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D 터닝메카드 시리즈에서의 프랭클린 박사}}}에 대한 내용은 [[프랭클린 박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랭클린 박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랭클린 박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D 터닝메카드 시리즈에서의 프랭클린 박사: }}}[[프랭클린 박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랭클린 박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랭클린 박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주요 등장인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나찬 일행 | [[나찬(터닝메카드 갓)| 나찬 ]]|[[이소벨(터닝메카드 갓)|이소벨 ]]|[[리안(터닝메카드 갓)|리안 ]]|[[나지은|나지은 ]] |
| [[프랭클린 박사(터닝메카드 갓)| 프랭클린 박사 ]]|[[공주희(터닝메카드 갓)|공주희 ]]|[[기운찬(터닝메카드 갓)|기운찬 ]] | ||
| 다크 섀도우 | [[다크 섀도우 보스| 다크 섀도우 보스 ]] | |
| [[반다인(터닝메카드 갓)| 반다인 ]]|[[오름(터닝메카드 갓)|오름 ]]|[[샤나(터닝메카드 갓)|샤나 ]] | ||
| [[AI 프랭클린| AI 프랭클린 ]] | ||
| 공룡메카드 기반 세계 | [[나용찬(터닝메카드 갓)| 나용찬 ]]|[[강우람(터닝메카드 갓)|강우람 ]] |
| <colbgcolor=#7b2c3f,#7b2c3f><colcolor=#fff,#fff> 프랭클린 박사 Dr. Franklin | |
| <nopad> 파일:프랭클린갓.jpg | |
| 출생 | 다른 세계 |
| 성별 | 남성 |
| 소속 | 나찬 일행 |
| 직업 | 과학자 |
| 가족 | 딸 이소벨 |
| 주요 출연작 | 터닝메카드 갓 |
| 첫 등장 | 운명적인 만남 (터닝메카드 갓 에피소드 1) |
| 성우 | 정재헌 |
1. 개요
터닝메카드 갓의 등장인물.2D 터닝메카드 시리즈의 프랭클린 박사와는 별개의 인물이다.
2. 특징
다른 세계에서 온 과학자로 이소벨의 아버지. 모든 차원을 파괴할 수 있는 에너지인 '메카니멀 포스'를 발견하고, 그걸 일곱 대의 얼티밋 세븐에 나눠 넣어 다른 차원으로 전송했다.기존 터닝메카드 시리즈 등장인물 중에서 가장 외형이 가장 많이 바뀌었다. 안경을 쓴 모습에 콧수염이 생겼으며, 머리카락도 짧아지며 색깔도 바뀌었다. 전반적으로 미스터 K와 비슷한 편. 어떻게 본다면 이 모습이 좀 더 과학자에 가깝다.
3. 작중 행적
3.1. 시즌 1
1화: 이소벨과 함께 차원을 넘어 지구로 도착. 본인을 쫓는 다크 섀도우의 반다인, 오름, 샤나로부터 도망치다가 결국 배트에 의해 넘어져 붙잡히고 만다. 이소벨에게 도망치라 얘기하고, 에반에게도 너와 함께할 테이머를 찾으라고 일러두며 도망치게 한다. 후에 다크 섀도우 기지에 잡혀갔을 것으로 추정된다.2화: 그가 지구로 온 계기가 나온다. 다크 섀도우가 일반 메카니멀을 링 메카니멀로 개조하기 위해 그에게 메카니멀 개조를 시켰다. 원래는 돕지 않으려 했지만, 딸인 이소벨의 목숨을 담보로 협박하자 메카니멀 개조를 강제로 하게 된다. 하지만 마냥 당하지는 않고 다크 섀도우에 반발하는 세력을 모아 폭동을 일으킨 다음, 이소벨과 함께 지구로 도망친 것이었다.
9화:
14화: 나찬, 리안, 나용찬이 이를 구하기 위해 다크 섀도우의 연구실로 들어오자 프랭클린의 앞에서 반다인이 나타나 찬, 용찬과 배틀을 벌인다. 셋이 배틀 필드로 간 이후, 구하러 왔다는 리안의 말을 듣자 이를 비웃으며 조용히 하지 않는다면 경비를 부르겠다며 되려 협박한다.[1] 곧이어 신형 메카니멀을 보여주겠다고 말하며 리안이 이를 파괴하려하자 난데없이 손에서 번개를 쏘았다. 이후 감옥에서 진짜 프랭클린을 구출한 이소벨과 강우람이 연구실로 들어오고, 진짜 프랭클린에 의해 리안과 함께 있던 프랭클린은 다크 섀도우 측에서 자신의 모습을 본떠 만든 AI 로봇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이후 배틀 필드에서 찬이 돌아오자 만나게 되는데, 찬을 알아보고 멈칫 한다. 그러다가 찬, 이소벨, 리안과 함께 다시 지구로 차원이동되며 우여곡절 끝에 무사히 구출되긴 했다.[2]
21화: 자신의 복제 AI가 배틀필드에 침입할 수 있는 아이템을 만든 것을 알게 되고 본인도 그 아이템을 만들어서 이소벨이 배틀필드에 들어갈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23화: 망가진 래피드 파이어를 이소벨과 같이 수리하고 있다.
24화: 래피드 파이어를 다 수리하고 망가진 에반을 수리했다.
26화: 나찬 일행이 다크 섀도우 기지를 공격하기 전 밥을 먹으려 나갈 때 이소벨에게 자신은 바빠서 나갈 수 없다며 연구소에 남는다. 일행이 전부 나간 뒤, 자신은 나찬과 함께 나갈 수 없다며 독백한다.
