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7 05:25:18

가면라이더 고스트(가면라이더)

파일:kamen_rider_ghost_logo_by_cometcomics_d91rni0-fullview.png
가면라이더 고스트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 유사 라이더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본편
파일:고스트 로고.png
고스트
파일:스펙터 로고.png
스펙터
파일:네크롬 로고.png
네크롬
그레이트 아이저

영화 (극장판)
다크 고스트 제로 스펙터 다크 네크롬 익스트리머
1호

파이널 스테이지 외전 (스핀오프)
고스트(아유무) 카논 스펙터

소설
제로 고스트
← 드라이브 라이더 목록에그제이드 라이더 목록 →
}}}}}}}}} ||

역대 헤이세이 가면라이더의 1호 라이더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헤이세이 1기
파일:d9fyssh-375abbdf-c373-4837-8aa5-ef12836aaac6.png 가면라이더 쿠우가
(고다이 유스케)
파일:아기토 로고.png 가면라이더 아기토
(츠가미 쇼이치)
파일:류우키 로고.png 가면라이더 류우키
(키도 신지)
파일:파이즈로고.png 가면라이더 파이즈
(이누이 타쿠미)
파일:로고 블레이드.png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켄자키 카즈마)
파일:히비키 로고.png 가면라이더 히비키
(히비키)
파일:카부토 로고 2.png 가면라이더 카부토
(텐도 소우지)
파일:덴오 로고.png 가면라이더 덴오
(노가미 료타로)
파일:로고 키바.png 가면라이더 키바
(쿠레나이 와타루)
파일:디케이드 컴플리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카도야 츠카사)
헤이세이 2기
파일:d9o0ymw-cfdbaa4d-11cf-43a4-8978-5816eabd4e9e.png 가면라이더 W
(히다리 쇼타로 & 필립)
파일:오즈 로고.png 가면라이더 오즈
(히노 에이지)
파일:가면라이더 포제 로고.png 가면라이더 포제
(키사라기 겐타로)
파일:위자드 로고.png 가면라이더 위자드
(소우마 하루토)
파일:가이무 카치도키 로고.png 가면라이더 가이무
(카즈라바 코우타)
파일:트라이도론 로고.png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토마리 신노스케)
파일:고스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고스트
(텐쿠지 타케루)
파일:에그제이드 로고 3.png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호죠 에무)
파일:빌드로고.png 가면라이더 빌드
(키류 센토)
파일:로고지오.png 가면라이더 지오
(토키와 소고)
← 쇼와 라이더 목록레이와 1호 라이더 목록 → }}}}}}
가면라이더 고스트의 등장 가면라이더
파일:가면라이더 고스트 오레 다마시.png
명칭 가면라이더 고스트
仮面ライダーゴースト
KAMEN RIDER GHOST
주요 장착자 텐쿠지 타케루
{{{#!folding 【 기본 스펙 (오레 다마시 기준) 보기/접기 】 변신벨트 고스트 드라이버
아이콘 드라이버 G[1]
204cm
무게 96kg
펀치력 5.5t
킥력 10t
도약력 42m
질주력 100m / 5.8초
주요 아이템 고스트 아이콘
주무장 간 건 세이버
선글라슬래셔
전용 비클 머신 고스트라이커
이구아나 고스트라이커
이미지 테마 우리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존재한다
슈트 액터 타카이와 세이지
나카타 유지[2]
에이토쿠[3] }}}


[clearfix]

1. 소개

파일:kamenrider_ghost.jpg
ゴーストだけど・・・ 命、燃やすぜ!
유령이지만... 이 한 목숨, 불태워보자!

가면라이더 고스트1호 라이더.

텐쿠지 타케루고스트 드라이버고스트 아이콘을 사용하여 변신한 가면라이더. 영웅·위인의 이념과 싱크로하여 입수하는 아이템, 고스트 아이콘을 통해 세계의 여러 영웅과 위인의 힘을 빌려 싸운다.

