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20:57:51

강원대학교/학부/동물생명과학대학/동물응용과학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강원대학교/학부/동물생명과학대학
파일:강원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bottom:-5px; margin-left:-11px; margin-right:-11px; margin-top: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margin-top:-5px;"
캠퍼스
춘천캠퍼스 삼척캠퍼스 도계캠퍼스
대학 정보
역사 학부 대학원
학사 제도 동아리 학내 언론
커뮤니티 사건 및 사고 출신 인물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275cab>
부속 시설
||
동물병원 동해수련원
중앙박물관 도서관 학생생활관
}}}}}}}}} ||

파일:강원대학교 흰색 심볼.svg 강원대학교의 단과대학
춘천캠퍼스
간호대학 경영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과학대학
문화예술·공과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산림환경과학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IT대학 자유전공학부
삼척·도계캠퍼스
공학대학 인문사회·디자인스포츠대학 보건과학대학 자유전공학부

파일:강원대학교 흰색 심볼.svg 강원대학교의 동물생명과학대학
춘천캠퍼스
동물산업융합학과 동물응용과학과 동물자원과학과


1. 학과 소개
1.1. 학과 시설 및 위치1.2. 학과 특성 및 장점
1.2.1. 학과 특성1.2.2. 학과 장점
2. 전공 과목
2.1. 학문기초 및 전공 영역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2.2. 대학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3. 실험실 현황
3.1. 동물 생명공학 분야3.2. 동물성 식품과학 분야

1. 학과 소개

호우카틀 카이픽
베리타스 곰두리
파호치킨 초이홀
아리아리 강원대!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의 학과이며, 단과대 3개 학과 중 축산과 가장 거리가 먼 학과이다. 동물자원학과, 식품공학과, 생명공학과에서 배우는 교과목들을 다루고, 이 3가지 학문이 융합되어 동물성 소재에 식품공학적, 생명공학적으로 응용하는 법을 배운다.

1. 동물성 식품에 대한 과학적 이해
  • 동물성 식품 (육류, 유제품, 계란, 부산물 등) 가공 및 품질관리
  • 식품 화학 분석, 동물성 식품소재의 산업적 활용
  • 식품에 생명공학 및 나노기술 적용
    • 식품에 리포좀 시스템을 적용하여 첨가물 및 유효성분의 효과적인 전달방법 연구

2. 동물과 인간의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명공학 기술 연구
  • 동물 유전공학: 동물 친자확인, 멸종위기종 및 한우 종 보존
  • 동물 발생공학: 인간과 동물의 난임 해결을 위한 연구
  • 줄기세포공학: 배양육, 인공 피부조직 개발
  • 동물 면역학 및 의약공학: 동물용 질병백신 및 재조합 의약품 개발
  • 미생물 생명공학: 미생물 유전공학 및 대사공학 연구, 미생물 유전체 분석
  • 동물세포배양 및 동물실험을 통한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졸업 후 진출 분야
  • 생명공학, 제약, 식품과학 관련 산업체 및 연구소
  • 대학원 진학
  • 대학병원 부설 연구소, 난임클리닉

인재상
  • 생명공학, 식품과학과 관련된 전공 핵심역량을 갖추고 관련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학생
  •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전공 관련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학생

1.1. 학과 시설 및 위치

전공강의실 동물생명 1호관 107호
동물생명 2호관 106호, 226호
공동실험실 학생실험실1 (실험수업용): 동물생명 2호관 223호
학생실험실2 (공동기기실): 동물생명 2호관 213호
부속 시설 육가공 및 유가공 실습공장
(동물생명 2호관 뒷편)
학과사무실 동물생명 2호관 220호
동물생명과학대학
교양강의실
동물생명 1호관 114호
동물생명 2호관 318호, 325호

1.2. 학과 특성 및 장점

1.2.1. 학과 특성

  • 동물자원과학과, 식품공학과, 생명공학과의 특성을 모두 갖고있는 학과이다. 처음 학과가 개설될 당시에는 낙농학과와 축산가공학과로 분리된 상태였는데, 동물자원에 생명공학 및 식품공학적 기술을 응용하는 산업군이 성장함에 따라 동물응용과학과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 동물자원과학과와 유사한 측면이 있긴 하지만, 가축과 직접 마주하기보다는 동물성 소재에 식품공학, 생명공학기법이 적용되는 학문이기 때문에, 식품공학과생명공학과에서 강의하는 주요 교과목들이 다수 개설되어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기초 과학을 동물성 식품 및 동물 생명공학에 적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강의와 연구가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1.2.2. 학과 장점

