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05 16:25:12

스키(인명)


1. 개요2. 특징3. 사례4. 여성의 경우5. 여담

1. 개요

-ский / -ський / -ski

본래 폴란드에서 비롯한 작명이며, 러시아와 폴란드를 비롯한 슬라브어권 국가 출신의 성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접미사이다.

2. 특징

어원적으로는 슬라브조어 *-ьskъ에서 유래하며 통상적으로 형용사 어휘임을 나타낸다.

서양의 성씨는 대체로 Y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여럿 있을 때 이를 구분하기 위해 'X 지역의 Y' 혹은 'X의 아들·딸 Y' 식으로 불리던 것이 정착한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X 지역' 혹은 'X의 아들·딸'을 형용사 형태로 만들어주는 것이 -ский / -ski이다.

스키 외에도 스코이(러시아어로 -ской), 즈키(우크라이나어로 -дський),[1] 츠키(러시아어로 -дский 또는 -цкий, 폴란드어로 -dzki 또는 -cki), 치키(세르보크로아트어로 -čki) 형태로도 활용된다. 러시아어권의 도시 지명에서는 스크(-ск)나 츠크(-дск 또는 -цк) 형태로 활용된다.

세간에 알려진 러시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외에도 -스키 성씨를 주로 사용하는 국가로는 몰도바,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체코가 있다.
유독 아슈케나즈 유대인의 성씨에서 -ki 또는 -ky 꼴이 자주 보인다는 이유로, 카이크(kike)란 멸칭이 등장하기도 했다.

3. 사례

대표적인 예로 폴란드의 축구선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있다. 물론 폴란드계 미국인도 -스키 성씨를 쓰는데, 대표적으로 NC 다이노스의 야구선수 드류 루친스키가 있다. 그리고 폴란드 외에도 과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역이었던 리투아니아[2],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는 이렇게 -스키로 끝나는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슬라브권 국가 중에서 러시아의 인지도가 워낙 높아서 국내에서는 단순히 러시아어식 인명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인의 성씨에서 많이 보이기는 하나, 본래 러시아어식 작명법이 아니라서 성씨가 -스키 형태라면 그 사람의 조상은 폴란드계 러시아인일 가능성도 있다. 조상대에서부터 러시아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성은 보통 -오프(-ов), -예프(-ев), -인(-ин·ын)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오프, -예프는 복수 생격·대격형 접미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인과 같이 '~의'를 나타내는 소유형의 용법이기도 하다. -오프 계열은 《죄와 벌》의 라스콜니코프(Раскольник'ов'), 소련 외무장관 몰로토프(Молот'ов'), AK-47의 아버지 칼라시니코프(Калашник'ов'), -예프 계열은 킥복싱 선수 카라예프(Кара'ев'), 메드베데프(Медвед'ев'), 브레즈네프(Брежн'ев'), -인 계열은 레닌(Лен'ин')[3], 가가린(Гагар'ин'), 푸틴(Пут'ин'), 스탈린(Стал'ин')[4] 등이 있다.

일부 튀르크계 국가가 소련의 영향을 받으면서 성씨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튀르크계 어근에 러시아식의 접미사가 차용되기도 했다. 카자흐스탄 초대 대통령 나자르바예프(Назарба'ев'), 아제르바이잔 제4대 대통령 알리예프(Əli'yev'), 우즈베키스탄 초대 대통령 카리모프(Карим'ов'/Karim'ov'), 투르크메니스탄 초대 대통령 니야조프(Nyýaz'ow') 등이 있다.

4. 여성의 경우

여성형의 경우에는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에서 큰 차이가 있다. 폴란드에서는 -스카(-ska)로 바뀌며,[5] 러시아에서는 여자는 성이 여성형인 -스카야(-ская)로 바뀐다. 예를 들어 차이콥스키 가문의 남자는 성이 차이콥스키, 여자는 차이콥스카야이다. 우크라이나어로는 여성형이 -스카(-ська), 벨라루스어로는 -스카야(-ская)이다.

그러나 이들이 외국에 나가 정착해서 살게 되면 딸의 성을 굳이 '-스카야'라는 여성형으로 바꾸기보다는 그냥 '-스키'라는 성으로 계속 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예로 여배우 나스타샤 킨스키가 있고, 각종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이런 현상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5. 여담

한국에서는 대략 러시아 사람처럼 보이고 싶다면 성 뒤에 그냥 막 갖다붙이는 단어 중 하나. 이반 시발노무스키돌아이스키 3세라든가… 발레리NO의 등장인물들 이름도 연기한 개그맨 이름+스키(ex.성광스키)로 되어 있다.

ex)배틀스키(황금용자 골드란 17화에 나오는 우르잭 공화국 소속 무술가.), 킨토레스키(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오레스키(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스키와 더불어 슬라브어권 성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접사로는 비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폴란드어권과 세르보크로아트어권에서 더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1]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무성음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스코로파즈키(Скоропадський)가 대표적이다.[2] 이쪽은 정말로 폴란드계 혈통이라서 그런 경우도 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절에 조상이 폴란드화되어 폴란드식 성씨를 쓰게 된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주로 조상이 리투아니아 대공국 귀족이었던 경우가 많다.[3] 본래 성씨는 울리야노프(Ульянов)지만, 러시아 제국의 추적을 피하기 위한 일종의 '코드네임'이었다.[4] 스탈린은 조지아 출신으로, 본래 성씨는 주가슈빌리(ჯუღაშვილი)이다. 레닌(울리야노프)과 마찬가지로 혁명 전 볼셰비키에서 쓰던 일종의 '코드네임'들 중 하나였다.[5] 예: 마리아 스크워도프스카 - 폴란드의 그 퀴리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