타케루는 살아있는 인간이 아닌, 99일 동안 불완전하게 살아난 일종의 유령 비슷한 존재이기 때문에 아이콘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이상 안마와 비슷하게 보통 사람들의 눈에는 그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변신 전에는 본인의 의지로 모습을 보이는 게 가능하지만 변신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다시 일반 사람들에겐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된다.

기본적으로 변신자인 타케루가 유령인 만큼 공중을 비행하는게 가능하다. 하지만 날아다니는 속도가 그다지 빠르진 않아서[4] 전투시엔 크게 유용하진 않은 모양. 극중에서 비행중에 적의 공격에 반격당한 경우가 한두번이 아니다(...).

또한 유루센 曰: "이미 죽었으니까 더 죽을 일은 없다."라고 하지만, 데미지를 받으면 "죽을 정도로 아프다."라고 한다(...).

2. 다마시 / 소울

문서 참고.

3. 신체 부위

문서 참고.

4. 바리에이션

4.1. 다크 고스트

4.2. 미래 고스트

4.3. 제로 고스트

소설판에서 등장한, 텐쿠지 류가 변신한 가면라이더. 메인 컬러는 붉은색이며, 제로 스펙터처럼 뿔이 3개이며 얼굴은 오레 다마시의 검은색과 주황색을 반전시키고 주황색을 붉은색으로 바꾼 모습이다.[5]

5. 기타

후드를 벗은 모습이 뿔을 빼면 매우 민둥민둥해서 탈모 라이더란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붙었다.

촬영용 슈트는 각 형태에 공통적인 바디를 사용하며, 심플함을 추구하는 디자인이지만 OLED 와이어에 의해 발광하는 기믹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가면라이더보다 더 큰 슈트가 되었다고 한다. 그 때문에 가슴 부분만 경질인 폴리 재질 파츠를 사용했으며 그 외 다른 장갑 부분은 우레탄 주형, 파카 착용 시에는 어깨나 등 쪽의 파츠를 제외해 경량화를 꾀했다고 한다. 오레 다마시를 비롯해 파카는 고무 코팅의 원단을 활용하는 게 많은 듯.[6]

액션에는 영춘권의 요소가 도입되어 있으며, 유령이 떠다니는 걸 표현하기 위해 와이어 액션을 활용하고 있다. 변신 포즈는 음양사의 손짓을 참고했다고.[7]

특이하게도 헬멧의 안면 전체는 복안이지만 눈 부위(일반 가면라이더의 복안에 해당하는 부분)은 복안이 아닌 검은색 필름이다. 말하자면 포제의 얼굴에서 눈과 얼굴이 바뀌었다고 생각하면 얼추 비슷하다.

본편에서 몸통 부분이 투명 파츠가 붙어 있는 구조라 고스트 체인지 시리즈 액션 피규어에서 소체는 클리어 소재이다.

신 파워업 아이템이자 새로운 벨트인 아이콘 드라이버 G가 공개되면서 역대 주역 가면라이더 중에서 덴오 윙 폼 이후 오랜만에 중간에 변신 벨트가 바뀌는 경우가 되었다.[8]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고스트, 스펙터, 네크롬의 투탕카멘, 삼장을 제외한 13위인 다마시+투혼 부스트가 각각 다른 사람에게 빙의한 상태로 변신한다.출처[9] 스펙터와 네크롬의 모습을 한 자이로, 마코토, 이디스, 이고르, 앨런을 제외해도 고스트로 변신을 한 인물이 벌써 10명이나 추가된 셈. 이쯤되면 고스트를 양산형이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6. 모형화

6.1. S.H.Figuarts

  • 가면라이더 고스트 오레 다마시 : 2016년 4월 발매 / 4,860엔 (세금 포함)
일반발매로, 초회생산 특전으로 유루센이 포함되어있다. 간 건 세이버는 블레이드 모드에서 건 모드로 변형 가능하다[10].

조형 자체는 우수하지만 가동이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하반신은 별다른 제약이 없지만 고스트의 특징인 파카 때문에 팔이 위로 잘 올라가지 못한다. 허리는 가동이 가능하지만 벨트와 파카가 부딪혀서 많이 움직이지 못하는 편이고, 치명적으로 상체를 굽히거나 옆으로 틀어주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11]. 추가로 시간이 지나면 얼굴이 노랗게 변색되는 문제가 발견되고 있다.

