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6:28:35

おぶい

おぶい
오부이
[1]
파일:external/pbs.twimg.com/BmyLG9MCMAALpgN.jpg
세이버 마리오넷 J 20주년 기념 팬아트
(출처)
생년월일 1983년 6월 13일([age(1983-06-13)]세)
국적 일본
직업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원화가
만화가
홈페이지 링크[2]
pixiv
(FANBOX)
파일:픽시브 아이콘.svg
(파일:픽시브 팬박스.svg)
Twitter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Enty[3] 파일:ENTY 로고.svg[4]
Tumblr 파일:텀블러 아이콘.svg[5]
1. 개요2. 상세3. 작품 목록
3.1. 동인지
3.1.1. 회장 한정판3.1.2. パイハメ家族
3.2. 합동지3.3. CG집 (다운로드 판매)3.4. 상업지3.5. 게임
3.5.1. 축전
4. 라스트오리진과의 인연5.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일러스트레이터.

2. 상세

소속 동인 서클명은 Oving으로 개인 서클이다. 히로시마현 거주. 한때, 연령은 불명이나 세이버 마리오넷 J 작품이 본인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하는 걸 보면 적어도 20대 중반은 넘은 것으로 추측되었고, 2016년おぶい 작가의 33번째 생일 트윗에 따라 1983년생으로 밝혀졌다. 어쨌거나 해당 작품 항목의 내용을 따른다면 おぶい 작가는 아재다.

화풍은 부피감이 잘 느껴지는, 아크릴화 느낌인데[6] 하얗게 맺히는 하이라이트 표현에 브러시 터치를 그대로 살린 おぶい 작가 특유의 기법이 돋보인다.[7] 한편, 인체 묘사에 있어서 여성의 유두도넛을 연상시키는 둥근 형태 혹은 발기 등으로 길이가 긴 유두는 어금니의 형태로 묘사하며[8] 유두와 유방 경계에 주름을 묘사하는 특징이 엿보인다.

본업인 일러스트레이터 외에도 동인 활동, 특히 에로 동인 쪽으로도 활발하기 때문에 pixiv에서는 아예 いつものおぶい(평소의 오부이)라는 전용 태그까지 있는 수준.[9]

3. 작품 목록

작품 제목과 원작 제목을 병기하며, 한국어번역[10] 작품은 밑줄을 표시한다.

3.1. 동인지

  • 変態サンシャイン - 하트캐치 프리큐어!
    C79 출품작. おぶい 작가의 첫 번째 동인지로 제목(변태 션샤인)처럼 큐어 선샤인이 등장한다.
  • 変態サンシャイン2 - 하트캐치 프리큐어!
    C80 출품작. 変態サンシャイン의 후속작으로, 큐어 선샤인뿐만 아니라 큐어 블로섬, 큐어 마린, 큐어 문라이트까지 모두 등장한다.
  • RIDERxRIDER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가면라이더 포제
    C81 출품작. 작가의 코믹마켓 출품작 중 유일하게 19금이 아닌 전연령판 작품이다.
  • 変態マーチ - 스마일 프리큐어!
    C82 출품작. 제목(변태 마치)처럼 큐어 마치와 (당연하지만 마조리나 타임으로 젊어진) 마조리나가 등장한다.
  • 変態アイドル牧場 -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C83 출품작. 무카이 타쿠미오이카와 시즈쿠가 주연으로 등장하는, 이른바 팀200의 출연이다. 내 바스트 95, 네 바스트 105. 총 200의 바스트로 완벽한 젖을 짜야해.
    英戦
  • 変態アイドル牧場 NEXT STAGE -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C84 출품작. C83에서 출품한 전작의 후속작으로, 사지절단 소재가 쓰였다. 영원히 고통받는 시즈쿠.
  • 変態マリオネット - 세이버 마리오넷
    C85 출품작. おぶい 작가의 본격적인 세이버 마리오넷 동인지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 주역 3인방인 라임, 체리, 블러드베리가 등장한다.
  • 変態マリオネット2 - 세이버 마리오넷
    C86 출품작. 라임과 티겔이 주연으로 등장한다.
  • 変態マリオネット3 - 세이버 마리오넷
    C87 출품작. 라임과 마미야 오타루가 등장한다. 오타루는 원작에서 남자이지만 여성화 되어 등장한다.[11] 제작 도중에 표지가 바뀌었다.[12]
  • 変態アイドルリサイクル -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13]
    C88 출품작. 주역으로 무카이 타쿠미와 미시로 상무가 등장한다. 초반부에 시즈쿠를 비롯하여 오오누마 쿠루미, 마츠모토 사리나도 잠깐 등장하는데, 결과적으로 작중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들은 죄다 '거유'인 것이 특징.
  • 変態マリオネット4 - 세이버 마리오넷
    C89 출품작. 체리와 블러드베리가 주연으로 등장한다. 작중 설정으로는 세뇌된 상태라고 하는데, 원작 설정을 반영하면 이는 '소녀회로'[14]가 없어진 것.[15]
  • 変態ドラフ牧場 - 그랑블루 판타지[16]
    C90 출품작. 전반적인 내용은 남성 주인공, 그랑의 불륜 현장[17]을 목격한 루리아의 (사랑 되찾기를 빙자한) 복수극이다.[18]
    기묘하게도 한국어 번역본은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같은 날, 서로 다른 번역 주체에 의해 공개되었다.[19] 즉, 같은 작품에 2개의 번역본이 존재하는 셈.
  • 変態おっぱいくのいち - 킹 오브 파이터즈
    C91 출품작. 시라누이 마이가 등장한다.[20] 표지 그림에 나온 흑발 남성의 머리모양 때문에 쉔무 시리즈하즈키 료를 그린 게 아니냐는 농담이 있었다. 이번작에서도 어김없이 니플퍽이 등장하는데, 더욱 심화된 연출이 특징.
  • 変態ドラフ牧場2 -ラスティナ調教編- - 그랑블루 판타지
    C92 출품작. C90에서 출품한 전작에서 이어지며 부제인 '라스티나 조교편'에 걸맞게 주연은 라스티나.[21] 특이하게도 후기에서 작가 본인이 평소보다 조금 리미터를 해제했다고 말하는데 그만큼 결말이 충격적인 편이다. 심지어는 표지에 경고문구가 쓰여있을 정도.[22] 이후로 작가의 료나 계열 동인지에는 해당 경고문구가 붙여지게 되었다.
  • 変態マリオネット5 - 세이버 마리오넷
    C93 출품작. 참으로 오랜만에 돌아온 세이버 마라오넷 동인지이다. 전작에서 라임이 체리와 블러드베리를 민가에 남겨두고 혈혈단신으로 자포네스 성에 침투하는 장면에서 이야기가 이어진다. 주연으로는 바이코와 타마사부로가 등장한다. 마지막에 바로 그 인물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본편 다음에 나올 세이버 마리오넷 동인지는 최종편이 될 가능성이 높다.
  • 変態TSレスラーグラン - 그랑블루 판타지
    C94 출품작. 제목과 표지에서 알 수 있듯이 성전환물(TS)로, 그랑블루 판타지의 남성 플레이어 캐릭터인 그랑이 여성으로 성전환되어 레슬링을[23] 벌이는 것이 내용의 주요 골자이다. 그랑은 루리아의 "여성화된 몸으로 언더그라운드 격투 대회[24] 데스매치에서 상대 5명을 쓰러뜨려 끝까지 살아남으면 자신이 붙잡은 그랑의 동료들을 모두 풀어주겠다"는 제안으로 해당 경기에 출전하게 되며, 4명의 상대까지까지는 물리쳤으나 마지막 상대인 거구의 드라프 남성에게 예상치 못한 공격을 받게 되어[25] 쓰러지게 되고, 이후 이제껏 물리쳤던 상대를 포함하여 다른 의미로 단체 대전을 벌이게 된다. 결말부의 문구에서도 알 수 있지만, 줄거리는 C90 출품작인 "変態ドラフ牧場"과 C92 출품작인 "変態ドラフ牧場"2 사이의 시간대를 다루고 있다. 때문에 C92 출품작에서 언급되었던 일부 내용은 본작에서 복선으로 언급된다.[26]
  • ゴブリンロードが勝った日 - 고블린 슬레이어
    C95 출품작. 원작 1권의 마지막 전투에서 고블린 슬레이어 일행이 패배하고 고블린 로드가 승리하였다면을 소재로 만들어진 IF 스토리이다. 고블린 슬레이어는 죽고나서 목이 잘리고 소치기 소녀를 비롯한 여성진들은 고블린들에게 무참히 능욕당하고 결말부분에서는 전원이 인간 방패로 이용당하게 되는 꿈도 희망도 없는 이야기. 여신관은 특히 취급이 심하다.[27] 원작의 고블린들이 상당한 잔혹성을 지닌 것과 작가의 료나 성향이 어우러져서 손에 꼽히는 하드함을 자랑한다. 그때문인지 작가도 트위터에서 "원작의 캐릭터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보지 말아주세요."라는 등의 트윗을 올렸었다.
  • 星の獣のイノチゴイ - 그랑블루 판타지
    C96 출품작. 표지에서 보이듯이 주연은 브로디아.
  • 催眠メスブタ騎空団 - 그랑블루 판타지
    C97 출품작. 표지 및 제목의 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주연은 리샤모니카이다. 첫 페이지부터 그랑과 거사를 치르는[28], 자신의 몸을 스스로 개조한 루리아의 장면으로 시작된다. 거사가 질내사정으로 마무리된 직후 루리아는 갑자가 구역질과 구토를 하게 되고[29] 자신의 힘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 デカ乳テロリストの更生交配実験 -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C99[30] 출품작.

