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f241d> | SK 와이번스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20272C" | 일반 문서 | |
핵심 인물 | 구단주 최창원 | 사장 류준열 | 단장 손차훈 | 감독 염경엽 | 수석코치 박경완 | 2군 감독 이종운 | 주장 최정 | |
경기장 | 1군 인천 SK행복드림구장 | 2군 SK 퓨처스 파크 | |
주요 문서 | 선수단 | 등번호 | 유니폼 | 응원가 | 사건·사고 | 관련기록 | 가을슼| 흥참동 | |
우승 ★★★★ | 2007년 | 2008년 | 2010년 | 2018년 | |
2020 시즌 | 2020년 | 스토브리그 |시범경기(취소) | 개막~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이후 | |
틀 문서 | ||
역대 시즌 | 감독 | 주장 | 응원단장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
강한 기본, 투혼의 SK |
1. 역대 성적
| 우승 |
|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연도 | 정규시즌 순위 | 최종 순위 | 팀이름 | 경기수 | 승 | 패 | 무 | 승률 |
2000 | 매직 4위/4팀 | 8위 | SK 와이번스 | 133 | 44 | 86 | 3 | 0.338 |
2001 | 7위/8팀 | 7위 | 133 | 60 | 71 | 2 | 0.458 | |
2002 | 6위/8팀 | 6위 | 133 | 61 | 69 | 3 | 0.469 | |
2003 | 4위/8팀 | 준우승 | 133 | 66 | 64 | 3 | 0.508 | |
2004 | 5위/8팀 | 5위 | 133 | 61 | 64 | 8 | 0.488 | |
2005 | 3위/8팀 | 3위 | 126 | 70 | 50 | 6 | 0.583 | |
연도 | 정규시즌 순위 | 최종 순위 | 경기수 | 승 | 패 | 무 | 승률 | |
2006 | 6위/8팀 | 6위 | 126 | 60 | 65 | 1 | 0.480 | |
2007 | 1위/8팀 | 우승 | 126 | 73 | 48 | 5 | 0.603 | |
2008 | 1위/8팀 | 우승 | 126 | 83 | 43 | 0 | 0.659 | |
2009 | 2위/8팀 | 준우승 | 133 | 80 | 47 | 6 | 0.602 | |
2010 | 1위/8팀 | 우승 | 133 | 84 | 47 | 2 | 0.632 | |
2011 | 3위/8팀 | 준우승 | 133 | 71 | 59 | 3 | 0.546 | |
2012 | 2위 /8팀 | 준우승 | 133 | 71 | 59 | 3 | 0.546 | |
2013 | 6위/9팀 | 6위 | 128 | 62 | 63 | 3 | 0.496 | |
2014 | 5위/9팀 | 5위 | 128 | 61 | 65 | 2 | 0.484 | |
2015 | 5위/10팀 | 5위 | 144 | 69 | 73 | 2 | 0.486 | |
2016 | 6위/10팀 | 6위 | 144 | 69 | 75 | 0 | 0.479 | |
2017 | 5위/10팀 | 5위 | 144 | 75 | 68 | 1 | 0.524 | |
2018 | 2위/10팀 | 우승 | 144 | 78 | 65 | 1 | 0.545 | |
2019 | 2위/10팀 | 3위 | 144 | 88 | 55 | 1 | 0.615 | |
KBO 통산 20시즌 | V4 | 2611 | 1386 | 1239 | 55 | 0.528 |
그 외 사항은 KBO 리그/역대 팀 스탯 문서 참조.
2.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삼성 라이온즈 | 2003 준PO : 2승 2010 KS : 4승 2011 KS : 1승 4패 2012 KS : 2승 4패 | 준PO 1승, KS 1승 2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9승 8패 |
KIA 타이거즈 | 2003 PO : 3승 2009 KS : 3승 4패 2011 준PO : 3승 1패 | 준PO 1승, PO 1승, KS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9승 5패 |
현대 유니콘스 | 2003 KS : 3승 4패 | KS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3승 4패 |
한화 이글스 | 2005 준PO : 2승 3패 | 준PO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2승 3패 |
두산 베어스 | 2007 KS : 4승 2패 2008 KS : 4승 1패 2009 PO : 3승 2패 2018 KS : 4승 2패 | PO 1승, KS 3승 개별 경기 총 전적 : 15승 7패 |
롯데 자이언츠 | 2011 PO : 3승 2패 2012 PO : 3승 2패 | PO 2승 개별 경기 총 전적 : 6승 4패 |
키움 히어로즈 | 2015 WC : 1패 2018 PO : 3승 2패 2019 PO : 3패 | WC 1패, PO 1승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3승 6패 |
NC 다이노스 | 2017 WC : 1패 | WC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1패 |
- KBO 리그 팀 중에서 유일하게 LG 트윈스와는 아직까지 포스트시즌에서 대결한 바가 없다. SK 와이번스와 LG 트윈스가 동시에 포스트시즌 진출 기록을 세운 것은 2019년이 유일하다.