부속품의 경우 후드를 쓴 모습과 내린 모습 둘 다 구현이 가능하고 드라이브와 이후의 빌드, 지오, 제로원, 리바이와는 달리 무기와 무기 쥐는 손이 기본적으로 제공되어 있으나, 손 파츠 중 고스트 특유의 손 동작이 빠져있다. 해당 파츠는 무사시 다마시, 그레이트풀 다마시에 부속되어서 그쪽에서 가져오면 사용할 수 있다.

여러 지적 사항으로 인해 판매량이 저조해서 1호 라이더 기본폼 중에서는 매물을 찾기 쉬운 제품이다. 그것도 유루센이 포함된 초회생산 버전으로...

고스트 드라이버의 커버를 분리하면 내부의 해골 조형이 은색 도색으로 재현되어있다. 이는 무사시, 투혼 부스트, 스펙터, 딥 스펙터도 동일.
  • 가면라이더 고스트 오레 다마시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에디션- : 2023년 12월 발매 / 7,700엔 (세금 포함)
드라이브와 에그제이드, 빌드, 지오와 함께 기본폼이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에디션"이라는 타이틀로 재판되었다. 다만 드라이브, 빌드, 지오의 경우 무기와 무기 쥐는 손이 기존 발매에는 없었다가 이번 발매에서 같이 동봉되고 있지만 고스트와 에그제이드는 이미 무기가 들어있는 상태가 기본 발매였기 때문에 메리트가 적은 편이다.

일부 구매자들 사이에는 어깨가 전혀 올라가지 않는 불량이 제보되고 있다.
  • 가면라이더 고스트 투혼 부스트 다마시 : 2016년 8월 발매 / 5,832엔 (세금 포함)
일반발매로, 파워업 1호를 제외하면 SHF에서 가면라이더 강화 형태가 일반발매로 나온 마지막 사례다.

오레 다마시에 비해 부속품이 풍부한 편으로 고스트 특유의 손 동작은 물론 무기를 쥐는 손은 두 쌍, 선글라슬래셔는 소드 모드와 블래스터 모드 변형을 위해 다른 크기의 부품이 있어 비율이 맞게 되어있고, 선글라슬래셔에 장착 가능한 오레와 무사시 아이콘까지 들어가있다. 온 몸이 메탈릭 붉은색으로 도색되어있어 매우 화려한 제품이다.

다만 어깨 위로 올라가는 파카의 불꽃 파츠가 단단한 재질로 되어있어 팔 가동에 제약이 더 심해졌다. 또한 몸에 검은 불꽃 문양은 극 중 슈트에서는 몰딩으로 되어있는데[12], SHF에서는 도색으로만 처리되어있다. 또한 고스트 드라이버의 아이콘 문양은 투혼 부스트로 되어있지만 조형 자체는 오레 다마시와 동일해서 위에서 내려보면 투혼 부스트 아이콘이 아닌 기본 아이콘으로 되어있다.
  • 가면라이더 고스트 무사시 다마시 : 2016년 8월 발매 / 5,832엔 (세금 포함)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제품. 전시되었던 고스트의 폼 체인지 중 유일하게 발매된 제품이며, 오레 다마시에 없던 양손이 모인 필살기 대기 손 파츠와 간 건 세이버의 이도류 모드가 이쪽에 들어가있다. 무사시 다마시는 민소매로 되어있기에 팔 가동은 오레와 투혼 부스트에 비해 나아진 편이다.
  • 가면라이더 고스트 그레이트풀 다마시 : 2016년 12월 발매 / 6,264엔 (세금 포함)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제품으로, 초회생산 특전으로 필살기 이펙트 시트가 동봉되어있다. 다만 역시나 이쪽도 특전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을 찾는게 더 어렵다...