3.1.1. 회장 한정판

비교적 본작보다 짧은 분량을 지닌 단편 작품. 당연히 주작품(500)보다는 가격(100엔)이 싸다. 기본적으로는 회장 내 한정 판매이지만 동인 위탁 판매 사이트나 상기한 おぶい 작가의 Enty 사이트에서 디지털판으로도 구매할 수 있다. 주작품과 같이 내놓기 때문에 간혹 스캔본에서는 주작품에 부록 형식으로 끼여서 함께 공유되는 경우가 있다.

C85 ~ C89 기간 동안에는 리퀘스트[31] 등으로 그린 자잘한 그림을 모아놓은 형태로 회장 한정판을 꾸렸다.

3.1.2. パイハメ家族

작가의 오리지널 동인지로써, 총 4회 연재작으로 기획되었다. 제목은 젖가슴을 의미하는 おっぱい와 (구멍 등에) 끼우다, 박다를 의미하는 동사 嵌める(はめる)에서 유래된 일본어 속어인 ハメ의 말장난으로, 한국어 팬 번역에서는 젖통 삽입 가족 정도로 번역되었다. 즉, 제목에 걸맞게 매권 니플퍽이 연출되는 장면이 등장한다.

주연 인물은 총 4명으로, 크게 무나카타[44] 가족 여성진주동인물마스오로 나뉜다. 작가의 취향을 듬뿍 반영한 덕분에 무나카타 가족 여성진 전원은 폭유이다. (캐릭터 콘셉트 아트 트윗)
  • 무나카타 스이카
    胸形水花. 무나카타 가족의 장녀로 정확한 나이는 불명이지만[45] 고등학생이다. 가족들에게는 아르바이트를 간다고[46] 속였지만 실은 파파카츠를 통해 상대 남성에게서 돈을 뜯어내는 원조교제를 하고 있었다.
    작중 사용하던 가상의 소셜 미디어 계정명이 @chchi_melon_0919라는 점에서 생일이 9월 19일이고, 이름인 스이카는 일본어로 같은 발음인 수박에서 따왔음을 알 수 있다.
  • 무나카타 모모네
    胸形百音. 무나카타 가족의 차녀. 스이카의 여동생으로, 모모네는 스이카를 '스이 언니'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나이는 중학생으로 추정되는데, 작중 직접적으로 로리거유라 언급될 정도로 모모네 자신의 머리만한 가슴과 매우 굵은 넓적다리라는 엄청난 발육을 드러내는 몸매를 가졌다. 정작 브라는 착용하지 않은 점이 특징.
  • 무나카타 호시
    胸形星. 무나카타 가족의 어머니. 남편과는 이혼하여 현시점에서는 모자가정의 가장이다. 근무 중에는 안경을 착용한다.
  • 후바라 마스오
    父原 増生. 스이카의 파파카츠 상대 남성. 여태껏 작가의 다른 동인지 거의 대다수가 판타지 장르 배경인지라 상대 남성 캐릭터들이 거진 우락부락하게 그려졌던 것과는 반대로 본작은 현실 배경인지라 그 외모는 극화체에 가깝게 묘사된, 여드름 대신 턱수염이 짧게 나 있는 전형적인 안여돼의 모습을 하고 있다.
    설정화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키는 170 cm가 조금 넘고, 성씨에 한자가 쓰인 것에서 파파카츠 상대 남성이라는 캐릭토님이기도 하고, 성씨와 이름을 아울러 'チチ はらますお'/치치 하라마스오/로도 읽을 수 있는데 이는 '젖탱이 임신시킨다고오!'(乳 孕ますお)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 パイハメ家族 #1 水花邂逅
    C102 출품작.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으로, 장녀인 무나카타 스이카가 주연이다. 본작에서 스이카는 파파카츠로 만나게 된 남성인 마스오를 만나게 되면서 자신이 니플퍽 체질임을 알게 된다.