3. 역대 감독
역대 | 이름 | 재임기간(시즌) | 성적 | 비고 | |
초대 | 강병철 | 2000 ~ 2002 | 399전 165승 226패 8무 | ||
2대 | 조범현 | 2003 ~ 2006 | 518전 257승 243패 18무 | 2003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2005년 준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 |
3대 | 김성근 | 2007 ~ 2011 | 611전 372승 232패 13무 | 2007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200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2009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2010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 |
감독대행 | 이만수 | 2011 | 40전 19승 18패 3무 | 2011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1] | |
4대 | 이만수 | 2012 ~ 2014 | 389전 194승 187패 8무 | 2012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 |
5대 | 김용희 | 2015 ~ 2016 | 288전 138승 148패 2무 | 2015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 | |
6대 | 트레이 힐만 | 2017 ~ 2018 | 288전 153승 133패 2무 | 2017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 201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 |
7대 | 염경엽 | 2019 ~ | 2019년 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
- 약 3년에 한 번 꼴로 감독이 바뀌었지만 중도 경질된 김성근 감독을 제외하면 나머지 감독이 모두 계약 기간을 채우고 물러났다. 최초 계약 기간 만료 후 재계약에 성공한 감독은 2004년 시즌 후 2년 재계약을 맺은 조범현 2대 감독이 유일하다. 당초 트레이 힐만 6대 감독도 2018년 시즌 이후 재계약 가능성이 높았지만 미국에 있는 가족의 사정 때문에 본인이 재계약을 포기했다.
- 강병철 초대 감독을 제외하면 모두 SK 감독 재임 중 1회 이상 KBO 포스트시즌 진출 경험이 있다.
4. 역대 주장
연도 | 선수 |
2000년 | 최태원 |
2001년 | 양용모 |
2002년 | 박계원 |
2003년 | 김기태 |
2004년 | 조원우 |
2005년 | 강성우 |
2006년 | 김재현 |
2007년 | 김원형 |
2008년 | |
2009년 | 박경완 |
2010년 | 김재현 |
2011년 | 이호준 |
2012년 | 박정권 |
2013년 | 정근우 |
2014년 | 박진만 |
2015년 | 조동화 |
2016년 | 김강민 |
2017년 | 박정권 |
2018년 | 이재원[3] |
2019년 | |
2020년 | 최정 |
5.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
연도 | 선수 | 상대팀 | 비고 |
2000년 | 김태석 | 삼성 라이온즈 (대구) | 홈 개막전 선발 : 추가바람 |
2001년 | 에르난데스 | LG 트윈스 (숭의) | |
2002년 | 에르난데스 | 현대 유니콘스 (수원) | 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 |
2003년 | 스미스 | LG 트윈스 (잠실) | 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 |
2004년 | 카브레라 | LG 트윈스 (문학) | |
2005년 | 김원형 | 현대 유니콘스 (수원) | 홈 개막전 선발 : 채병용 |
2006년 | 신승현 | 현대 유니콘스 (문학) | |
2007년 | 레이번 | 한화 이글스 (대전) | 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
2008년 | 레이번 | LG 트윈스 (문학) | |
2009년 | 채병용 | 한화 이글스 (문학) | |
2010년 | 카도쿠라 | 한화 이글스 (문학) | |
2011년 | 글로버 | 넥센 히어로즈 (문학) | |
2012년 | 마리오 | KIA 타이거즈 (문학) | |
2013년 | 레이예스 | LG 트윈스 (문학) | |
2014년 | 김광현 | 넥센 히어로즈 (문학) | |
2015년 | 밴와트 | 삼성 라이온즈 (대구) | 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
2016년 | 김광현 | kt wiz (문학) | |
2017년 | 켈리 | kt wiz (문학) | |