손 파츠는 투혼 부스트와 동일 사항이지만 오레 다마시가 사용해도 자연스러운 검은색으로 되어있고, 선글라슬래셔도 투혼 부스트랑 동일하게 들어가있다. 극 중에서는 간 건 세이버도 사용했지만 이 제품에는 없으며 오레, 무사시 다마시에서 가져와서 써야한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파카에서 벗어난 디자인 덕뿐에 가동이 제대로 확보되었다는 건데, 덕뿐에 상체를 굽히고 옆으로 틀어주는게 가능하고 팔도 상당히 자유롭다. 역사적으로 고스트의 액션 피규어는 가동 제약 문제가 하나둘씩 있어서 사실상 이 제품이 가동이 가장 잘 되는 고스트의 모형화다.
  • 가면라이더 고스트 에디슨 다마시
  • 가면라이더 고스트 로빈후드 다마시
  • 가면라이더 고스트 뉴턴 다마시
타마시네이션 2015에서 무사시 다마시와 함께 참고출품으로 전시되었으나 끝내 발매되지 못했다. 참고로 발매된 고스트 제품과는 달리 셋 다 벨트 레버의 은색 부분이 제대로 도색되어있다.
  • 가면라이더 고스트 무겐 다마시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타입 트라이도론 이후 1호 라이더의 최종 폼 모형화 소식이 끊겼다가 타마시네이션 2019에서 그랜드 지오, 빌드 지니어스 폼, 에그제이드 무테키 게이머, 고스트 무겐 다마시가 참고출품으로 전시되었다. 나머지 셋은 현재 발매가 된 상황이지만 아쉽게도 무겐 다마시 혼자 미발매로 현제 상황이 미지수다.

팬들 사이에서는 발매가 된다고 해도 가동을 우려하고 있는데, 무겐 다마시는 파카가 로브처럼 다리까지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 SHF와 같은 연질을 사용할 경우 다리까지 가동 제약이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다. 로브를 착용한 다른 가면라이더의 경우 벨트 밑에 가동축을 넣어서 다리 가동을 확보하는데, 무겐 다마시는 파카가 벨트 위로 착용되기에 그렇게 해결할 수가 없다. 아무래도 가동 확보를 위해서는 현재 진골조제법의 특권으로 쓰이고 있는 와이어가 들어간 천이 필요할 듯 하다.

6.2. SIC

  • 가면라이더 고스트 오레 다마시 : 2019년 9월 발매 / 13,200엔 (세금 포함)
SIC 브랜드가 SUPERIOR IMAGINATIVE COLOSSEUM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포제, 쿠우가, 류우키와 함께 공개되었다. 간 건 세이버와 유루센, 무사시 다마시가 포함되어있으며 무사시 다마시로 폼 체인지가 가능하다.

가면을 벗길 수 있는데, 가면 밑에 리얼한 해골 얼굴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흉부 장갑도 탈착 가능한데 늑골 비슷한 조형이 있다.

6.3. Figure-rise

파일:피라스 고스트1.jpg 파일:피라스 고스트2.jpg 파일:피라스 고스트3.jpg
<colbgcolor=darkorange><colcolor=#191919> 분류 Figure-rise Standard
제품명 가면라이더 고스트 <오레 다마시>
전고 약 160mm
재질 PVC, ABC
구성품 본체 x 1
좌우 교환용 손목 각각 7종[13]
트랜지언트 형태 구현 파츠 x 5[14]
파카 고스트 구현용 파츠 x 3[15]
간 건 세이버 x 2[16]
파카 고스트 전용 디스플레이 베이스 x 1
스탠드 구멍 마게 x 1
디케이드라이버 호환용 어댑터 x 1
디스플레이 베이스 x 1
발매 2021년 4월 23일
가격 3,500엔

오즈 타토바 콤보 발매 이후 출시되었다. 각 팔 다리의 문양은 크기 상 상식적으로 분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씰로 처리되었는데 두꺼운 플라스틱 씰로 처리되었기 때문에[17] 긁혀서 벗겨질 걱정이 없다. 다만 문제는 오레 타마시의 후드의 모든 주황색 부위마저도 스티커로 처리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들어간 주황색 부품은 얼굴의 주황색 파츠가 전부다.[18] 또한 벨트의 허리띠는 작중에서는 주황색이었는데 덕분에 이를 전부 스티커로 덮어버린다.