    스이카의 소셜 미디어 프로필 설명의 위치 표기에서 작중 배경이 라는 가공의 도시로 나오는데, 음독과 훈독을 적절히 조합하면 다름아닌 작가의 이름과 발음이 같다.[47]
  • パイハメ家族 #2 百音愛育
    C103 출품작.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으로, 차녀인 무나카타 모모네가 주연이다.

    작중 작가 자신이 뉴스 앵커의 멘트를 통해 본작 세계에서 오부이시의 시장으로 언급되고[48] 마스오의 집에서 모모네 윤간에 참여한 다른 남성이 모모네의 가슴을 두고 한 말인 '내 최애 일러레의 그림보다 큰 것 같다'는 대사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2024년 5월 9일에는 본작을 테마로 한 니플퍽 특화 유방 오나홀 제품화가 이루어져 판매를 시작했다. 무게가 5.3 kg이나 나가는 비교적 대형 오나홀이지만 이마저도 작가가 설정한 스이카의 가슴보다는 작은 비율로 설계되었다고. 해당 안내 트윗에 첨부된 홍보용 삽화에서 스이카는 얼굴에 홍조를 띄우고 땀까지 흘리며 부끄러워 하면서도 예의 오나홀을 자신의 가슴 앞에 댄 채 양손으로 들고 있는데, 스이카의 양 옆으로 어머니인 호시와 동생인 모모네는 그저 천연덕스럽게 제각각 예의 오나홀 오른쪽 유두와 왼쪽 가슴을 손가락으로 찔러 보는 묘사가 압권이다.

3.2. 합동지

다른 작가와 함께 참여한 작품. 본 문단에서는 동인 작품만 나열하며, 단편 분량의 작품뿐만 아니라 축전 형식의 단일 컷 그림 또한 해당된다.
원작 제목 표기가 없는 것은 오리지널 동인지인 경우이다.

유독 C81 때는 다른 작가 작품에 게스트로 참여한 게 많다.
C83 때도 두 작가 작품에 게스트로 참여했다.

  • 이능력 소녀 결손 시리즈
    앗쵸아사나기를 필두로[63] 다양한 작가들이 참가한 합동지 시리즈. 1편에서는 참가하지 않았지만 신도 에루, ぽ〜しょん, Б, あたげ와 함께 2편에서 참가했다. おぶい가 디자인한 캐릭터 벨라 커티스는 사지를 잃고 온갖 구멍이란 구멍에 죄다 사정된 채 결말부에서는 미쳐버리는 비참한 결말을 맞이한다.

3.3. CG집 (다운로드 판매)

おぶい 작가 본인 명의로 출시한 화집.
  • 変態キャッチ - 하트캐치 프리큐어
    동인지, "変態サンシャイン2" 출품 후에 나온 작품이다. 작가 홈페이지의 해당 작품 설명에 따르면 가슴 적절하게 분배하였다고 한다.
  • 変態ナイト -乳首も性器- - 패왕대계 류나이트
    파피와 캇체가 등장한다. 작가 홈페이지의 해당 작품 설명 중 "徹底的に陵辱するハードエロCG集!"(철저히 능욕하는 하드에로 CG집!)이라는 내용 그대로, (니플퍽을 비롯한) 상당히 강도 높은 소재로 점철되어 있으므로 관련 소재에 내성이 없는 사람이라면 작품 감상에 유의하자.

3.4. 상업지

독립적인 분량의 작품으로 참여한 경우.