2018년 | 켈리 | 롯데 자이언츠 (문학) | |
2019년 | 김광현 | kt wiz (문학) | |
2020년 | 추가바람 | 삼성 라이온즈 (문학) |
6. 역대 한국시리즈 헹가래 투수
연도 | 헹가래 투수 | 헹가래 포수 | 마지막 타자 | 상대팀 |
2007년 | 정대현 | 박경완 | 이종욱 (루킹 삼진) | 두산 베어스 (문학, KS 6차전) |
2008년 | 채병용 | 김현수 (1-2-3 병살타) | 두산 베어스 (잠실, KS 5차전) | |
2010년 | 김광현 | 현재윤 (루킹 삼진) | 삼성 라이온즈 (대구, KS 4차전) | |
2018년 | 허도환 | 박건우 (헛스윙 삼진) | 두산 베어스 (잠실, KS 6차전) |
7. 역대 개인 기록(통산)
- 투수
부분 | 이름 | 기록 | SK 소속 시즌 |
등판경기 | 정우람 | 600경기 | 2004~2015 |
선발등판 | 김광현 | 246경기 | 2007~현재 |
완투 | 이승호 | 11완투 | 2000~2011 |
완봉 | 이승호 | 3완봉 | 2000~2011 |
김광현 | 2007~현재 | ||
평균자책점 | 김광현 | 3.27 | 2007~현재 |
승리 | 김광현 | 136승 | 2007~현재 |
패전 | 김광현 | 77패 | 2007~현재 |
세이브 | 정대현 | 99세이브 | 2001~2011 |
홀드 | 정우람 | 128홀드 | 2004~2015 |
이닝 | 김광현 | 1673.2이닝 | 2007~현재 |
탈삼진 | 김광현 | 1456탈삼진 | 2007~현재 |
피안타 | 김광현 | 1577피안타 | 2007~현재 |
피홈런 | 채병용 | 161피홈런 | 2001~현재 |
볼넷 | 김광현 | 646볼넷 | 2007~현재 |
사구 | 박종훈 | 102사구 | 2010~현재 |
- 타자
부분 | 이름 | 기록 | SK 소속 시즌 |
출장경기 | 최정 | 1648경기 | 2005~현재 |
타율 | 이진영 | 0.304 | 2000~2008 |
출루율 | 최정 | 0.389 | 2005~현재 |
장타율 | 최정 | 0.525 | 2005~현재 |
타석 | 최정 | 6723타석 | 2005~현재 |
타수 | 최정 | 5651타수 | 2005~현재 |
안타 | 최정 | 1640안타 | 2005~현재 |
2루타 | 최정 | 303개 | 2005~현재 |
3루타 | 조동화 | 30개 | 2000~2018 |
홈런 | 최정 | 335개 | 2005~현재 |
타점 | 최정 | 1084타점 | 2005~현재 |
득점 | 최정 | 1012득점 | 2005~현재 |
도루 | 정근우 | 269도루 | 2005~2013 |
볼넷 | 최정 | 698볼넷 | 2005~현재 |
사구 | 최정 | 252개 | 2005~현재 |
삼진 | 최정 | 1275개 | 2005~현재 |
8. 역대 개인 기록(단일 시즌)
- 투수
부분 | 이름 | 기록 | 시즌 |
출장경기 | 정우람 | 85경기 | 2008 |
선발등판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 34경기 | 2001 |
완투 | 이승호 | 6완투 | 2001 |
완봉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 2완봉 | 2001 |
승리 | 김광현 | 17승 | 2010 |
패전 | 이승호 | 14패 | 2001 |
세이브 | 하재훈 | 36세이브 | 2019 |
홀드 | 박희수 | 34홀드 | 2012 |
이닝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 233.2이닝 | 2001 |
탈삼진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 215탈삼진 | 2001 |
피안타 | 메릴 켈리 | 205피안타 | 2016 |
피홈런 | 채병용 | 27피홈런 | 2014 |
볼넷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 134볼넷 | 2001 |
사구 | 박종훈 | 25사구 | 2017 |
- 타자
부분 | 이름 | 기록 | 시즌 |
타율 | 정근우 | 0.350 | 2009 |
출루율 | 김재현 | 0.445 | 2005 |
장타율 | 최정 | 0.684 | 2017 |
타석 | 정의윤 | 616타석 | 2016 |
제이미 로맥 | 2018 | ||
타수 | 정의윤 | 576타수 | 2016 |
안타 | 정의윤 | 179안타 | 2016 |
2루타 | 최정 | 33개 | 2012 |
박정권 | 2014 | ||
3루타 | 노수광 | 8개 | 2018 |
홈런 | 최정 | 46개 | 2017 |
타점 | 한동민 | 115타점 | 2018 |
득점 | 최정 | 106득점 | 2016 |
도루 | 정근우 | 53도루 | 2009 |
볼넷 | 박경완 | 94볼넷 | 2004 |
사구 | 박경완 | 27개 | 2010 |
삼진 | 최정 | 129개 | 2018 |
9. 유니폼 변천사
10. 선수단 일람
11. 등번호 일람
12. SK 와이번스 레전드
- No. 27 이호준(2000년~2012년)
