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6 15:33:14

빛날 황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あき-らか, かがや-く, きらめ-く
-
표준 중국어
huá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煌은 '빛날 황'이라는 한자로, '빛나다', '아름답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빛나다
중국어 표준어 huáng
광동어 wong4
객가어 fòng
민동어 huòng
민남어 hông
오어 hhuaan (T3)
일본어 음독 コウ
훈독 あき-らか, かがや-く, きらめ-く,
きらび-やか, きら-やか
베트남어 hoàng
유니코드에는 U+714C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火竹日土(FHAG)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불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임금 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皇이 '빛나다'는 뜻이었지만, 후에 '임금'으로 바뀌었다. 그래서 기존의 '빛나다'를 나타낼 때는 皇에 火를 붙여 煌으로 대신해 쓰게 됐다.

3. 용례

3.1. 단어

  • 황황(煌煌)
  • 현황(煌)
  • 휘황(煌)
  • 황반암(煌)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4. 유의자

  • (빛날 경, 연기 날 영, 연기날 계)
  • (빛날 정, 구울 정)
  • (빛날 형)
  • (빛날 영)
  • (빛날 욱, 빛날 읍)
  • (불꽃 환, 빛날 환)
  • (빛날 휘, 햇무리 운, 태울 훈, 벼슬아치 이름 훤, 붉은색 혼)
  • , (빛날 엽)
  • (빛날 희, 사람 이름 이)
  • (빛날 희)
  • (빛날 찬)
  • (빛날 요, 뾰족할 초, 녹일 삭)
  • (빛날 란(난), 문드러질 란(난))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𦑠(날개 치는 소리 굉)
  • (종고 소리 굉)
  • (깃대 황)
  • (노닐 황)
  • (늪 이름 황)
  • 𨍧(당길 황)
  • (두려울 황)
  • (메기장 황)
  • (산자 황)
  • (쌀 황)
  • (어머니 황)
  • (옥 소리 황)
  • (울음소리 황)
  • (웅덩이 황)
  • (전어 황)
  • 𨉤(종소리 황)
  • (칠 황)
  • 𤟡(큰 개 황)
  • (큰 배 황)
  • (큰소리 황)
  • (팽황 황)
  • (풍류 소리 황)
  • /(해자 황)
  • (헤맬 황)
  • (황부루 황)
  • (황충 황)
  • 𤚝(황)
  • 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