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0 22:19:37

코스트신나트오드롱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돌노실롱스키에 주기.svg 파일: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주기.png 파일:루벨스키에 주기.svg 파일:루부스키에 주기.svg
돌노실롱스키에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
]]
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비드고슈치|
비드고슈치
]]
루벨스키에
[[루블린|
루블린
]]
루부스키에
[[고주프비엘코폴스키|
고주프비엘코폴스키
]]
파일:우치키에 주기.svg 파일:POL_województwo_małopolskie_flag.svg.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mazowieckie_flag.svg.png 파일:오폴스키에 주기.svg
우치키에
[[우치(폴란드)|
우치
]]
마워폴스키에
[[크라쿠프|
크라쿠프
]]
마조비에츠키에
[[바르샤바|
바르샤바
]]
오폴스키에
[[오폴레|
오폴레
]]
파일:800px-POL_województwo_podkarpackie_flag.svg.png 파일:포들라스키에 주기.png 파일:POL_województwo_pomorskie_flag.svg.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śląskie_flag.svg.png
포트카르파츠키에
[[제슈프|
제슈프
]]
포들라스키에
[[비아위스토크|
비아위스토크
]]
포모르스키에
[[그단스크|
그단스크
]]
실롱스키에
[[카토비체|
카토비체
]]
파일:시비엥톡시스키에 주기.svg 파일: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주기.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wielkopolskie_flag.svg.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zachodniopomorskie_flag.svg.png
시비엥토크시스키에
[[키엘체|
키엘체
]]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올슈틴|
올슈틴
]]
비엘코폴스키에
[[포즈난|
포즈난
]]
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
[[서포모제|
슈체친
]]
각 주의 행정 구역
돌노실롱스키에 | 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 루벨스키에 | 루부스키에 | 우치키에 | 마워폴스키에 | 마조비에츠키에 | 오폴스키에 | 포트카르파츠키에 | 포들라스키에 | 포모르스키에 | 실롱스키에 | 시비엥토크시스키에 |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 비엘코폴스키에 | 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f500>
파일:04.루부스키에.png
루부스키에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23f, #00923f 20%, #00923f 80%, #00923f);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파일:고르주프비엘코폴스키.png
고르주프비엘코폴스키
파일:지엘로나구라.png
지엘로나구라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rowcolor=#000>
파일:지엘로나구라군.png
지엘로나구라군
파일:자리군.png
자리군
파일:자간군.png
자간군
파일:프스호바군.png
프스호바군
파일:시비에보진군.png
시비에보진군
파일:술렝친군.png
술렝친군
파일:스우비체군.png
스우비체군
파일:스트셸체드레즈덴코군.png
스트셸체드레즈덴코군
파일:노바술군.png
노바술군
파일:미엥지제치군.png
미엥지제치군
파일:크로스노군.png
크로스노군
파일:고주프군.png
고주프군
}}}}}}}}}
코스트신나트오드롱
폴란드어: Kostrzyn nad Odrą
파일:POL_Kostrzyn_nad_Odrą_flag.svg.png
깃발
<colbgcolor=#DC143C>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폴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행정구역 루부스키에
면적 46.17km²
인구 17,704명[1]
역사 1300년 도시 설립
시간대 UTC+01:00 (GMT)[서머타임]
링크 http://www.kostrzyn.pl/

폴란드어 : Kostrzyn nad Odrą
독일어 : Küstrin(퀴스트린)

1. 개요2. 역사3. 관광4. 출신인물

1. 개요

폴란드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바르타강과 오데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옆동네인 독일퀴스트린과 갈라진 분단도시이자 국경도시이다.

2. 역사

초기에는 슬라브계 부족들의 거주지였으며, 오데르강과 바르타강의 합류점에 위치해 있어 교통과 방어에 유리한 지형이었다. 폴란드 왕국피아스트 왕조가 코스트신나트오드롱을 차지하였으며 이 곳에 요새를 세워 신성 로마 제국의 침공으로부터 폴란드를 방어하려고 했다. 12세기 말~13세기 초 하인리히 사자공의 주도로 동방식민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코스트신나트오드롱은 점차 독일화되었다. 당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이 동진하면서 퀴스트린을 포함한 여러 슬라브 지역을 흡수하였다. 이 시기 퀴스트린은 마을 수준의 정착지였으며, 오데르강을 통한 무역과 선박 통제, 관세 수입 등으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였다. 1300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알브레히트 3세로 부터 마그데부르크 도시권을 받았고, 이 일대를 둘러싸고 포메른 공국과 작센비텐베르크 공국 사이 격렬한 전투가 있었다.

3개의 국가가 퀴스트린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하는 사이 보헤미아 왕국이 침공해 퀴스트린을 점령하였다. 이후 1402년 보헤미아 왕국은 크라쿠프에서 폴란드 왕국과 협정을 맺어, 코스트신나트오드롱을 폴란드에 매각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보헤미아 왕국은 퀴스트린을 튜튼 기사단에 매각하였다. 그러나 1454년 13년 전쟁이 발발하자 튜튼 기사단은 폴란드와의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이 도시를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에 매각했다.

15세기부터 퀴스트린은 폴란드 왕국리투아니아 대공국, 루스 차르국을 비롯한 슬라브 세력으로부터 독일을 방어하기 위한 전초 기지적 성격으로 변하였다. 한편 아버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학대를 견디다 못한 왕태자 프리드리히 2세는 외가인 영국으로 도주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 탈출은 들켜서 프리드리히 2세는 퀴스트린에 있는 요새에 감금되었고, 탈출을 조력한 그의 친구 한스 헤르만 폰 카테는 도시 성곽 앞에서 처형되었다.

폴란드 분할폴란드-리투아니아가 사라지면서 멸명하면서 퀴스트린은 전략적 중요성을 상실하였고, 경제적 중심지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다만 19세기 후반에는 철도망이 연결되어 대 러시아전의 군수 및 병참 거점으로 더욱 기능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프랑스, ​​러시아, 벨기에, 영국 및 캐나다 장교를 위한 독일의 포로 수용소가 퀴스트린에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붉은 군대는 1945년 1월 말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중 오데르강 을 여러 군데 성공적으로 건넜다. 1945년 1월 25일 요새 도시로 선포되었던 퀴스트린 동부 지역 주민들은 1945년 2월 19일에 소개되었다. 1945년 3월 중순부터 말까지 이어진 퀴스트린 전투로 구시가지의 90%가 파괴되었다. 전쟁 후 붉은 군대는 코스트신나트오드롱을 폴란드에게 주었고, 아직 남아있던 독일인들은 강제로 추방되었다. 심하게 파괴된 구시가지의 잔해는 전쟁 후 완전히 치워졌고 1954년이 되어서야 펄프 및 제지 공장 건설과 함께 신시가지가 재건되고 확장되었다.

3. 관광

  • 퀴스트린 요새 (Twierdza Kostrzyn) : 15세기에 지어진 요새로 러시아와 폴란드로부터 독일을 지키기 위해 세워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패배로 1920년이 되어서야 요새로서의 사용이 끝났지만 1945년 다시 요새로 지정되었고 소련군과 폴란드군의 맹공에 파괴되었고 고르가스트 요새를 제외한 모든 요새의 부문은 폭파 및 철거되었다.
  • 바르타 하구 국립공원 (Park Narodowy Ujście Warty) : 2001년 설립된 국립 공원으로 260종의 조류가 살고 있다.

4. 출신인물


[1] 2020년 3월 31일 기준.[서머타임]