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3:58:18

감자밥

🍚 밥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밥짓는 재료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국밥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김밥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덮밥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볶음밥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비빔밥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주먹밥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쌈밥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초밥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기타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미음 · · 치밥 · }}}}}}}}}

🥔🍠🌽 한국의 감자 · 고구마 · 옥수수 요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6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765a3> 감자 감자국 · 감자떡 · 감자밥 · 감자볶음 · 감자전 · 감자조림 · 감자튀김 · 감자 핫도그 · 군감자 · 옹심이 · 포테이토 피자 · 회오리 감자
고구마 고구마떡 · 고구마밥 · 고구마빵 · 고구마전 · 고구마 케이크 · 고구마튀김 · 고구마 피자 · 군고구마 · 맛탕 · 잡채
옥수수 군옥수수 · 버터콘 · 옥수수떡 · 옥수수밥 · 올챙이국수 · 콘치즈 }}}}}}}}}

파일:감자밥.jpg

1. 개요2. 조리법3. 건강4. 북한에서의 감자밥

1. 개요

멥쌀에 껍질 벗긴 감자를 넣고 지은 을 말한다.

언제부터 밥에 감자를 넣고 같이 지어먹었는지는 모르지만 조선시대 서적 『구황촬요』(救荒撮要)에 따르면 보릿고개 시절에 이 부족할 때에 감자를 넣고 먹었다는 기록이 있고 강원도와 같은 산이 많은 지역에서 그렇게 먹어 흉년을 보탰다고 한다. 사실 쌀을 재배하기 어려운 강원도 이북에서는 흉년이 아니더라도 자주 해먹었다.

먹을 때는 감자를 으깨서 먹거나 통째로 해서 먹는다. 간장을 넣고 비벼 먹어도 맛있다.

2. 조리법

깨끗이 씻은 감자를 먹기 좋게 자른 후 멥쌀과 함께 밥솥에 넣어서 물을 붓고 만든다.

3. 건강

엄지의 제왕에서 잡채밥, 국밥과 함께 3대 최악의 밥으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그 내용에 따르면 감자밥의 경우 탄수화물 폭탄 즉, 탄수화물 과잉 섭취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당뇨병 환자들에게는 흰쌀밥보다도 더 위험한 음식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반대로 말하면 탄수화물 보충에 매우 좋은 밥이라는 의미다. 참고로 잡채밥과 국밥도 이유가 있는것이 잡채밥은 탄수화물인 쌀밥에 탄수화물인 당면으로 만든 잡채가 더해져서 마찬가지로 탄수화물 폭탄[1]이고, 국밥은 국물에 잔뜩 들어있는 소금 때문이다.

4. 북한에서의 감자밥

북한에서는 옥수수밥과 함께 상당히 애증이 깊은 음식중에 하나라고 한다. 원래 19세기 이후로 자주 먹었던 음식이지만, 북한의 경제가 박살난 이후로 쌀이 비싸서 옥수수[2]와 감자를 섞고 쌀을 아주 조금만 넣은 밥을 해먹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못사는 집은 쌀조차 귀해서 그냥 옥수수 속대까지 갈아서 넣고 감자를 넣어 쌀도 없는 밥을 먹을 정도라고 한다. 다만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땅콩이나 을 추가해서 고소하게 별식으로 만들어먹기도 하는데, 이런 버전은 북한 요리책에도 나온다.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평안도 출신[3] 탈북자가 '감자박살탕'으로 부르며 보리쌀과 감자를 재료로 하는 감자밥을 만드는 모습이 퍼지기도 했다. 함경도 권역에 속하는 개마고원에 있는 지명을 언급하며 이런 곳에 사는 사람들도 이런 음식을 먹는다고 증언했다.


[1] 다만 당면을 쓴 한국식 잡채가 아닌 중국식 잡채를 쓴 잡채밥은 해당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중국집들이 한국식 잡채를 쓴 잡채밥과 구분짓기 위해 '고추잡채밥'이라고 부르는 그 메뉴이다.[2] 그나마도 북한 경제 특성상 옥수수도 마냥 배불리 먹을수는 없고 중국에서 싸게 들여온 폐기 직전의 가축 사료용 옥수수 같은걸 구해다 먹는다. 사람 먹는 용으로 재배한 품종이 아닌데다가(물론 먹을수야는 있다만 가축 살 찌라고 당분 같은 특정 영양소만 잔뜩 키워서 만든 품종이라 사람이 먹기엔 건강에 안좋다) 폐기 처분 받기 직전까지 갈 만큼 묵은 것들이다보니 남한이였으면 당장 폐기명령이 떨어져서 에누리없이 짬통에 던져버려야 하는 저질 옥수수들이라 식감도 매우 나쁘다.[3] 탈북자는 대부분 국경을 넘기 쉬운 함경도 출신이라 여기서 온 사람이 드문데, 말투나 음식 등이 많이 다르다. 싱거운 북한 음식이나 '네다'거리는 말투가 평안도에서 유래한 것이고, 함경도는 함흥냉면 비슷하게 매운 음식이나 어감이 경상도에 가깝다는 반응까지 있는 억센 억양이 있다. 그나마 평안도에서도 산골이자 함경도와 좀 가까운 곳 출신이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