파카 고스트의 부품도 포함되기 때문에 본체를 트랜지언트 형태로 만든 후 함께 디스플레이 하여 변신 직전의 모습을 구현할 수 있으며 두 손을 모은 합장 손 파츠도 동봉되어 있다. 검은색 본체는 글로즈 인젝션으로 사출되었기 때문에 매끈한 촉감을 갖고 있으며 머리 뒤의 후드 부품은 부품 교체를 통해 씌워줄 수 있다. 트랜지언트 형태의 가슴 장갑은 연질 클리어 부픔을 사용했다.

하지만 후드가 연질 파츠가 아닌 그냥 플라스틱 파츠인 만큼 오레 다마시 상태에서는 허리 가동률에 제약이 커진다.[19] 은색 외장은 전부 엑스트라 피니시로 사출되었고 오레 다마시 상태의 얼굴은 내부의 몰드가 너무 선명하게 보여서 극 중 슈트와 인상이 너무 다르다며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20]

고스트 드라이버의 버클은 DX 완구처럼 반투명 커버를 벗길 수 있으며 내부에 몰드가 조형되어 있다. 다만 전부 스티커로 덮게된다. 고스트 아이콘은 별도로 조형되지 않았고 분리조차 되지 않는다. 벨트 옆 레버 역시 스티커를 사용한다.

간 건 세이버는 소드와 건 모드 두가지가 부속되는데 칼날 부위를 빼면 전부 스티커에 의존하며 손잡이는 스티커조차 없기 때문에 결국 도색이 필요하다. 또한 다리의 관절이 C형 관절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관절 강도의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전작들 중에서 품질이 월등히 높은 제품들이 많았기 때문에 고스트의 품질 면에서는 확실하게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또한 디케이드라이버 호환용 어댑터가 포함되어 있다. 디케이드 발매 당시 기본적으로 본체에 들어간 어댑터에 호환되도록 설계하겠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그 제품에 다른 조인트를 동봉하겠다고 한 적이 있었는데 고스트는 파카 때문에 허리 전체를 가리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치를 취한것으로 보인다.

또한 런너의 스위치가 얼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가면라이더 스펙터나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의 발매도 점쳐지고 있다.

6.4. 가면라이더 SHODO

참고로 고스트는 장동과 가면라이더 SHODO 출시 이후 정말 오랫동안 식완 액션 피규어 제품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둘을 합할 경우 헤이세이 라이더 중 고스트가 제일 마지막으로 발매되었다.[21]
  • 가면라이더 고스트 오레 다마시 : 2023년 1월 발매 / 792엔 (세금 포함)
SHODO-XX 3탄에서 발매. 간 건 세이버는 블레이드 모드, 건 모드가 확장 파츠 세트에 추가되어있다.

SHF와 Figure-rise의 가동 문제를 개선하여 작아진 어깨 장식 덕뿐에 어깨가 90도로 완벽히 올라가고, 상체 가동도 아무런 제약이 없다! 하지만 원래 SHODO-XX의 개선 포인트였던 허리축 가동이 거의 불가능한데, SHF와 Figure-rise는 벨트가 상하체와 분리되어 있어서 벨트가 파카와 부딪혀도 허리를 움직일 수 있었는데 SHODO-XX의 경우 벨트가 하체랑 붙어있는 바람에 벨트랑 파카가 부딪힌다. 아무튼 여전히 가동이 완벽한 오레 다마시는 만들어지지 못했다... 이제 믿을 건 진골조제법 뿐이다

확장 파츠 세트의 간 건 세이버는 원래 한쪽에만 있어야하는 고스트 가제트 장착 부위가 반대쪽에도 튀어나와있으며, Figure-rise처럼 블레이드 모드와 건 모드가 따로 있는데도 건 모드가 SHF처럼 블레이드 모드의 비율로 제작되어 거대한 사이즈로 되어있다.

또한 미간이 좁아서 그런지 얼굴 도색미스가 유독 많은 편인데 극단적인 경우에는 이런 수준의 오류까지 제보되고 있다...
  • 가면라이더 고스트 투혼 부스트 다마시 : 2023년 1월 발매 / 792엔 (세금 포함)
SHODO-XX 3탄에서 발매. 선글라슬래셔는 확장 파츠 세트에서 블레이드 모드만 들어가있다...

