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6:13:48

강릉IC

강릉 나들목
江陵 나들목
Gangneung Interchange
강릉 요금소
Gangneung Tollgate
삼척 방면
남강릉IC
← 8.2 km
파일:Expressway_kor_65.svg 속초 방면
강릉JC
2.7 km →
◀   구정휴게소(양방향)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위촌리
관리기관
동해선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 강릉지사
개통
1988년 12월 15일 (舊 강릉IC)
2001년 11월 28일 (現 강릉IC)
접속도로
[[35번 국도|
35
]](경강로)

1. 개요2. 구조
2.1. 속초 방향2.2. 삼척 방향
3. 역사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동해고속도로 35번.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동해고속도로 348 (위촌리 산120-10)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트럼펫형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강릉시에서 유래했다.

왕복 2차로던 이설 이전 舊 동해고속도로 시절에도 있었던 나들목으로, 1988년 동해고속도로 모전~죽헌 구간 연장이 완료되며 개설됐다. 강릉시청 바로 앞에서 동해대로강릉대로가 만나는 다이아몬드형 입체교차로인 홍제교차로가 개설 당시의 강릉IC다.[1] 개통과 함께 서쪽으로 舊 영동고속도로와의 연결도로(現 강릉대로)를 냈으며, 이 연결도로는 신설된 홍제IC(現 홍제회전교차로)를 통해 영동고속도로로 이어졌다.[2] 실질적인 강릉JC의 역할도 했으나 홍제IC~강릉IC 구간이 고속도로로 지정되지 않았기에 법령상으로는 분기점으로 지정되지 않았다.[3]

2001년 11월 28일에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신설과 동해고속도로 강릉-현남(現 남양양IC) 구간 개통과 동시에 새로운 강릉IC가 영업을 개시했다. 그러나 동해고속도로 동해-강릉 구간은 아직 기존의 왕복 2차로 구간을 사용했기 때문에 새 동해고속도로에 개통된 新 강릉IC와 기존 동해선의 舊 강릉IC가 잠시 공존하기도 했다.[4] 이후 2004년에 왕복 4차로 신선으로 동해IC-강릉IC 구간이 새롭게 개통됨에 따라 기존 고속도로 구간은 2005년 1월 1일부로 지정 해제됐고, 강릉IC도 지금의 나들목으로 일원화됐다.[5]

강릉 시내에서 가장 가까운 나들목인 만큼 강릉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톨게이트에 다차로 하이패스도 설치됐는데, 평시 교통량이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님에도[6]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대비를 위해 비교적 일찍 도입된 편이다. 다만 다른 곳과 달리 이쪽은 곧바로 입체교차로가 나오는 진출입로라 그런지 제한속도가 50km/h로 본선 상에 설치된 다차로 하이패스의 80km/h보다 낮다.

2. 구조

2.1. 속초 방향

  • 진출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강로 양방향

2.2. 삼척 방향

  • 진출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강로 양방향

3. 역사

  • 1988년 12월 15일 동해고속도로 모전IC~죽헌IC 구간과 함께 개통돼 영업을 개시했다.
  • 2001년 11월 28일 17:00 동해고속도로 강릉IC ~ 남양양IC 구간 개통에 따라 새 강릉IC가 영업을 개시했다.
  • 2004년 11월 24일 16:00 동해고속도로 동해IC ~ 강릉IC 구간이 개통되며 지금의 구조가 됐다.
  • 2005년 1월 1일 舊 동해고속도로 구간이 고속도로에서 지정 해제되며 舊 강릉IC도 동시에 지정 해제됐다.
  • 2007년 10월 29일 15:00 - 강릉TG에서 하이패스 사용이 가능해졌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65.svg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부산IC - 해운대IC - 해운대송정TG - 기장IC/기장JC(파일:Expressway_kor_600.svg) - 장안IC - 장안SA - 온양IC - 청량IC - 울주JC(파일:Expressway_kor_14.svg) - 문수IC - 울산JC(파일:Expressway_kor_16.svg) - 범서IC -
외동SA - 남경주IC - 동경주IC - 양북SA - 남포항IC - (계획중) - (공사중) - (계획중) - 근덕IC - 삼척IC - 동해IC - 망상IC - 동해SA - 옥계SA - 옥계IC - 남강릉IC -
구정SA - 강릉IC - 강릉JC(파일:Expressway_kor_50.svg) - 북강릉IC - 남양양IC - 양양SA - 하조대IC - 양양JC(파일:Expressway_kor_60.svg) - 북양양IC - 속초TG - 속초IC
}}}}}}}}}


[1] 환상의 海岸길 130里…볼거리 많아 三陟과 五十川, 1989-07-28, 동아일보[2] 現 홍제회전교차로에서 경강로 평창방면에서 강릉대로로 곧장 진입하는 고가차도인 홍제육교가 과거 홍제IC의 흔적이다.[3] 도로현황조서 1988년, 1997년, 2001년 참조. 이설 이전 영동고속도로의 종점은 홍제동 367-2 일원으로, 현재 기준으로는 홍제회전교차로에서 경강로를 따라 약 200m 떨어진 지점이다. 즉 홍제IC를 나와 일반도로를 거쳐 다시 강릉IC로 진입하는 간접연결 형식이었던 것.[4] 그래서 이 당시 영동고속도로에서 강릉JC를 통해 진입하거나 현남에서 내려온 차량이 남쪽 끝이던 동해시까지 동해고속도로를 쭉 이용하려면 新 강릉IC로 진출해 舊 영동고속도로(現 경강로)로 진입한 뒤 舊 홍제IC를 통해 연결도로(現 강릉대로)로 진입, 舊 강릉IC로 진입해서 동해까지 가야 했다.[5] [강릉]오늘부터 국·군도 달라진다, 2005-01-01, 강원일보[6] 그래서 다차로 도입 전까지 하이패스 차로도 단 1차로 뿐이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