2000년 투수 성영재와의 맞트레이드로 SK에 온 직후부터 팀의 클린업 트리오 중 한 축을 맡았던 중심타자. SK에서만 198개의 홈런을 때려냈고 락커룸 리더이자 펄녀 막는 고오급 경비로서 팀의 기강을 잡는 맏형이었다. - No. 41 조웅천(2001년~2009년)
인천에서 현역 선수 생활을 시작해 인천에서 현역 선수 생활을 끝낸 케이스. 2003년 구원왕에 오르며 팀의 준우승을 이끌었고 2007년 더블 스토퍼 역할을 충실히 하며 팀의 첫 우승을 이끈 투수진의 리더였다. - No. 26 박경완(2003년~2013년)
SK 왕조의 기틀을 다진 포도대장. 옛 스승인 조범현 감독의 구애로 SK에 온 후 막강한 야전 사령관으로서 한국시리즈 우승 3회, 준우승 1회[4]를 이끌었고 팀 역사상 1호 영구결번 헌액의 영광을 안았다. 향후 유력한 감독 후보군 중 한 명이다. - No. 62 박재홍(2005년~2012년)
자타가 공인하는 인천야구의 원조 아이돌. SK에서의 성적만 놓고 보면 화려했던 전성기보다 다소 못한 모습이었지만 존재만으로도 인천 팬들을 하나로 결집시킬 수 있는 선수였다. - No. 45 채병용(2002년~2019년)
와이번스 구단 역사상 가장 눈물겨운 사연을 가진 2대 에이스. 감독의 입맛에 따라 선발, 중간계투, 마무리는 물론 패전처리 역할까지 맡으면서도 항상 SK 와이번스라는 팀을 가장 먼저 생각했던 선수. 슈퍼 에이스 김광현에 가려져 있지만 SK에서만 84승을 거둔 팀내 통산 다승 2위 투수. - No. 36 박정권(2004년~2019년)
정규시즌에는 그럭저럭 평타 수준의 활약을 하다가도 가을야구 때는 별명 그대로 천하무적 괴물 모드가 발동하던 한국판 미스터 옥토버.
이외에도 현재진행형 레전드로는 최정, 김광현 등을 꼽을 수 있다.
13. 캐치프레이즈
연도 | 문구 |
2000년 | 패기의 SK! 승리의 와이번스![5] |
2001년 | 불같은 패기! 뜨거운 감동! SK 와이번스! |
2002년 | 패기의 SK! 팬과 함께 우승영광! |
2003년 | 세계로 향한 인천! 우승을 향한 SK![6] |
2004년 | 정상을 향한 무한비상! SK 와이번스! |
2005년 | 구도[7] 100년! 챔피언 원년! 인천 SK! |
2006년 | 우승을 향한 행복 날개![8] SK 와이번스! |
2007년 | Fan First! Happy Baseball![9] |
2008년 | |
2009년 | |
2010년 | Go Green! Enjoy Baseball![10] |
2011년 | 불꽃투혼 SK! 팬과 함께 V4![11] |
2012년 | Touch Wyverns! Go V4! |
2013년 | |
2014년 | |
2015년 | One Team! One Spirit![12] |
2016년 | 새로운 시작! 새로운 도전! |
2017년 | 따뜻한 울림 뜨거운 질주 |
2018년 | 다함께! 더높이! - Rise up Together! |
2019년 | 열광, 자부심 그리고 2019 |
2020년 | 강한 기본, 투혼의 SK |
[1]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최초의 감독대행[2] 2008년 시즌 초반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주장직을 김원형에게 넘겨주었다.[3] 구단 역사상 최초의 2년 연속 주장. 물론 김원형이 2007년과 2008년 주장을 연속으로 맡았지만 2008년은 원래 이호준에게 맡겨진 몫을 넘겨 받은 것이다.[4] 2009년은 그가 아킬레스건 부상을 당하면서 엔트리에 없었다.[5] 이후 구단의 공식 슬로건이 됐다. '패기'는 SK그룹의 인재상이기도 하다.[6] 캐치프레이즈에 지역명을 직접 표기한 흔치 않은 사례. 인천 팬들에게 가깝게 다가가고 SK가 인천 연고 팀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전략이었다. 결국 이 해 SK는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차지했고 마케팅 측면에서도 적잖은 성공을 거뒀다.[7] 球都. 야구도시라는 뜻으로 인천에서 처음 야구가 시작됐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8] SK그룹의 CI에 행복 날개가 추가된 점을 감안해 제정됐다.[9] "'스포테인먼트' 시대를 열겠다"는 취지로 "팬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면서 마련한 캐치프레이즈이다.[10] 연두색 유니폼을 입는 이마트 그린데이 시리즈가 이 해부터 시작됐다.[11] 원래는 팬 공모를 통해 선정된 'Do Dream! SK Wyverns! Let's go V4!'라는 캐치프레이즈였다. 발표 이후 당시 부천 FC 1995 축구단의 캐치프레이즈와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재선정됐다.[12] 김용희 감독이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