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7:28:36

이웃 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5획
고등학교[1]
일본어 음독
リン
일본어 훈독
とな-る, となり
표준 중국어
lí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본자 鄰(U+9130)
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隣은 '이웃 린'이라는 한자로, '이웃'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6A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弓中火木手(NLFDQ)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고을 읍)와 음을 나타내는 (도깨비불 린)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2.1. 본자 鄰(U+9130)

본디 (언덕 부)가 아닌 (고을 읍)을 부수로 삼는 자이므로 阝이 오른쪽에 오는 것이 맞으나, 모종의 이유로 왼쪽으로 간 隣이 더 널리 쓰이고 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서는 鄰이 본자라는 점을 근거하여 鄰으로 쓸 것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단어의 한자 표기에 鄰를 기본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문회에서는 아직도 개정안이 반영되지 못해 隣으로 쓸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속자인 隣의 급수가 3급이고 본자인 鄰은 정작 특급에 할당되어 있다.[2]

중국 대륙에서도 정자가 鄰이며, 간체자는 邻이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鄰의 형태로 등재되어 있다.[2] 같은 예시로 준4급의 (풍년 풍) 자는 교육용은 본자인 豐만 등재되어 있는데 豐 자도 특급 한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