3.2. 시즌 2
4. 떡밥
일단 이름은 프랭클린 박사지만, 프랭클린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미스터 K와 닮았다. 때문에 본작의 미스터 K와 프랭클린이 서로 얼굴을 바꾼 상태이며, 더 나아가 가면을 쓴 걸로 추정되는 다크 섀도우 보스가 본작의 엘토포 포지션, 즉 프랭클린의 얼굴을 한 미스터 K라는 추측이 있다. 5화에서 보스의 성우가 미스터 K의 성우인 최한으로 밝혀져서 이 추측에 힘이 더욱 실렸다.초반부에는 다크 섀도우에게 잡혀간 상태였기에 15화에야 나찬 일행에 합류했는데, 위의 추측이 사실이라면 미스터 K의 아들인 찬이 프랭클린을 보고 놀랄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3] 다만 실제로 2화에서 찬이 프랭클린의 영상 메시지를 봤을 때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물론 찬의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지워졌거나 봉인됐을 가능성도 있긴 하다. 그리고 14화에서 프랭클린이 찬을 알아보고 놀라는 장면이 나왔기에,[4] 둘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는 건 확실해 보인다.
18화에서 찬이 만든 로봇[5]을 평하면서 이걸로 시험 중 바닥에 떨어진 지우개를 주울 수 있다고 말했는데, 이는 찬의 제작 의도와 정확히 일치했다. 찬이 신기함을 표하자 뭔가 이상한 걸 눈치챘는지 얼버무렸지만, 이것 때문에 미래의 찬이 프랭클린이며[6] 이미 그 로봇을 만들어 봤기에 기억하고 있다는 추측이 새롭게 떠올랐다. 만약 해당 추측이 사실이라면, 14화에서 프랭클린과 찬이 만나자 갑자기 차원의 비틀림이 생겨 강제로 지구 연구소로 전송된 것도 다른 시간대의 동일 인물들이 한 자리에 모였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면 이소벨이 프랭클린의 양녀가 아닌 이상 찬-이소벨 커플링은 깨지기 때문에 사실이 아니길 바라는 반응이 많다.[7] 엄연한 지구인인 찬이 어떻게 이소벨의 세계에 가 정착했는지, 지구 연구소에선 찬과 같이 있을 수 있는데 왜 밖에 같이 나가는 건 안 되는지 등도 쉽게 설명되지 않는 의문점.
미스터 K와 프랭클린이 서로 얼굴이 아니라 영혼을 바꿨다는 추측도 있다. 미스터 K의 영혼은 프랭클린의 몸에, 프랭클린의 영혼은 미스터 K의 몸에 들어갔지만, 영혼을 바꾼 상대의 두뇌에 남아있던 기억과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 즉, 미스터 K가 먼저 지우개 줍는 로봇을 만들어 찬에게 보여줬고, 미스터 K와 서로 영혼을 바꾼 뒤 프랭클린은 미스터 K의 두뇌에 남아있던 기억 덕분에 무의식적으로 찬과 미스터 K의 제작 의도를 정확히 캐치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찬은 미스터 K에 대한 기억을 모두 잃어서 이상함을 눈치채지 못했다는 건 페이스 오프 설과 동일하다. 찬과 함께 외부로 못 나가는 이유도 찬과 같이 다니다가 찬의 어머니, 즉 동료의 아내를 만나는 걸 막기 위해서일 것이다.
구출된 후로 쭉 연구소에서만 지내고 있는데 26화에서 찬과 함께 외부로 나갈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찬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이 더욱 확실시 되었다.
5. 여담
- 원작 프랭클린 박사가 딸을 가스라이팅 및 이용하려 하고 무책임한 모습으로 비판 받는 것과는 달리, 본작의 프랭클린 박사는 오히려 본인의 딸의 목숨을 담보로 협박당하자 어쩔 수 없이 메카니멀을 개조를 했다는 점과 이에 대한 죄책감을 참다 못해 반란을 일으켰다는 행적 때문에 비판이 없다.
- 자신의 두뇌를 복제한 AI 프랭클린이 배틀 필드 침입 시스템, 신형 메카니멀 등을 빠르게 개발해내며 다크 섀도우 측의 전력을 매우 강하게 강화시키고 있는데 반해, 현재 프랭클린 박사는 AI 프랭클린이 만든 걸 따라 만든 배틀 필드 침입 시스템 하나 만들어 전력 보강을 거의 하지 않았다. 그리핑크스 또한 나찬 일행 이전에 만든 것이기에 나찬 일행 합류 후부턴 거의 개발한 것이 없는 셈이다.
[1] 이에 리안은 어째서 세뇌가 풀리지 않는 것인지 의문을 가진다.[2] 용찬과 우람은 자신들의 세계로 따로 차원이동된다.[3] 특히 프랭클린의 눈썹 모양은 찬의 눈썹 모양과 똑같다.[4] 다만 이때 찬의 반응은 프랭클린이 왜 그러는지 의아해하는 것에 가까웠다.[5] 1화에서 친구들에게 소개한 로봇이다.[6] 마침 2D 시리즈에 등장하는 미래의 찬도 로봇을 개발하는 과학자이다. 다만 성우는 다르다.[7] 이소벨이 프랭클린의 양녀라 해도 문제인 게, 찬-이소벨 커플이 이어진다면 프랭클린은 미래의 아내를 자기 양녀로 맞아들인 게 되어버린다. 어쩌면 진짜 이소벨은 따로 있고, 본작의 이소벨은 찬과 진짜 이소벨의 딸로 어머니를 지키기 위해 카게무샤 역할을 뛰는 걸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