3.5. 게임

정렬은 작가가 참여한 순서. 단, 시리즈 작품은 하나의 항목으로 묶었으며 이 경우는 최초 참여 시기를 기준으로 한다.
  • 산고쿠히메 시리즈: 원화
    • 三極姫2 ~天地大乱・乱世に煌く新たな覇龍~
    • 三極姫2 ~天地大乱・乱世に煌く新たな覇龍~遊戯強化版
    • 三極姫2 ~天地大乱・乱世に煌く新たな覇龍~遊戯強化版 弐
    • 三極姫3 ~天下新生
  • 천년전쟁 아이기스: 왕국 중보병 러셀, 궁병 다니엘라, 주술사 미트라, 신관전사 니콜라우스, 궁기병 미겔, 대장장이 고르도, 텐구 그렌 원화
    '왕국 중보병 러셀'은 작가 본연의 삽화 방식 채색인데, '궁병 다니엘라'는 셀화 방식 채색이다. 때문에 같은 작가가 그렸다고 생각하기 힘들 정도로 달라서, 작가 본인도 그렇게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술사 미트라'부터는 다시 작가 본연의 삽화 방식 채색이 사용되었고 궁병 다니엘라 또한 골드 러시 이벤트로 추가된 변형판인 야량의 사격병 다니엘라는 마찬가지의 채색 방식이 사용되었다.
  • 犯され勇者IV ~もうダメっ。ボクのおち○ちんは限界なのにぃ~: 요새오니 마키나, 촉마[65] 이긴, 지마[66] 카리나, 보마[67] 주얼리 원화
  • 텐고쿠히메: 원화
  • 変態魔法少女RISA
    oneone1 명의에서 출시한 두 번째 작품. 채색 방식은 셀화로, 이후 PDF 형식비주얼 노벨이 배포되었다.
  • 変態刑務所24時~懲役2年 イキ続けた少女~
    oneone1 명의에서 출시한 일곱 번째 작품. 채색 방식은 전작 変態魔法少女RISA와 달리 おぶい 작가 본연의 삽화 방식으로, 이후 해당 작품과 함께 "変態魔法少女×変態刑務所~おぶいパック~" 이름의 합본으로 출시되었다.
  • 대마인 아사기 결전 아레나: 미라벨 벨, 사령기사 위스프, 대마인 유노, 미연의 신형 미라벨, 인어의 대마인 미사키 카오리[68], 발키리 브륀힐드[69]
  • 대마인 RPG: 미라벨 벨, 사령기사 위스프, 유노, 브륀힐드, 우에하라 시카노스케, 니샤 가이자, 도바시 곤자
  • セーラー服ポルチオアクメ ギャルビッチムーン - 미소녀 전사 세일러문
    MANUSUCK 명의. 실질적으로는 단순 CG집에 가깝다. 제작사의 주문 때문인지 おぶい 작가의 기존 화풍과는 상당한 차이가 느껴지는 화풍인데, 원작의 작가처럼 70·80년대 미소녀 화풍의 특징이 약간씩 보인다.
  • 퓨처 카드 버디파이트: 원화 다수
  • サポありカノジョ
    CLOCKUP 명의. おぶい 작가의 기존 화풍보다 좀더 밝은 색채와 그라이데이션 위주의 명암기법을 사용한 것이 특징으로[70], 아니나 다를까 역시 니플퍽이 나온다.
  • オタサーの姫~ビッチでかわいい?あの娘は僕らの肉便器!!
    동인서클인 童貞食堂 명의. 특이하게 여성 캐릭터의 추녀(ブス) 얼굴판도 따로 존재한다.
  • アヤツラレル!? 私の肢体は誰かのオモチャ
    SLAVEnir 명의. "サポありカノジョ" 작품과 유사하나 좀더 세밀한 화풍에, 한층 더 일신하여 부드러운 채색 방식이 돋보인다. 그래도 '특유의 하이라이트 표현'은 여전하다.
  • 正義の変身ヒロインを支える俺と悪の女幹部
    Black Lilith 명의. 명암 및 채색 방식이 기존작들과는 확연히 다른 완만한 그라데이션 방식이라 자칫 다른 작가로 오인할 수 있을 정도로 새로운 화풍을 선보였다. 그래도 '특유의 하이라이트 표현'은 여전하며 특유의 유두 형태 묘사 또한 건재하다.
  • 라스트오리진: 캐릭터 협업을 진행하였다. おぶい 작가답게 해당 캐릭터의 배경부터 '너무 야해서' 정식 출시되지 못하고 폐기된 바이오로이드라는 설정으로, 이름은 '포이'라고 한다. 직후 두 번째로 진행된, 아사나기와의 캐릭터 협업으로 나온 바이오로이드 드라큐리나의 데포르메 캐릭터 애니메이션 작업으로도 참여하였다. 반응이 워낙 좋았던지 2차 콜라보레이션이 예고되었고 마침내 2022년 8월 29일에 클로버 에이스가 추가되었다.

3.5.1. 축전

상업 작품에 축전으로 참여한 경우. 이 경우 한 페이지 분량의 삽화가 첨부되는 형식이다.
  • 新世黙示録 ~Death March~: 일부 검 디자인
  • 学園の生贄 慰み者と化した巨乳不良少女
    SOFTPAL 명의. おぶい 작가의 전문 요소인 니플퍽을 활용한 그림을 선보였다. 원작에서도 나올듯한 적절한 연출 덕분인지 이는 본 작품의 'OVA'에서도 그대로 재현되었다![71] おぶい 작가도 이를 확인하고는 무척이나 놀랐다고.
  • おいでよ! 水龍敬ランド 1.5合同本
    미즈류 케이 작가의 水龍敬ランドxフェチフェス[72] 출품작. 당시 행사 명칭처럼 미즈류 케이 작가 특별전인 셈인데, 해당 작품의 다른 게스트 참여 작가로는 新堂エル와 ブッチャーU가 있다.
    행사 명칭인 フェチフェス페티시(Fetish)[73]축제(Festival)의 말장난으로, 특정 취향을 다루는 행사이다.[74]
  • 巨乳魔王の敗北 ~勇者にヤられた魔族の女王と姫君~
    SOFTPAL 명의. 두말하면 섭한 니플퍽이 나온다.
  • 神曲のグリモワール―PANDRA saga 2nd story―III
    에렉트 사와루 작가의 상업지 연재작인 PANDRA 후속작의 단행본 3편이자 '완결편'이다. 그 때문에 다른 작가들의 축전 그림도 많은 편.
  • ビンビンチチクリアクメ
    英戦 작가의 ANGEL倶楽部 연재분 위주로 구성된 첫 단행본. 英戦 작가 또한 おぶい 작가의 작품에 축전 그림으로 자주 참여했다.
  • みみロリ犯シアム
    タイコウ 작가의 단행본. 제목처럼 케모미미인수 로리 캐릭터가 등장한다. おぶい가 그린 두 번째 인수물.

4. 라스트오리진과의 인연

한국의 모바일 게임 라스트오리진에 대한 애정이 대단하기로 유명하다.

