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5:48:50

RØDE

RODE에서 넘어옴
<colbgcolor=#ab986e><colcolor=#fff> RØDE Microphones
로드 마이크로폰즈
파일:RØDE.jpg
기업명 RØDE Microphones (1990 ~ )
前 Freedman Electronics (1967 ~ 1990)
업종 오디오 전자공학
설립 1967년
헨리 프리드먼, 피터 프리드먼
본사 호주 시드니 실버워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2. 제품
2.1. 마이크
2.1.1. 스튜디오 콘덴서2.1.2. 와이어리스 마이크2.1.3. 비디오 마이크2.1.4. 라이브용 마이크2.1.5. USB 마이크2.1.6. 방송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장비2.1.7. 케이블 및 악세서리
3. 한국유통, AS 정책4. 여담

1. 개요

로드[1] 호주의 음향 기기 및 음향 장비 주력 기업이다.[2]

마이크 제작은 1990년대 초 중국에서 수입한 마이크 개조로 시작하여[3], 자체 개발로 선회하였다." 중저가 위주로 이 가격에 이 정도 품질을 호주에서 생산한다고?" 소리를 듣던 기업으로 인터넷 시대가 열리고 팟캐스트, 유튜브 유행으로 가성비 깡패로 사랑받았고, 방송가에서도 많은 외주제작사들이 채택하였으며, 요즘은 공중파에서도 가끔 쓰일 정도로 발전과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 중 콘덴서 마이크 NT 시리즈가 있다. [1997년] 이것이 뛰어난 음색으로 대박을 터트리며 오늘날 로드의 기반이 되었다. 보통 콘덴서 마이크 제조 업체들이 노이만의 K67 캡슐이나 AKG사의 CK12 캡슐을 복제해서 생산하는 것과 달리 이 둘의 장점을 합친, 자체 개발한 HF 캡슐을 쓴다.

초기 HF 캡슐은 노이만사의 마이크 캡슐인 K67과 거의 흡사했다. 여기에 음향장비 설계 및 개조로 유명했던 짐 윌리엄스의 Shoeps형 회로를 붙여# 가격에 비해 놀라운 음색 튜닝에 성공했다.

NT-1 4세대에 해당하는 NT1 KIT과 NT1A[5]부터 사용하던 HF 캡슐은 6세대까지 발전했는데, 현재는 노이만과 함께 레퍼런스 콘덴서 마이크의 양대축인 AKG사의 마이크 캡슐인 CK12와 많이 닮아가고 있다.#

즉, 현재 RODE의 마이크 캡슐은 노이만적인 레퍼런스를 추구하면서도, 마이크 캡슐의 형태에서는 AKG사의 CK12와 비슷한데, 이를 통하여 자신만의 사운드를 완성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NT 시리즈로 성공을 한 이후 DSLR 카메라 등에 장착하는 비디오마이크(VIDEOMIC) 시리즈로 힛트를 쳤고, WIRELESS 시리즈를 만들어 높은 평가를 받아, 슈어, 젠하이저와 함께 세계 3대 마이크 브랜드로 성장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2020년대부터는 RODE CASTER PRO 등 방송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스트리머X 등 비디오 캡처보드를 포함한 올인원 방송용 인터페이스와 2025년에는 VIDEO CASTER 시리즈 등을 선보이며 종합 오디오/비디오 메이커로 성장중이며, 이 때문에 요즘 로고에서는 RODE MICROPHONE에서 MICROPHONE을 제외한 RODE 로고만을 사용하고 있다.

승승장구를 했을 것 같지만 M&A를 여러번 했으나 성공하지 못한 것이 흑역사이다. "Big Bottom", "Aural Exciter," 등으로 유명한 이펙터 회사 APHEX사와 모니터 스피커로 유명한 EVENT사를 인수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고, APHEX는 단종되고 현재 RODE사의 USB마이크나 방송용 오디오인터페이스에 기능으로 탑재되어 있다. 모니터 스피커는 RODE 홍보물에만 등장하고 있다. 인수 실패로 인하여 회사의 재정적인 문제까지 생겼으나 극복했고,2023년 미국의 믹서로 유명한 MACKIE사를 인수하여 종합 오디오 메이커로 성장시키고 있다. MACKIE는 많은 신제품을 출시하며 부활을 노리고 있으나 아직 M&A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2. 제품