머리와 몸통 상체만 제외하면 오레 다마시와 완전히 동일한 조형으로, SHF처럼 검은 불꽃 문양은 도색으로만 되어있다. 하지만 파카의 불꽃 파츠는 연질로 되어있어 팔 가동의 제약은 비교적으로 적은 편이다. 머리와 파카의 붉은 색, 손 파츠, 선글라슬래셔의 칼날 부위는 메탈릭 붉은색으로 도색되어있다.

이쪽도 역시 얼굴 도색미스가 제보되고 있으며 이런 사례도 있다.

7. 관련 틀

파일:고스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고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darkorange> 장착자 <colbgcolor=#fff,#1f2023> 텐쿠지 타케루
다마시 기본 다마시 · 중간 다마시 · 최종 다마시 · 레전드 라이더
아유무
신체 부위
벨트 고스트 드라이버 · 아이콘 드라이버 G
무장 간 건 세이버 · 선글라슬래셔
비클 머신 고스트라이커 · 캡틴 고스트 · 이구아나 고스트라이커
관련 문서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 · 가면라이더 제로 고스트
}}}}}}}}} ||


[1] 그레이트풀 다마시 한정.[2] 가면라이더 지오.[3] 가면라이더 세이버 × 고스트 한정.[4] 그래서 사실 부유한다는 느낌이 더 강하다.[5] 주황색이 붉은색으로 바뀐 점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얼굴을 제외한 파카 고스트의 배색이 투혼 부스트 다마시의 파카 고스트와 동일하다.[6] 출처: 잡지 우주선 VOLUME 150.[7] 출처: 캐릭터북 영 2015.[8] 주역 중에서는 그렇다는 것이다. 주역이 아닌 경우에는 잔게츠나 바론이 이미 있으니.[9] 무사시는 류 → 유루센, 에디슨은 아카리, 로빈은 시부야, 뉴턴은 나리타, 빌리 더 키드는 카논, 베토벤은 음표 안마, 벤케이는 큐비, 고에몬은 오나리, 료마는 쟈벨, 히미코는 아리아, 노부나가는 자이로, 후디니는 이디스, 그림은 이고르.[10] 간 건 세이버가 블레이드 모드의 비율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건 모드가 너무 크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이도류 모드, 나기나타 모드는 구현이 불가능한데, 이도류 모드는 무사시 다마시로 구할 수 있지만 나기나타 모드는 아직 나오지 못했다.[11] 이후 Figure-rise, SHODO-XX에서 고스트의 상체가 가동할 수 있게 설계되는 걸 봐서는 디자인 문제라기 보다는 피규어 설계 미스로 보인다.[12] 투혼 부스트의 슈트를 사용한 슈퍼 히어로 전기에서 이 불꽃 문양이 남아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13] 이중 하나는 양손이 하나로 일체화 된 파츠다.[14] 머리, 어깨, 가슴, 등[15] 몸체, 양 팔[16] 소드 모드, 건 모드[17] HGUC 페일라이더 캐벌리의 실드에 사용 된 스티커를 생각하면 된다. 촉감은 매끈한 신용 카드와 같은 느낌이다.[18] 또한 팔 다리의 플라스틱 씰이 부착되는 곳의 경우 몰드 조차 없기 때문에 좋든 싫든 스티커를 붙여야 한다.[19] 당장 HGUC 자쿠 II 리바이브만 봐도 스커트 부품은 연질 파츠도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모델에 연질 부품 도입이 어려운것도 아니었다. 애당초 본 제품의 가슴 장갑은 연질 무색 클리어 파츠다.[20] 이는 수성의 마녀 프라모델과 같이 스티커를 붙이고 남은 은색 부분들을 잘라서 내부 몰드를 덮으면 어느정도 해결할수 있다.[21] SHODO에서 고스트보다 늦게 나온 가이무와 지오는 장동에서 먼저 나왔고, 고스트는 아직까지 장동에서 나오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