일본 서버를 플레이하면서 팬아트를 그리는 등 상당히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결국 2020년 10월에는 캐릭터 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개발사인 스마트조이로서는 라스트오리진 최초의 해외 외주 작가이자 오부이 작가 본인으로서는 최초의 해외 작품 참여가 된 셈.[75] 2023년 12월 15일 일본서버 공식 방송 도중에 트위터에서 밝힌 바로는 처음에 컨택이 왔을 때 스팸으로 착각한 이유가 컨택이 픽시브 메세지로, 그것도 공식이라고 알 수 없을 정도로 계정명이나 프로필 사진이 라스트오리진과 아무 상관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단순한 단발성 협업으로 끝난 것이 아닌 이후로도 포이와 라스트오리진에 대한 사랑을 지속적으로 어필하고 있다. 공식, 비공식 가리지 않고 라스트오리진과 관련된 것이라면 어디든지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줘 팬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일본 지부장 취급받는 작가.[76]
  • 2020년 6월 21일경에 픽시브 라이브 방송에서 라스트오리진 캐릭터인 켈베로스(의장대 켈베로스 스킨)와 님프(호수의 요정 스킨)를 그리는 것이 방영되었고, 당시 픽시브 라이브 방송 1위를 달성했다. 완성된 그림을 첨부한 트위터 게시물에 따르면 라스트 오리진을 시작했다고 한다. 원체 폭유가 취향인 おぶい 작가로서는 나름대로 취향에 맞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인 트윗의 추천으로 에이다 Type-G도 낙서 정도로 그린 바 있다.
  • 동년 7월 15일 트위터에 라스트오리진의 의장대 스킨 켈베로스와 호수의 요정 스킨 님프를 주연으로 한 동인 CG집을 완성하였다는 내용의 트윗이 올라왔다. 직후 한국어 번역자를 구한다는 트윗을 게시하였다.
    • 한국어 번역 작업 과정이 공개되었으나 정작 2개월 넘도록 번역판은 공개되지 않았다. 마침내 동년 10월 12일경에 작가의 pixiv에 게시되었으며 완전판 및 고화질 버전은 작가의 FANBOX을 통해 배포되었다. 한국어 번역을 담당한 사람의 언급으로 보아 정황 상 상술한 라스트오리진과의 캐릭터 협업 때문에 해당 동인 CG집의 번역판 공개가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10월 20일에 아카라이브, 특히 라스트오리진 채널에서 자주 쓰이는 아카콘[77]인 "신비한 페로"에서 감명을 받아 작가가 직접 이를 포이로 패러디한 그림을 올렸다.
  • 디얍이 자신의 그림체로 그린 포이 팬아트를 올리자 눈물 흘리는 이모지를 잔뜩 박으며 감사하다는 답글을 올렸다. 디얍이 포이를 그린 그림을 더 올리자, 그림체를 귀엽다며 극찬했고, 그중 하나를 자신의 PC 배경화면으로 지정했다.
  • SNL 생방송에도 특유의 프사와 함께 등장. 한글로 코멘트를 입력하기도 했으며 2차 콜라보 캐릭터의 초안과 디자이너가 공개되자 시청자들이 충격과 공포에 휩싸이는 동안 담담히 드디어 라는 반응을 보였다. 오부이가 아사나기를 포함, 여타 작가들과 SNS로 활발히 교류를 하는 것을 미루어 볼때 아사나기가 라스트오리진과 콜라보에 참여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2021년 1월 20일 라스트오리진 SNL 생방에는 게스트로 출연했다.[78]
  • 애니플라자를 통해 발매된 라스트오리진 포이 담요굿즈에 사용될 일러스트도 작업했는데 '24213 X 30118'이라는 초고해상도에 엄청난 수위를 자랑한다. 철의 탑 업데이트패치때 당연하다는 듯 장기점검이 이어지고 비공식 오라이방송을 진행했는데 이때는 시청자로 나타나기까지 하는등[79] 스마트조이와의 협력관계는 끊이질 않는 듯. 5월 10일자 긴급점검 방송때는 아예 지각했다고 말하지 않았는데도 오는 수준.
  • 2021년 생일 축전 감사 그림방송에서는 GM아이샤, 만메, 웨히히 등의 라스트오리진 스태프들이 축하 차 찾아와 별안간 그림방송이 스태프 파티방송으로 변하는 일이 일어났고, 일부 시청자들은 비공식 아라이 방송이냐는 말까지 나왔다. 방송 종료 시점에 좋아요 수가 무려 30만이 넘어가는 진풍경을 보여줬다.
    • 2021년 라스트오리진 1000일 기념 방송 오라이 10회에서 이번에는 전현직 공식작가들과 함께 게스트로 등장하였고 직접 한국어로 안녕하세요라고 인사까지 하며 본인의 목소리를 공개하였다. 그리고 이어지는 오렌지의 포이 파파입니까라는 질문에 '파파입니다'라고 말한 건 덤.
  • 2022년 8월 17일자 트윗을 통해, 앞서 제100회 코믹마켓이 개최 중이었던 동년 동월 13일의 트윗으로 암시된 복규동과 공재규를 오프라인으로 일본 현지에서 만나 저녁식사를 같이 했다고 전했다. 바로 다음으로 올린 트윗에서는 다음에는 오부이 자신이 한국을 찾아가겠다(次は僕が韓国へ行かなきゃ🛩)고 했으나 하필 며칠도 지나지 않아 예의 인물들이 차린 젠틀매니악 법인에서 오부이가 좋아한 라스트오리진과 관련해 큰 논란을 일으킨 것을 알게돼 심란함을 나타냈다.[80]
  • 2022년 8월 29일, 마침내 오부이의 두번째 라스트오리진 콜라보 캐릭터인 클로버 에이스가 추가되었다.
  • 2022년 9월 5일 업데이트를 통해 라스트오리진 최초로 타이틀 화면(인트로 로딩 화면)이 클로버 에이스를 주제로 한[81] 삽화로 변경되었다. 적용 기간은 동년 10월 4일 점검 이전까지로 정확히 1개월(31일) 동안이다.