2.1. 마이크

2.1.1. 스튜디오 콘덴서

  • K2
  • M5
  • NT1 & AI-1 Complete Studio Kit
  • NT1000
  • NT1-A :NT-1A라는 이름과 다르게 NT-1000을 기반으로 좀 더 노이만에 가까운 음색으로 튜닝한 마이크이다.[6]#노이만 U87AI 주파수 응답 #RØDE NT1-A 주파수 응답 캡슐, 튜닝, 회로 등등 모두 NT1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이름과 다르게 NT1과 별관계가 없다.
  • NT1 : 4세대 NT-1은 가격에 어울리지 않는(?) 굉장히 평탄한 주파수 응답 대역이라서 두터운 팬층을 가지고 있다. 영미권 마이크 리뷰 유튜버들 중 이 마이크를 자신의 최애 마이크로 꼽는 사람들이 다수 있다. #RØDE NT1 (4세대) 주파수 응답
  • NT2000
  • NT2-A
  • NT3
  • NT4
  • NT5
  • NT55
  • NT6
  • NTK
  • TF-5

2.1.2. 와이어리스 마이크

  • RØDE Wireless GO
  • RØDE Wireless GO II
  • RØDE Wireless GO III
  • RØDE Wireless PRO : 전용 PC앱을 제공, 내부 32비트 레코딩을 제공하며, 타임코드 기능이 있다.

2.1.3. 비디오 마이크

2.1.4. 라이브용 마이크

2.1.5. USB 마이크

2.1.6. 방송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장비

2.1.7. 케이블 및 악세서리

3. 한국유통, AS 정책

  • 2021년까지 BLS KOREA에서 유통하였으나 2022년부터 사운드캣이 독점 유통한다.
  • 월드 워런티 : 세계 어느 곳에서 구입했던지 해당 국가의 유통 업체에서 A/S를 받을 수 있다. 만약 한국에서 구입해서 미국에 가져 가더라도 A/S를 받을 수 있다.
  • 구입직후 RODE.COM에서 등록하면 A/S기간이 평생 무료(RODE M1 등)에서 부터 10년(NT 시리즈)인 제품도 있다. 다만 구입 직후 등록하지 않으면 A/S 기간은 1년에서 2년이다.
  • 다만 여느 업체와 같이 파손 등에 대해서는 A/S가 거부되거나 수리비가 청구 될 수도 있다.

4. 여담

  • 회사 CEO인 피터 프리드먼이 고 커트코베인의 그 유명한 MTV 언플러그드 공연에 사용된 마틴 D-16E 기타를 2020년에 601만달러 한화 약 88억원에 낙찰 받아 소유중이다.기사
  • MADE IN CHINA가 아닌 모든 제품을 호주에서 생산한다. 호주의 높은 인건비 때문에 생산 시설 대부분이 자동화되어 있다.


[1] 로드 마이크로폰즈였으나 마이크만을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요즘은 마이크로폰을 로고에서 제거 했다.[2] RØDE의 실제 발음은 미국식 영어에서 '로우드(/roʊd/)'에 더 가깝고 영국식 영어는 '러우드(/rəʊd/)'에 더 가깝다. 한국에서는 로데라고 잘못 불리는 경우가 많다. 철자 중에 ø이 있어서 북유럽쪽으로 기업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호주 기업이다. 다만 창업자가 스웨덴 이민자 출신이다.[3] 당시 이미 콘덴서 마이크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노이만사의 U47 FET, U87 같은 제품의 회로가 공개되어 있어 카피 제품이 쏱아져 나왔다. 그러나 저가 부품을 사용하여 소리가 엉망이던 것을 RODE 측이 중고가 부품으로 갈아서 지역방송국이나 학교 방송실 등에 팔았다고 한다.[1997년] 1세대 NT-1을 시작으로 2023년 5세대 NT-1이 나왔다.[5] 32BIT float 녹음이 가능한 USB 기능까지 갖춘 5세대인 NT1 5Gen과 NT1A급에 해당하는 NT1 시그니처가 현재 판매된다.[6] 실제로 비슷한 주파수 대역이 부스트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