인 독수였지만 이후 여자만 출연하다가 9세대에서 남자가 출연한 독 타입과는 정반대의 경우.

9. 상징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o21x9g6e9P1u5s2mlo8_400.png
하나리그 전당등록 배경은 빛을 받아 빛나는 금속의 표면.
파일:강철 타입.png
레츠고 시리즈, 소드·실드에서의 아이콘

10. 기타

애니메이션에서는 XY까지 지우의 엔트리에 들어오지 않다가, 썬문에서야 멜메탈이 들어왔다. 지우 일행까지 범위를 넓히면, 웅은 AG에서 쏘콘을 소유했고, DP 사이드스토리에서 롱스톤이 강철톤으로 진화했다. BW에서는 아이리스몰드류를 소유했다.

무성 포켓몬이 가장 많은 타입이다. 그리고 강철의 딱딱한 이미지와 철제로 이루어져 있는 몸이라 안면 근육도 없다는 점 때문에 강철 타입 포켓몬들은 굳은 표정인 포켓몬들도 있다. 동탁군이나 기기기어르처럼 어디가 얼굴인지 알기 힘든 포켓몬도 있다.


[1] 2세대에서는 더블니들에 맞으면 독 상태이상에 걸릴 수 있다.[2] 그나마 풀죽음 30%라는 최상급 효과를 가진 아이언헤드가 위력 부족을 감안하고도 강력한 기술에 속하나, 풀죽음의 특성상 느린 포켓몬이 많이 포진된 강철 타입의 범용 기술로는 부적합한 경우가 많다.[3] 메이저급은 물론이고 플랫 룰에서 나올법한 포켓몬들 대부분이 1개쯤은 가지는 타입들이다.[4] 그 전에 지라치의 경우 아이언헤드 + 사념의박치기 연타 전법이 주류기 때문에 채용 가치도 낮다.[5] 공격이 명중하지 않아도, 시전자의 특성이 매직가드여도 HP가 소모되고 HP가 홀수인 경우 절반+1의 HP가 소모된다. 이유는 철제광선은 반동기가 아니라 자폭기이기 때문.[6] 이마저도 6세대에 와서야 11개가 된 것이다. 5세대까지는 무려 12개(고스트, 악 타입의 공격을 반감, 페어리 타입 부재)였다.[7] 그나마 얼음/강철 조합은 바위/강철에 비하면 약점 및 자속 공격기 보완이 좀 더 좋아서 상대적으로 더 좋은 평가를 받는다. 거기다가 반감하는 타입 수도 전자가 더 많다.[8] 강철 타입 포켓몬 중 물/전기를 둘 다 반감 이하로 받아낼 수 있는 포켓몬은 디아루가, 너트령, 종이신도, 두랄루돈, 히스이 미끄래곤 단 다섯 뿐이다.[9] 다만, 6세대에서 페어리 타입이 추가되면서 물러나가게 되었다.[10] 덕분에 고스트는 악타입 말고는 반감되는 타입이 없어져서 이 패치를 기점으로 공격 일관성이 매우 뛰어난 타입이 되었다.[11] 다만, 해당 패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에스퍼 타입 공격 반감은 여전히 남아있는 바람에 에스퍼 타입의 평가의 급하락에 큰 영향을 끼쳤는데다, 고스트 타입 공격은 페어리에 반감되도록 바뀐 악 타입 공격이랑 달리 마땅한 조치가 따로 없었는데다 그 악 타입도 8세대부터 본격적으로 사기적인 성능을 보여주는 덕에 현재는 평가가 미묘한 편.[12] 신규 포켓몬 11종+도구에 따른 타입 변화 1종[13] SM 신규 포켓몬 5종+리전 폼 4종+도구에 따른 타입 변화 1종+USUM 신규 포켓몬 1종+USUM 폼체인지 1종+LPLE 신규 포켓몬 2종[14] 가라르 본토 신규 포켓몬 7종+가라르 본토 리전 폼 2종+히스이 리전 폼 2종[15] 팔데아 본토 신규 포켓몬 9종+남청의 원반 신규 포켓몬 2종[16] 약점을 찌르는게 적어서 그렇지 1배로 들어가는 것도 노말, 풀, 격투, 독, 땅, 비행, 에스퍼, 벌레, 고스트, 드래곤, 악 타입이다. 3개 약점 공격에 11개 정배는 결코 나쁜 게 아니다.[17] 1세대까진 단일 전기 타입이었다가 2세대부터 강철 타입이 추가되었다.[18] 7세대 강철 포켓몬들은 토게데마루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설, 환상의 포켓몬이라 7세대에 출연하는 전세대 강철 타입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스토리에 영입하기가 힘들다.[19] 바이올렛 한정. 레전드 루트 클리어 후 '토진의 주인' 개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