5. 기타


[1] 한국 모바일 게임인 라스트오리진과의 협업으로 작가 자신의 X 프로필에 병기된 한글 표기, 사실상 공식 한국어 명칭이다.[2] 2016년 5월 이후로 갱신되지 않고 있다.[3] patreon 사이트과 유사한 일본의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차이점은 후원 시점에 따라 30일 이전의 게시물은 각 기간에 맞는 별도의 후원을 해야 열람할 수 있다.[4] 후술된 라스트오리진 동인 CG집이 2020년 7월에 게시된 이후로 갱신이 없었다가 2022년 1월부로 Enty를 통한 활동의 중단을 통보하면서 후원 작품 공개처는 pixiv의 FANBOX로 통합하였다.[5] 주소 자체는 남아 있으나 2018년말부터 Tumblr 측의 성인물 제한 정책 때문에 사실 상 열람 불가 상태이다.[6] 이 때문인지 여성 캐릭터는 거의 거유는 기본적으로 지닌 살 찐 체형이거나 BBW가 되기도 한다. 물론 빈유로리 캐릭터를 못 그리는 것은 아니다.[7] 붓끝의 뾰족한 모양을 살린 형태로, 길게 늘어진 물방울 모양을 생각하면 편하다. 채색 방식이 셀화 방식이든 おぶい 작가 본연의 화풍이든 그대로 유지되는 부분으로 이는 유방이나 둔부처럼 형태에서 가장 두드러진다.[8] 이 점은 우루시하라 사토시 작가와 비슷한데, おぶい 작가 쪽은 특유의 데포르메로 과장된 길이의 유두 묘사에 쓰인다.[9] 물론 おぶい 작가 본인이 달아 놓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반대되는 태그로는 きれいなおぶい(깨끗한 오부이). 마찬가지로 이쪽도 おぶい 작가 본인이 달아 놓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런 식으로 전연령용 그림과 성인용 그림이 태그로 나뉘게 되는 다른 작가로 ナナシ가 있다.[10] 물론 불법 번역이다.[11] 여성화 되었으나 남성기는 그대로라서 후타나리로 볼 수도 있다.[12] 남성기 노출이 문제였던 것으로 추측되었기도 하지만, 오히려 현재 표지가 귀두만 가리고 있을 뿐이라서 노출은 더 많다. 바뀌기 이전의 표지는 제목 문구로 남성기를 절묘하게 가렸는데, 작품 마지막 페이지에 흑백으로 첨부되었다. 여기에 おぶい 작가의 설명도 첨부되었는데 "色々と気に入らないところがあって没にした表紙です."(여러 부분이 마음에 안 들어서 몰서(沒書)한 표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おぶい 작가 본인도 마음에 들지 않았던 모양.[13] 이 작품부터는 おぶい 작가 본인 홈페이지 동인정보 메뉴의 작품 목록이 갱신되지 않고 있다.[14] 자아를 갖게 하는 A.I로 이게 없으면 자아가 없는 기계인형이다.[15] 참고로 変態マリオネット 시리즈의 2~4편 한국어 번역 및 식자는 모두 같은 사람이 맡았다.[16] 본 작품부터 おぶい 작가 본인 홈페이지에서 (일기 형식으로) 언급조차 되지 않아 이쯤돼서 홈페이지는 버려진 셈이다. 참고로 おぶい가 이 게임을 플레이 하게 된 계기는 슬레이어즈 콜라보레이션끌렸기 때문이라고 한다.[17] 에로 동인지답게, 남성 주인공이 나루메아검열삭제하는 현장이다.[18] 이 작품의 영향인지 이후 작가가 그린 루리아 그림에서는 묘하게 얀데레 분위기를 풍긴다. 하필 자세마저...[19] 공통 배포처는 E-Hentai. 먼저 올라온 쪽은 스캔본 원판 화질, (남자 주인공의 기본 이름인 그랑 등의) 통상 한글 표기를 사용한 직역, 다양한 글꼴을 사용한 식자이며, 나중에 올라온 쪽은 색조 보정을 하고 (초반에 나루메아가 나루아로 표기된 부분 등의) 약간의 오타가 있는 의역, 정발본 수준의 깔끔한 식자이다.[20] 킹 오브 파이터즈 동인지를 그리게 된 것은 아무래도 출품 3개월 전에 시라누이 마이를 그린 게 영향으로 보인다. 참고로 C85 회장 한정판 작품인 "OVingの冬のおまけ本2013"에서도 해당 캐릭터를 그린 바 있다.[21] 이슈미르가 같이 등장하여 먼저 범해지는데, 함몰 유두로 묘사된 게 특징이다. 앞서 C91때 출품한 회장 한정판 만화에서 이미 이슈미르가 함몰 유두로 묘사된 것으로 보아 함몰 유두 속성으로 고정된듯. 그 와중에 루리아는 그랑의 취향이라며 자신의 몸을 스스로 개조하여 거유가 되었다.[22] "이 동인지에는 폭력적인 장면 및 엽기적인 표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この同人誌には暴力シーンや猟奇的な表現が含まれています。)
어째 한국어 번역판에서는 이 경고문구를 지우고 그 위에다가 번역가와 식자가의 별명을 써놨다.
[23] 후술할 격투 대회의 명칭도 그렇지만 실제로는 종합격투기에 가깝다.[24] Underground Fight. 약칭은 UGF인데 UFC를 의식한 명칭으로 보인다.[25] 상대의 공격을 가볍게 백스텝으로 피하는듯 했으나 그랑 자신의 몸에 여성화 되면서 생긴 거대한 유방을 미쳐 생각하지 않아 상대의 공격은 그대로 해당 부위에 직격된다.[26] '루리아 본인이 (그랑의 취향에 맞게) 자신을 거유를 지닌 몸매로 변화시키는 시도를 여러번 했다'는 언급이나 '전작에서 등장한 괴물의 모습으로 등장한 그랑은 해당 격투 대회의 마지막 상대였던 남성 드라프의 몸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라는 묘사 등. 참고로 이 결합 과정에서 사지 절단 묘사가 있는데, 절단면을 말풍선으로 절묘하게 가린 것이 특징.[27] 양팔과 다리가 잘리고 눈까지 뽑혀서 장님이 된 상태로 능욕당한다.[28] C94 출품작인 変態TSレスラーグラン에서 선보였던 여자의 몸으로 바뀐 그랑에게 남자의 생식기를 달아놓은 모습이라 사실상 후타나리인 셈이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루리아에게 질내사정을 하게 되고는 "누가... (도와줘)"라는 대사를 나지막하게 내뱉는 모습이 애처로울 지경.[29] 기승위인지라 토사물이 고스란히 그랑의 배 위로 쏟아졌다. 그런데 토사물에 음식물의 묘사가 전혀 없는 것으로 루리아는 식사 따위는 죄다 거르고 하루 종일 그랑과 섹스만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원작 게임에서는 루리이의 식탐 기질이 강하다는 설정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얀데레로서 점차 망가져가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30] C98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코믹마켓 역사상 최초로 개최가 취소되었다.