  • 성적 장학금, 저소득 학생 장학제도를 비롯하여 동문회 장학금(강축장학회), 기업체 장학금(서울우유, 하림 등) 등 다양한 장학금 기회 제공
  • 축산기사와 식품기사 모두 취득이 가능하며, 방학 중 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특강이 개설된다.
  • 동물생명과학대학에서 동물응용과학과가 학과 성격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대학원 과정이 분리되어있다.
  • 실험실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 및 비교과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편이다.
    • 미생물 유전공학, 동물 관련 앱 개발, 생물정보학, 아이스크림 제조, 동물간식 제조, 딥러닝, 육제품 제조, 치즈 제조 실습
  • 현장실습(기업체/공기업 인턴 등) 및 견학 프로그램을 수업과 연계하여 진행하거나, 별도로 진행한다.
  • 취/창업 교육 진행(자기소개서/스피치 클리닉, 동문 초청 특강, 기업별 채용 설명회 진행, 인/적성 검사 특강 등)
  • 2023년 취업 우수 학과로 선정되었다.

2. 전공 과목

대부분의 과목이 화학, 생물과 관련이 깊고, 물리 관련 지식도 일정 수준 필요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과학 교과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라면 쉽게 수강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기초과학 지식을 식품, 동물생명공학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창의력 또한 필요하다. 동물 생명공학 관련 교과목과 동물성 식품 관련 교과목이 거의 1대1 비율로 존재하며, 기초부터 응용 과목, 실무 관련 과목까지 골고루 분포해 있다.

영어 원서를 가지고 수업을 하는 과목도 다수 존재하며, 그렇지 않은 과목들도 수업 자료 중 영문으로 된 것들이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영문 독해능력 또한 요구된다.

관련 고교 교과: 영어, 생명과학 (1,2), 화학 (1,2), 물리 (1)

2.1. 학문기초 및 전공 영역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학문기초, 전공필수 과목은 필수 이수.
  • 교과목별 설명은 학과 홈페이지 참고.
1학년 학문기초 1학기: 일반생물학, 동물생명과학의 이해
2학기: 일반미생물학, 생물통계학 및 실습, 일반화학
전공필수 2학기: 동물생명·식품과학개론
전공선택 1학기: 진로탐색과 꿈설계 (필수)
2학년 학문기초 1학기: 생화학
전공필수 1학기: 동물성 식품 미생물학, 동물 분자유전학
2학기: 유화학
전공선택 1학기: 부산물소재학, 기초생리학, 식품생명과학 및 실험
2학기: 동물성 식품의 성질과 산업, 동물성 식품 영양화학, 분자세포생물학, 동물 미생물 생명공학, 동물 의약공학
3학년 전공필수 1학기: 식육가공학 및 실험
전공선택 1학기: 유가공학, 동물성 식품 면역학, 동물 발생공학, 식품 생리활성물질학, 동물면역과 질병백신, 동물유전체학
2학기: 동물성 식품 영양 유전체학, 동물성 식품화학, 동물성 식품 저장학, 동물성 식품 위생학, 동물 대사조절학, 동물 유전공학, 직업선택과 꿈설계 (필수)
4학년 전공선택 1학기: 동물성 식품위해관리, 동물성 식품 분석학, 동물성 식품 기계학, 동물응용과학 세미나, 동물생명·식품과학실험실습 1
2학기: 동물 세포 배양학, 기능성 유식품학, 동물생명공학정보와 인공지능, 동물성 식품 품질관리학, 동물생명·식품과학실험실습 2

2.2. 대학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동물생명과학대학의 타 학과들과 독립된 대학원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과목은 2020년 이후에 개설된 적이 있거나, 2024년에 개설될 예정인 교과목이다.
  • 건강기능식품개발및표준화 (Functional food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 고급식품화학 (Advanced food chemistry)
  • 근육식품과학특론 (Advanced Muscle Food Science)
  • 나노기술과 식품위생 (Nanotechnologies in Food Safety)
  • 농업사물인터넷 (IoT in Agriculture)
  • 동물기관발생학 (Animal Organogenesis)
  • 동물부산물 생산생리화학 (Biochemical Aspects of Animal Byproducts)
  • 동물분자발생생물학 (Animal Molecular Developmental Biology)
  • 동물분자유전학특론 (Advanced Animal Molecular Genetics)
  • 동물성식품과 ESG (Animal Origin Foods and ESG)
  • 동물성식품품질특론 (Quality of Animal Origin Foods)
  • 동물세포생리학 (Animal Cell physiology)
  • 동물실험과 윤리 (Experimental Animal and Ethics)
  • 동물응용세포생물학 (Animal Applied Cell Biology)
  • 부산물조직학 (Animal By-products Histology)
  • 분자생물학특론 (Advanced Molecular Biology)
  • 생리활성물질탐색및분석법 (Screening and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 생명공학통계및시각화 (Statistics and Visualization for Biotechnology Data)
  • 우유 및 유제품의 영양학 (Milk and Dairy Products Nutrition)
  • 장내마이크로바이옴유전체학 (Genomics of Gut Microbiome)
  • 축산식품살균공정 (Thermal and nonthermal processing for meat and dairy products)
  • 콜라젠학 (Collagen Science)