[31] 이 경우는 출품 일주일 이내에 pixiv에서 작품에 넣을 캐릭터 신청을 받는다.[32] 제목의 お礼参り는 원래 '소원 성취의 사례로 신불에 참배하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지만 속어로는 앙갚음의 의미로 쓰인다.[33] 파피의 어머니. 나무위키에는 해당 캐릭터 정보가 없다.[34] 한국어로 번역하면 '암컷 성정수 - 능욕편'. 성정수는 그랑블루 판타지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여타 판타지 세계관을 다룬 매체의 몬스터소환수와 비슷한 개념이다.[35] 원제는 "外伝"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약자이다.[36] 작중에서는 당연히 나체로 등장해서 메인 퀘스트의 성정수와 구분이 안 되지만, 셀레스트가 마그나 성정수 형태로 나오는 걸 보면 다른 성정수도 마그나 형태임을 추측할 수 있다. 메인 퀘스트 셀레스트였으면 레알 배박이가 되된다.[37] 제목에 비교적 은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NF"는 'Nipple Fuck'을 의미하며 "ハメ"(はめ-)는 '끼우다, 박다, 채우다' 정도의 의미이지만 성교를 의미하는 속어이기도 하다. 즉, 제목 전체를 해석해 보면 '니플퍽을 좋아하는 그랑 의 가슴단원 젖박기 판타지' 정도가 된다.[38] 본작의 내용을 감안하면 라스티나의 부활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먼저 부활 요소를 활용한 그랑블루 판타지 동인지를 그린 다른 작가가 있다.[39] 제목의 売는 賣(팔 매)의 약자이다.[40] 복장은 최초 획득 기준. 그런데 상반신의 가슴가리개에 해당하는 속옷 부분이 없어 유륜과 유두가 드러난다. 마기사의 옆모습이 담긴 공식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등 파인(Backless) 드레스 형태라 흉부 직물로 지탱되는 구조의 복장인데 해당 부분이 없는 경우 복부 직물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복장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 외에는 설명할 방법이 없다. 그냥 가슴 아랫살로 눌러서 고정시키고 있다고 치자. 정작 다른 컷에서 나타나는 옆모습에서는 복부의 형태가 복대처럼 묘사되는 것으로 보아 아무래도 작가가 복장을 개조하여 그리다가 중간에 헷갈린듯. 참고로 마기사의 최종 상한 해방 시 복장은 등 뒤로 끈이 있는 브래지어 형태 구조이다.[41] 심지어는 콧구멍에도 작은 촉수가 들어가 에 직접적으로 침투하여 마기사의 정신을 조작한다. 촉수로 세뇌? 정작 펠라치오 행위가 없어 입은 제외된다.[42] 정확하게는 치마가 분리된 상태. 원작에서도 분리형 치마임을 알 수 있다.[43] 2018년 당시 그랑블루 판타지의 여름 이벤트인 "찌릿찌릿★일렉트리컬 섬머"의 '낚시' 미니 게임로 획득할 수 있는 응나기(ンナギ)라는 생물이다. 소환수 형태로는 전기 응나기(デンキンナギ)가 있다. 이름은 일본어로 장어를 가리키는 우나기(ウナギ)를 비튼 것이다.[44] 한자 표기는 . 그 뜻풀이를 하면 '가슴 모양', 즉 유방의 형태 정도로써, 캐릭토님이나 다름없는 직설적인 가상의 성씨이다.[45] 작중 스이카의 소셜 미디어 계정 프로필 설명에 나오는 나이 표기(현역 1●살 학생!) 중 일의 자리가 복자 처리되어 있다.[46] 참고로 일본과 한국 둘다 만 15세 이상부터 아르바이트를 비롯한 미성년자 근무가 가능하다.[47] 정확히 말해서 御은 (비 상용) 훈독 お, 歩은 음독 ブ, 井은 훈독 い이다.[48] 작가 자신이 가상의 도시 시장이라는 설정은 제1권 출품에 앞서 DLsite 측에서 진행한 이벤트인 都市国家設立(도시국가설립)에서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49] 이 작품에 참여한 작가는 서클 주인인 しーあーる 작가까지 포함해서 무려 25명인만큼 해당 작가들의 다른 원작들도 있으나 해당 서클 주인과 おぶい 작가 작품의 원작만 기재하였다.[50] 로마자 표기는 C.R. 동인서클 이름은 C.R's NEST.[51] 이 게스트 참여 그림은 おぶい 작가의 twitte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52]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Futanari'로 표기하기 때문에 해당 행사명도 헵번식을 따르면 Futaket이 되지만, 행사 주최 측의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는 Hutaket이다.[53] 발췌: ふたけっと 사이트의 "이벤트 개요" 페이지.[54] 드림 클럽 출시 당시 해당 캐릭터의 외형이 파츄리와 비슷하여 이 둘을 조합한 그림이 유행했었다.[55] 동인서클 이름은 満珍楼. 참고로 일본에서 가장 큰 차이나타운이 위치한 요코하마시珍楼라는 이름의 중화요리 음식점이 있는데, 서클명은 아무래도 여기에서 따온 듯.[56] 희한하게도 이 작품 이후로 COSiNE 작가는 동인지로는 완전 채색, 이른바 '풀컬러' 작품만 출품하게 된다.[57] 어째서인지 목차에서는 두 작가의 작품 페이지 번호가 서로 뒤바뀌어 잘못 기재되어 있다.[58] 니트로 플러스에서 소니코미 출시 후 판매한 아트북에 수록된 소니코의 복장이다. 사실은 앞부분에 조임끈이 있는 코르셋 형태의 가슴가리개를 착용한 것이다. 참고로 이를 토대로 제작된 피규어 (입체) 상품도 있다.[59] 이 게스트 참여 그림은 おぶい 작가의 pixivEnty에서도 각각 열람 및 구매가 가능하다. Enty 판은 서명이 없는 그림인데, 전자는 귀두(의 요도) 끝부분, 후자는 음경 부분으로 남성기의 검열 처리 위치가 서로 다르다.[60] 동인서클 이름은 天外悪十文字. 해당 작가의 '1인 서클'이다.[61] 해당 작품 자체는 "ふたなり鎮守府" 동인서클 명의로 출품되었다.[62] 본 설명은 멜론북스에 게시된 해당 작품의 위탁 판매 게시물의 내용을 일부 발췌하여 번역한 것이다.[63] 서클명은 Fatalpulse (이상 능력 연구 개발기구).[64] 사실 해당 상업지의 절반 정도가 이런 구성이다.[65] 触魔. 쉽게 말해서 '촉수괴물'이다.[66] 地魔. 슬라임이다.[67] 宝魔. 신체 형태 때문에 슬라임으로 혼동할 수 있으나 본체가 들어가 있는 '보물상자', 보석과 왕관으로 장식된 본체, 캐릭터 이름이 장신구를 의미하는 'Jewellery'임을 보면 영락 없는 (상자형) 미믹.[68] 원문에서는 '忍魚'로, 해석하자면 '닌자 인어' 정도가 된다. 이는 忍과 人의 일본어 음독이 'にん'으로 같다는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다.[69] 발키리는 해당 캐릭터의 종족명으로 원래 일본어판에서는 鬼神乙女(귀신처녀)라고 쓰고 ワルキューレ(발키리)라고 읽는다. 명칭도 그렇고 설정 상으로도 "마계에 사는 희소종 고위 '오니'족(鬼族)으로 '발키리'라고 불리는 여자들로만 구성되어있다. (중략) 발키리 일족은 전부 '여자'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때문에 번식할 때는 자신들을 쓰러뜨린 타종족의 수컷하고만 생식한다. 이때, 자기보다 강한 수컷하고만 교배를 하며, 무조건 일족의 '여성'만 출산한다."라는 설정에서 다분히 전처녀 발키리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판에서는 종족 설정을 반영하여 비공식적으로는 'Demon Maiden'으로 번역되었다.[70] 예시거시기하지만 이는 특히 '유륜' 경계 표현에서 두드러진다.[71] 원작 CG에서도 니플퍽이 연출되는 장면은 있지만, 해당 그림과는 다른 등장인물이다.[72] 2015년 4월 19일에 열렸는데 시기 상으로는 5회(2015년 1월 25일)와 6회(2015년 7월 5일) 사이이다.[73] フェチ는 フェティシズム의 일본어식 축약어이다.[74] 참고: 한국 커뮤니티해당 행사를 다룬 내용의 게시물.[75] 일각에서는 본 문서의 기타 문단에서도 후술된 라스트오리진 동인 CG집이 협업에 영향을 준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다. 아닌 게 아니라 해당 게임 자체도 본래 팬 커뮤니티에서 팬아트로 활동하다가 정직원이 된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사례가 수두룩하다.[76] 다른게 아니라, 라스트 오리진과의 인연이 닿기 이전엔 한국에선 진짜 휴지끈 길이 된다는 아는 사람만 알고 떡인지 계열에서 이름 조금 있을 뿐인, 아사나기랑 같은 취향의 열화판 정도의 인식인 에로 작가중 한명에 불과한, 서브컬쳐계 내에서도 철저히 무명에 가까웠던 오부이에 대한 인지도와 명성을 극한까지 끌어올려서 이제는 한국에선 아사나기보다 더 유명인으로 만들어 준 작품이 외주 캐릭이었던 포이와 그 게임인 라스트 오리진이었다. 만일 애정이 아니라 하더라도, 자신의 이름을 해외까지 알리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효녀와, 효자게임을 빈말로라도 결코 홀대하거나 소흘히 대할 순 없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오부이의 주된 취미 및 작가 활동 본진은 확고히 그랑블루인 점을 감안한다면 라오에 이정도 지지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보답하고 있는 것이긴 하지만.[77] 디시인사이드디시콘과 유사한 서비스이다.[78] 중간에 현역 공식만화 작가인 만메, 민트에이드라고 썼지만 사실 디얍, 웨히히도 출연했다.[79] 게스트들 역시 이미 업무상 관계는 끝난 초티지나 파공&김턱듀오 등이 당연하다는듯이 등장했다.[80] 이로 인해 작가가 101회 겨울 코믹마켓의 출품작으로 계획했던 라스트오리진 동인지도 제작이 보류되었다. 공개된 러프 스케치로 미루어보아 라비아타가 주연으로 보인다.[81] 클로버 에이스의 악수회라는 설정으로, 쑥쓰러워하는 안드바리와 악수하면서 머리를 쓰다듬고 있는 내용이다. 줄 뒤편으로는 고딕 드레스 스킨과 유사한 원피스를 입은 LRL, 뱅뱅이 안경을 쓰고 클로버 에이스 로고가 그려진 티셔츠에 클로버 에이스 부채 굿즈를 들고 있는 스테레오타입 오타쿠 복장을 한 흐레스벨그, 그 앞에는 주황색 상의와 하늘색 치마의 원피스를 입은 더치 걸이 서있다. 왼쪽 뒷편에는 코 밑을 검지로 비비며 흐뭇해 하는 '사'령관'클로버 초코'(멜론맛 초코바)를 먹으며 멀뚱히 바라보는 알비스깨알같이 그려져 있다.[82] 해당 게시물은 Agawa 작가의 오리지널 캐릭터를 그린 것으로, Agawa 작가는 일본인치고는 특이하게 pixiv보다 Tumblr 쪽을 더 많이 사용한다.[83] 복장은 레슬러 직업의 것을 기반으로 하였는데, 기존의 남성 플레이어 레슬러 복장을 그대로 여성화한 듯한 형태이다. 변태스럽다고 평가 받던 남성 레슬러 복장이 오히려 여성화 형태에서 잘 어울린다는 평.[84] 다만 신고 이후 확인해보니 해당 협박 댓글을 보낸 트위터 계정은 이미 동결되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동인 작가 중에 이런 식의 살해 협박을 받은 선례로 아사나기가 있다.[85] 참고로 이후 미국 여행을 떠났다.[86] 정작 서클 부스 표지 그림은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야오요로즈 모모인데, 당초에는 여름 코믹마켓을 마치고 미리 겨울 코믹마켓 소재로 해당 작품의 해당 캐릭터를 등장시키는 동인지를 기획했었으나 도중 10월 초경에 전술한 작품의 TVA가 방영되기 시작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87] 斧戦士. 원작 소설에서는 대사만 나왔으나 만화판에서 외형이 추가된 덕분에 TVA판에서도 등장하게 된 캐릭터이다. 복장을 비롯한 전체적인 디자인은 드래곤즈 크라운아마존과 비슷한데 이는 전술한 마녀가 해당 작품의 소서리스의 디자인을 따온 것과 같은 맥락이다.[88] 포이 가슴골 사이에 왠 독라 실장석 하나가 끼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MM작가 본인의 오너캐이자 프로필 사진이다. 참고로 선물을 받은 후 작가의 프사는 포이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