3. 실험실 현황

현재 운영중 (대학원생 및 학부연구생 모집중)인 실험실만 기재하였다.

3.1. 동물 생명공학 분야

분자유전학 실험실
Laboratory of Molecular Genetics
실험실 소개 및 연구분야
1. 유전자 분석: 가축의 경제형질관련 후보 유전자 분석 실험: DNA 동일성 검사, 반려동물 및 야생동물 유전자 검사
2. 유전자 발현 기작 연구: 세포배양과 동물실험을 통해 독성물질 등 천연물질의 유전자 발현 기작 연구
위치
동물생명과학대학 1호관
관련 교과목
생화학, 동물분자유전학, 분자세포생물학, 동물유전공학, 동물유전체학, 동물분자유전학특론(대학원)
줄기세포 바이오모듈레이션 실험실
Laboratory of Stem Cell Bio-modulation
실험실 소개 및 연구분야
1. 줄기세포 및 조직공학 연구: 동물자원의 줄기세포의 미분화 유지, 분화 조절, 조직공학 연구
2. 발생공학 연구: 인간과 동물의 난임 해결
위치
동물생명과학대학 2호관
관련 교과목
생화학, 분자세포생물학, 기초생리학, 동물발생공학, 동물대사조절학, 동물분자발생생물학(대학원)
부속 시설
KUSTOGEN (교원창업기업) 부설 연구소
미생물 유전체 빅데이터 실험실
Laboratory of Microbial Genomics and Big Data
실험실 소개 및 연구분야
1. 미생물 관련 생명공학 분야 연구: 생명공학기법, 동물실험을 이용하여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경구 백신/의약품 개발
2. 장내미생물 빅데이터: 인체, 가축, 반려동물 유전체(Genome) 및 이들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메타유전체(Meta-Genome) 빅데이터 분석
3. BT, IT 융합: IoT(Internet of Things) 및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스마트팜(Samrt Farm) 시스템 개발
위치
동물생명과학대학 2호관
관련 교과목
생화학, 동물성 식품 미생물학, 동물 미생물 생명공학, 동물면역과 질병백신, 장내마이크로바이옴유전체학(대학원)

3.2. 동물성 식품과학 분야

식품 생리활성 물질학 실험실
Laboratory of Pharmacognosy & Bioactive Natural Products
실험실 소개 및 연구분야
1. 천연물 연구: 식품소재 및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물질들의 분리/정제/기기분석
2. 건강기능식품 연구: 기능성식품의 개발 및 효능평가에 대한 연구
위치
동물생명과학대학 2호관
관련 교과목
생화학, 동물성식품영양화학, 동물성식품화학, 식품생리활성물질학, 동물성식품분석학
식품 생체대사 조절학 실험실
Laboratory of Food and Bio-metabolic Regulation
실험실 소개 및 연구분야
1. 근육식품 (식육) 생체대사 연구: 식육 내 영양성분이 체내 대사에 미치는 효과 연구
2. 식육 유래 기능성 성분 연구: 면역증진 식품, 피부미용식품,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한 대체육 개발
위치
동물생명과학대학 2호관
관련 교과목
분자세포생물학, 생화학, 식육가공학및실험, 동물성식품분석학, 근육식품과학특론(대학원)
나노기반 식품안전 실험실
Laboratory of Nanotechnology and Food Safety
실험실 소개 및 연구분야
1. 식품에 적용 가능한 리포좀 시스템 연구: 리포좀의 안전한 대량 제조방법, 식품 유효성분 캡슐화 연구
2. 나노 구조물 물리분석: 식품 안전성 향상 및 살균을 위한 나노 구조물 개발, 리포좀 및 나노 구조물의 AFM (원자 힘 현미경) 물리분석
위치
동물생명과학대학 2호관
관련 교과목
생화학, 유기화학, 동물성식품화학, 동물성식품분석학, 나노기술과식품위생(대학원), 축산식품살균공정(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